$\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A Network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ransi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189 - 210  

남미경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윤갑정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범주를 토대로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1권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 총 43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령별 생활주제에 연결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밀도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높았다. 다문화교육 내용들과 연결성이 높은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3, 4, 5세는 모두 '나와 가족'으로 '정체성 형성'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3세는 '동식물과 자연', 4, 5세는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이 '상호작용 및 협동'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의 하위요소 간 연결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문화에 관심 갖기',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 순이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문화에 관심 갖기',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다양성 이해하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와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은 '정체성'에서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현재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세계시민으로서의 국제적 소양과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s aim was to find a patterns of network dynamics focu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within the teacher's guide books which are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t was analysed that the 43 guidebooks(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앞으로는 교육과정 원문을‘다문화’가 포함된 문장 수준으로 분석한다면 다문화가 어떤 단어들과 연결되어 나타나는지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로써 교육과정에서 유아다문화교육이 어떻게 해석되고 접근되고 있는지를 더욱 자세히 살펴볼 수 있겠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다문화교육 내용 연구가 지금까지 빈도 분석에 머물러 있던 것에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다문화교육 내용과 생활주제들이 어떻게 연결망을 형성하고 어떤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 또한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비교함으로써 국가수준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의 변화와 현주소를 파악하고 이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다문화교육의 내용이 생활주제와 어떻게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 내용들 간에는 어떤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비교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다문화교육의 변화와 현주소를 파악하여 유아다문화교육의 담론과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과 2012년 3-5세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다문화교육의 내용이 생활주제와 어떻게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문화교육 내용들 간에는 어떤 관계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비교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다문화교육의 변화와 현주소를 파악하여 유아다문화교육의 담론과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100%는 하나의 단어가 전체 연결망을 장악하여 단일망으로 집중화(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0%에 가까울수록 반대로 집중화된 정도가 낮아 전체 연결망이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박선혜, 박은혜, 2014). 본 연구에서는 연결 중심화 지수(degree centralization)와 매개 중심화 지수(between centralization)를 산출하였다. 또한 네트워크의 개별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정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손동원, 2002),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과 매개 중심성(between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의 변화를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현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2007년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이 언급된 이후 변화된 현재의 다문화적 맥락과 다양화된 다문화교육의 담론들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Sleeter(1996)는 다문화교육은 고정적 이념이기보다는 역동적이며 지속적으로 성장한다고 하였으며 Banks(1993)도 다문화교육을 교육개혁 운동이며 과정이라고 강조하였다.
  • Sleeter(1996)는 다문화교육은 고정적 이념이기보다는 역동적이며 지속적으로 성장한다고 하였으며 Banks(1993)도 다문화교육을 교육개혁 운동이며 과정이라고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을 언급한 이후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유아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내용, 그 방향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현재 국내 유아다문화교육의 현주소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 78-79) 관광식 교육을 지양하고 생활주제별 연계활동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유아다문화교육이 모든 생활주제와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어떤 내용들을 중심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과 2012년 3-5세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연구들마다 사용한 분석 범주가 달랐기 때문에 교육과정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의 변화를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현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2007년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이 언급된 이후 변화된 현재의 다문화적 맥락과 다양화된 다문화교육의 담론들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유아다문화교육이 모든 생활주제와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어떤 내용들을 중심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과 2012년 3-5세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의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어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용 지도서는 무엇인가? 교사용 지도서는 현장 교사들이 고시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지도서로서(교육과학기술부, 2009a;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하고 효과적으로 유아에게 전달하고, 교사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르게 이해하고 교육활동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김숙자, 장갑희, 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는 현장 교사들의 의존도와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자료로(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 부성숙, 1999; 황해익, 서보순, 2010) 유치원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지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다문화가정의 추이는 어떠한가? ‘다인종, 다문화사회로의 진전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는 2006년 대통령의 발언과 2007년 정부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발표이후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의 수는 2008년 58,700명, 2011년 151,154명에서 2014년 204,204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행정자치부, 2014) 현재 10가구 중 1가구가 다문화가정으로 2020년경에는 다문화가정이 1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 2014).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의 연령분포에서 6세 미만이 66.
유아교육과정에 제시된 다문화 교육의 목적과 내용이 어떠한지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 유아다문화교육의 실제는 편중된 주제와 활동만을 다루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들은 유아교육과정에 제시된 다문화교육의 목적과 내용이 어떠한지를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목표와 내용의 기준을 제시하고, 교수방법, 학교편성과 운영의 토대를 제공하여 교사들에게 책무성을 부과하는 역할을 하며(이병호, 2009) 동시에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에는 사회적 담론과 새로운 경향들이 반영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박은혜, 신은수, 조형숙, 2012). 즉,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는 우리사회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담론과 지향하는 방향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유아다문화교육의 현주소를 살펴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견주연, 하은실, 정계숙 (2012). 유아 교실 내 다문화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아동학회지, 33(3), 177-197. 

  2. 고재창 (201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기술경영연구 동향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공민정, 김승희 (2015).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누리과정에 기초한 다문화교육의 실태.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87-111. 

  4. 교육과학기술부 (2008). 종일반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 세계시민교육 활동자료. 

  5. 교육과학기술부 (2009a).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 총론. 

  6. 교육과학기술부 (2009b). 유치원 지도서 10 세계 여러 나라. 

  7.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9 세계 여러 나라. 

  8.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9. 교육부 (2014). 2014년 다문화 교육 215억원 지원.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949441&call_fromextlink에서 2015년 6월 5일 인출. 

  10. 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유아 인권 관련 내용분석: 유아 인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I.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9-283. 

  11. 김숙자, 박세영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07-334. 

  12. 김숙자, 장갑희(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1), 349-373. 

  13. 김영옥 (1998). 반편견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반편견 교육과정을 통한 인간교육. 제12회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 학술대회 자료집(PP.65-98), 한국어린이육영회. 

  14. 김영옥 (2007). 다문화 사회의 유아교육과정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3), 45-68. 

  15. 김용학 (2011). 사회연결망분석. 서울: 박영사. 

  16. 김은영, 문무경, 김문희, 박수연 (2010). 다문화 가정 영유아 지원 효율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0-04. 

  17. 김혜숙 (2008). 어린이집 생활주제와 통합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김현주, 김경숙 (2008).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아동교육, 17(4), 117-128. 

  19. 김희태, 권영덕 (2007). 다문화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20. 노은영 (2008).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문무경, 조혜주 (2008). 다문화가정 육아지원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08-04. 

  22. 문화체육관광부 (2014). 같이 가요 다문화가족, 함께 키워요 다문화인재. http://www.korea.kr/policy/societyView.do?newsId148786092&call_fromnaver_news 에서 2015년 6월 5일 인출. 

  23. 박미경, 이승연 (2008).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의 개념, 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8(2), 5-27. 

  24. 박선혜, 박은혜 (2014).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의 텍스트 연결망 분석. 육아정책연구, 8(1), 181-210. 

  25. 박은혜, 신은수, 조형숙 (2012). 세계 유아교육과정 동향에 비추어 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영국, 뉴질랜드,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5), 487-514. 

  26. 박찬옥, 이예숙 (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방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6), 383-403. 

  27. 박찬옥, 이예숙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의 분석. 다문화콘텐츠연구, 15, 35-60. 

  28. 배소연, 김순환, 한희정(2013). 다문화교육 수행을 위해 알고 있어야 할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자기평가. 유아교육연구, 33(5), 373-400. 

  29. 백인경, 우민정 (2014). 유아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재에 수록된 다문화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6), 383-402. 

  30. 부성숙 (1999).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서정아, 엄정애(2011). 유치원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생각.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1-20. 

  32. 서현, 이승은 (2007).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5-47. 

  33. 서현, 이승은 (2009).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89-116. 

  34. 손동원 (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35. 심미영, 조연경, 곽승주 (2013).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교육내용 분석 및 활용. 유아교육학논집, 17(1), 389-415. 

  36. 월드비전 (2012).월드비전 세계시민교육(ver.1.4). 서울: 월드비전 세계시민학교. 

  37. 유재경 (2008). 유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4), 296-315. 

  38. 윤갑정 (2011).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및 교사연수 요구도. 유아교육학논집, 15(6), 63-87. 

  39. 윤갑정 (2012). 다문화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 71, 19-51. 

  40. 윤갑정 (2015).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 탐색. 문화예술교육연구, 10(1), 87-111. 

  41. 윤갑정, 고은경 (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42. 윤갑정, 고은경 (2011).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33-257. 

  43. 이명희, 홍순옥 (2009).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인문학논충, 14(2), 259-289. 

  44. 이병호 (2009). 국가교육과정 기준 문서 체제 개선방안. 교육과정연구, 27(4), 21-45. 

  45. 이보라 (2010).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1), 47-68. 

  46.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47. 이수상 (2013). 연구자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연관성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405-428. 

  48. 이연선 (2013a). 유아다문화교육정책 및 실제 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책, 교육청,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6), 181-204. 

  49. 이연선 (2013b). 다문화교육 정책과 실제를 위한 세계주의(Cosmopolitanism) 철학 탐색. 유아교육연구, 33(5), 5-27. 

  50. 이연선, 윤갑정, 견주연 (2012). 유아다문화교육의 의미 탐색 및 실제적 제언: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3), 117-140. 

  51. 이영애, 이현숙(2002). 교육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의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어린이 미디어연구, 1, 53-72. 

  52. 이은진 (2008). 유아교육기관 다문화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269-297. 

  53. 임정우 (2010).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가족 내용에 대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4. 장명림, 장혜진, 권미경, 한영숙 (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다문화가정 영유아 지원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1-14. 

  55. 장혜진 (2012). 육아지원기관에서의 다문화교육 실태와 지원방안. 육아정책포럼, 30, 17-26. 

  56. 장혜진 (2014).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 분석: 교사의 색맹적 태도를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223-246. 

  57. 정명수 (2007).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8. 정은주 (2010). 비판적 관점에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1), 95-114. 

  59. 조숙영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관련 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379-400. 

  60. 채정란 (2001).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 생활주제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3, 88-115. 

  61. 최영애 (2011). 다문화 그림이야기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편견 및 가족 구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2. 최필순 (2013). 초등학교 다문화 교육과정 운영 모형 탐색.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3. 최현정 (2011).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4. 한수연 (2010).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다문화 보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5. 행정자치부 (2014). 2014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현황 통계. http://www.mogaha.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42492에서 2015년 6월 5일 인출. 

  66. 홍길희 (2014). 일과를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 수용성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6), 313-332. 

  67. 황해익, 서보순 (2010).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 실태. 유아교육연구, 30(3), 117-140. 

  68. Banks, J. A. (1993). The canon debate, knowledge, construc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ducational Researcher, 10(5), 4-14. 

  69. Banks, J. A. (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th ed.). Boston: Pearson/Allyn and Bacon. 

  70. Banks, J. A. & Banks, C. A. M. (2004).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6th ed.). NY: Wiley. 

  71. Borgatti, S. P., Everett., M. G., & Freeman, L. C. (2002). Ucinet 6 for window: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72. Derman-Sparks, L. & AB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 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73. Grant, C. A., & Sleeter, C. E. (2007). Turning on learning. five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teaching plans for race, class, gender and disability (4th ed.). NJ: John Wiley & Sons. 

  74. MacNaughton, G. (2009). Equity issues in early childhood teacher learning in Australia. In S. Mitakidou, E. Tressou, B. B. swadener, & C. A. Grant.(Eds.), Beyond pedagogies of exclusion in diverse childhood contexts: transnational challenges(pp.177-193). NY: Palgrave Macmillan. 

  75. Ramsey, P. G. (1998). Teaching a nd learning in a d iverse w orld-multicultural e ducation for young children. NY: Teachers College Press. 

  76. Reh, S., Fabenstein, K., & Fritzsche, B. (2011). Learning space without boundaries? Territories, power and how schools regulate learning. Social & Cultural Geography, 12(1), 83-98. 

  77. Sleeter, C. E. (1991). Empowerment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8. Sleeter, C. E. (1996). Multicultural education as social activism.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9. Sleeter, C. E. & Grant, C. A. (2009).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6th ed.). NJ: John Wiley & Sons. 

  80. Wacquant, L. (2007). Territorial stigmatization in the age of advanced marginality. Thesis Eleven. LA: SAGE Publ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