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지도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탐구의 인식과 실천 사이의 딜레마 해소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Inquiry Guidance Experienc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Resolving the Dilemmas between Cognition and Practice of Inquir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5년, pp.573 - 584  

조성민 (서울대학교) ,  백종호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랜 기간 동안 과학교육 분야에서 탐구는 과학 학습의 핵심적인 목표이자 수단으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교육 실천의 맥락에서 탐구 활동을 온전히 수행하기란 결코 녹록하지 않으며, 탐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분분하다. 따라서 과학교사들이 실제로 탐구를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탐구를 지도하는 교사에 초점을 두고, 예비교사의 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천 사이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양상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8명의 대학생들이다. 이들은 약 1년 동안 주말 과학 프로그램에서 저소득층 중학생들의 보조교사와 멘토로 활동하면서, 방학 기간에는 자유로운 방식으로 담당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지도하였다. 연구의 사례는 '자유탐구에서 수행하는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지도 활동'으로, 참여자의 개인면담과 집단면담과 참여관찰 기록, 자기보고서 등을 연구 자료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습자의 능동성뿐만 아니라 교과 지식과 연역적 절차 역시 탐구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이 실제로 탐구를 계획하거나 수행할 때, 인식과 실천 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딜레마와 마주했다. 딜레마의 양상은 '발산하는 탐구와 수렴하는 과학', '흥미 중심의 탐구와 학습 중심의 탐구', '학습 주체로서의 학생과 부족한 지식인으로서의 학생'의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끝으로 예비교사들의 딜레마 해소 과정을 논의하면서, 탐구와 과학교사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quiry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as a crucial element for learning. Although many researchers came to agree 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authentic inquiry activities are hard to be actualized in an educational contex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ritically 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개정 공통교육 과정의 과학은 어떤 교과인가? 1960-70년대에 Schwab이 주창했던 탐구 중심 과학교육이 지구적으로 주목 받았던 것과 맞물려, 우리나라에서는 제2차 교육과정 시기(1963-1972)부터 본격적으로 과학교육 분야에서 탐구의 역할이 조명되기 시작했다(Song, 2006). 현재 2009개정 공통교육 과정의 과학은“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함양하여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명시한다(Ministry of Education, 2011). 더욱이 2007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주제 선정에서부터 계획 수립, 탐구수행, 결과 발표에 이르기까지 학생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자유탐구를 도입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07).
과학교육의 핵심인 탐구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과연 과학교육의 핵심인 탐구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탐구의 의미는 “진리, 학문 따위를 파고들어 깊이 연구(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4)”하는 것으로, 지식 혹은 이론의 획득이나 정립을 위한 지적 노력 그 자체나 그것에 수반되는 정보 수집, 질문 제기, 자료 조사, 이론 검토 등의 활동을 뜻한다(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과학 학습의 맥락에서 탐구에 대한 통일된 견해는 없지만, 과학적 탐구가‘과학적 소양의 도모를 위하여 학생이 주도적으로 자연 현상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거를 기반으로 설명하는 다양한 방식의 활동’이라는 의견에는 대체로 동의한다(NRC, 1996; 2000).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 줄곧 강조되었던 핵심요소는 무엇인가? 탐구’는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에서 줄곧 강조되었던 핵심요소 이다. 1960-70년대에 Schwab이 주창했던 탐구 중심 과학교육이 지구적으로 주목 받았던 것과 맞물려, 우리나라에서는 제2차 교육과정 시기(1963-1972)부터 본격적으로 과학교육 분야에서 탐구의 역할이 조명되기 시작했다(Song,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rawford, B. A. (1998). The poisons project: Motivate your students with inquiry-based unit. Science Scope, 21(5), 18-21. 

  2.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Dictionary of education. Seoul: Hawodongsul. 

  3. Flick, L. B. (1997). Focusing research on teaching practices in support of inquiry.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Oak Brook, IL. 

  4. Gallagher, J. J., & Tobin, K. (1987) Teacher management and student engagement in high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71(4), 535-555. 

  5. Jo, Y. (1999).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cases. Seoul: Kyoyookbook. 

  6. Jeong, J., Lee, K., Kim, J. (2006). Analysis of inquiry teaching level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science laboratories.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364-373. 

  7. Jung, M. (2010). Understanding of adult learning.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ress. 

  8. Kang, E. J. S., Bianchini, J. A., & Kelly, G. J. (2013). Crossing the border from science student to science teacher: preservice teachers' views and experiences learning to teach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3), 427-447. 

  9. Kim, M., & Tan, A. (2011). Rethinking difficulties of teaching inquiry-based practical work: Stories from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4), 465-486. 

  10. Krajcik, J., Blumenfeld, P., Marx, R., Bass, K., Fredricks, J., & Soloway, E. (1998). Inquiry in project-based science classrooms: Initial attempts by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7(3), 313-350. 

  11. Lee, J., & Lee, G. (2012). A science teacher's dilemma while teaching Newton's First Law: The dichotomy between objectivism and constructivism.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3(2), 53-73. 

  12. Lee, S., Lee, G., & Shin, M. (2011).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s of school science lab practic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2), 21-49. 

  13. Lee, S., Son, J., Kim, J., Park, J., Seo, H., Shin, K., Lee, K., Lee, B., & Choi, J. (2013). Characteristics of school science inquiry based on the case analyses of high school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2), 284-309. 

  14.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15. Ministry of Education (2007).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from http://ncic.re.kr 

  16. Ministry of Education (2011).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from http://ncic.re.kr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 Packer, M. (2011). The science of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Paeng, A., & Paik, S. (2005). A case study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faiths on experiment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2), 146-161. 

  21. Park, Y. (2006). Theoretical study on the opportunity of scientific argumentation for implementing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401-415. 

  22. Park, Y. (2010).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7), 798-812. 

  23. Pring, R. (2000). Philosophy of education research (2nd ed.). London: Continuum. 

  24. Shim, J., Shin, M., & Lee, S. (2010).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1), 140-156. 

  25. Smith, L. M. (1978). An evolving logic of participant observation, educational ethnography and other case studie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6, 316-377. 

  26. Song, J. (2006). J. J. Schwab's life and his ideas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7), 856-869. 

  27.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28.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9.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4).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tdweb2.korean.go.kr 

  30. Tobin, K. G. (1984). Avoiding cookbook science. Science Activities, 21(2), 10-15. 

  31. Yang, I., Cho, H., & Han, I. (2006).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purpose of laborato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J.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6(1), 235-252. 

  32.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33. Yoon, H., Pak, S. (2000). The chang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for investigation through the extended science investig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 137-1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