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프로젝트 기반 과학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탐구의 특징: 증거-이론-방법의 조정과 도구 사용의 솜씨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Student Inquiry Found in Project-based Science Practices: Focusing on Theory-Evidence-Method Coordinations and Skills in Using Tool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5년, pp.599 - 608  

이선경 (서울대학교) ,  한지원 (서울대학교) ,  이재원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으로 자유롭게 주제를 정하고 과학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탐구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과학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4명의 학생들이었다. 학생들은 한 조가 되어 스스로 탐구 주제를 정하고 활동 과정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관찰하고 녹화 및 녹음하였으며 자발적으로 면담의사를 표현한 학생과 면대면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조별 활동지와 보고서를 수집하는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탐구의 전 과정은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과학 활동에 대해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생 탐구 특징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두 부분으로 제시되었다. 첫째, 과학 활동에서 이론-증거-방법 간의 조정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활동의 맥락에 따라 이론-증거의 조정, 증거-방법의 조정, 이론-증거-방법의 조정 양상이 드러났다. 둘째, 학생들은 활동 수행 과정에서 다양한 도구를 선택하고 조합하였으며, 도구 사용에 있어서 체화된 암묵적 지식인 솜씨를 발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 교육 및 연구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inquiry found in project-based science practices. The participants were four high school students in a science research club and worked their own project for one semester. During the project, they made their research questions, planned and ex...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과학에서 수행되는 전형적인 탐구는 어떤 유형으로 보고되고 있는가? 그러나 탐구 활동은 단순 탐구 유형으로부터 참 탐구 유형에 이르는 연속선상에 놓고 볼 때(Chinn & Melhotra, 2002; Rudolph, 2005), 학교 과학에서 수행되는 전형적인 탐구는 대개 단순 실험, 단순 관찰, 단순 예증이라는 단순 탐구의 세 가지 유형으로 보고되고 있다(Chinn & Melhotra, 2002). 참 탐구 유형에 위치하는 과학자들의 탐구(authentic inquiry) 활동은 복잡한 추론 과정과 다양한 논변제시가 가능한 문제, 전문가 검토 및 지식의 사회적 구성이라는 특징이 있는 반면, 학교 과학은 이러한 특징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Chinn & Melhotra, 2002; Kim & Song, 2004; Roth, 1995).
자유 탐구 형식의 프로젝트 기반 과학 활동은 어떤 경험을 제공 하는가? 첫째, 자유 탐구 형식의 프로젝트 기반 과학 활동이 학생들에게 스스로 질문을 만들어내고 실행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동안의 정형화된 학교 과학 탐구와 다른 교육적 경험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이 과학 탐구를 경험한다는 것은 개념적 지식과 탐구 절차를 아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문제를 만들어내고 해결하는 전 과정을 통해 과학을 행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Hodson, 2009).
여러 연구자들이 왜 과학 탐구의 핵심은 ‘증거와 설명의 연결 및 평가’와 그 과정에서의 ‘담화 및 논변’에 있다고 하는가? , 2011)에 있다. 이는 과학 탐구의 핵심인 과학적 추론 과정으로서 이론과 증거, 그리고 증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의 조정이 강조되어야 함을 의미한다(Garcia-Mila & Anderson, 2008; Hodson, 2009; Kuhn & Franklin, 2006).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학 탐구 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탐구 특징을 이론, 증거, 방법의 조정 과정 측면에서 분석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G., Mamlok-Naaman, R., Hofstein, A., Niaz, M., Treagust, D., & Tuan, H.-L.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2. Chinn, C. A., & Me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3. Cho, H. (1992). An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and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for promoting inquiry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2(1), 61-74. 

  4. Cho, Y. (1999). Qualitative descriptions, analyses, interpre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2(2), 27-63. 

  5. Duschl, R. A. (2005). The HS lab experience: Reconsidering the role of evidence, explanation and the language of science. Commissioned paper b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the Committee on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high school science. 

  6. Garcia-Mila, M., & Anderson, C. (2008). Cognitive foundations of learning argumentation. In S. Erduran, & M. P. Jimenz-Ale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p. 29-45). UK: Springer. 

  7. Grandy, R., & Duschl, R. A. (2007). Reconsidering the character and role of inquiry in school science: Analysis of a conference. Science & Education, 16(2), 141-166. 

  8. Hodson, D. (2009).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Language, theories, methods, history, traditions and values.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ce Publishers. 

  9. Jang, H. (2014). Science meets philosophy. Seoul: EBS Media Co. 

  10. Jeon, Y., & Jeon, M. (2009). The difficulties that occur when teaching scientific open-inquiry.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0(1), 105-115. 

  11. Jeong, S.-H., Choi, H.-D., & Yang, I.-H. (2011). Analysis on the complexity of scientific reasoning dur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en-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3), 379-393. 

  12. Jimenez-Aleixandre, M. P., & Erduran, S. (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An overview. In M. P. Jimenez-Aleixandre, & S. Erduran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3-27). Dordrecht: Springer. 

  13. Jung, W., Lee, J., & Oh, S. (2011). Investigation on the difficulties during middle school students' finding inquiry topics on open-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8), 1199-1213. 

  14. Kim, H., & Song, J. (2004).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216-1234. 

  15. Knorr-Cetina, K. (1992). The couch, the cathedral, and the laborat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 and laboratory in science. In A. Pickering (Ed.), Science as practice and culture (pp. 113-137).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Kuhn, D., & Franklin, S. (2006). The second decade: What develops (and how)? In W. Damon, & R. M. Lerner (Series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2, Cognition, perception, and language (6th ed., pp. 953-993). Hoboken, NJ: Wiley. 

  17. Lee, J. (2013). Multi-layered construction of technoscientific knowledge in a neuroscience research lab: A research on the actor-networks of Neuroscience Research Institute (NRI);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Lee, S. H., Shin, M.-K., Lee, G., Lee, S.-K., Kwon, N.-J. (2010). Analyzing coherence of evidences and claims presented i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writing for 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505-514. 

  19. Lee, S.-K., Son, J., Kim, J.-H., Park, J., Seo, H.-A., Shim, K.-C., Lee, K.-Y., Lee, B., Choi, J. (2013). Characteristics of school science inquiry based on the case analyses of high school scienc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2), 284-309. 

  20. Lynch, M. (1985). Art and artifacts in laboratory science: A study of shop work and shop talk in a research laborator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21. Ministry of Education (1987).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2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7).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3. Moshman, D. (1998). Cognitive development beyond childhood. In D. Kuhn, & R. Siegl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2, Cognition, perception, and language (5th ed., pp. 947-978). New York: Wiley. 

  24. Polanyi, M. (1958).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Polanyi, M. (1966). The tacit dimension. Gloucester, Massachusetts, MA: Peter Smith. 

  26. Roth, W. M. (1995). Authentic school science. Boston, MA: Kluwer Academic Publisher. 

  27. Rudolph, J. L. (2005). Inquiry, instrumentalism, and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9, 803-821. 

  28. Sampson, V., Grooms, J., & Walker, J. P. (2011). Argument-driven inquiry as a way to help students learn how to participat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craft written arguments: An exploratory study. Science Education, 95(2), 217-257. 

  29. Shin, H., & Kim, H. (2010).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views about the difficulties on open inquiry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262-276. 

  30. Song, J. (2014). Restructuring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a focus on the new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Paper presented at 2014 KASE International Symposium. 

  31. Thagard, P. (2012). The cognitive science of science: Explanation, discovery, and conceptual change. The MIT Press. 

  32. Yoo, J., & Kim, J. (2012).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physics inquiry problems and variables isolation and clarification during small group open-inquiry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903-927. 

  33. Zimmerman, C. (2000).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skills. Developmental Review, 20, 99-1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