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cience Concep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1 no.3, 2018년, pp.203 - 211  

이용섭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S초등학교에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반 선정을 위해 담임교사에게 동의를 구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연구자가 직접 내방하여 연구반 1개반을 선정하였다. 연구반에 대해서는 담임교사를 실험처치자로 선정하여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40분 단위 수업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수업 후에는 사후 과학개념 검사, 과학학습동기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정리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습득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학습동기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기반 수업 후 연구집단의 학습자들 인식 반응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cience Concep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s particular study was proceeded to 4th grader at S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mutual agreement with a homeroom teacher about assigning a research group and 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과학개념 습득과 과학에 대한 의욕 및 취향을 알아볼 수 있는 과학학습 동기 함양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전-사후 검사지는 2영역(지식, 탐구)으로 구분하였다. 사후검사지의 지식적인 부분으로는 물의 세 가지 상태, 물의 여행, 물의 이용, 물의 중요성이며, 탐구부분으로 물이 얼거나 얼음이 녹으면 부피와 무게는 어떻게 될까? 과일을 말리면 그 안에 있던 물은 어떻게 될까? 물을 가열하면 어떻게 될까? 차가운 병 표면의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물에 대한 계속적인 탐구, 물의 상태변화 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식에 관련된 문항은 1~4번, 탐구에 관련된 문항 5~10번이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 수업 적용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먼저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 탐색과 프로젝트 기반 수업의 근거가 된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프로젝트 학습의 특성,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가치, 프로젝트 학습의 방법 및 과정 연구에 대해 탐독을 하였다. S초등학교에서 연구 목적으로 연구반 선정을 위해 담임교사에게 본 연구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였으며, 학생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참여 동의를 받았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요구되는 것은 기존의 산출물과는 다른 부가가치가 있는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창의적 사고 핵심역량이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보아진다. 그러므로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 수 있는 핵심역량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성장하는 국가의 미래를 보장하는 방법일 것이다.
핵심역량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현시점에서 부각되는 교육방법은 무엇인가? 다양한 교육방법 중의 하나인 메이커 교육은 현시점에서 매우 부각되는 교육방법이다. 이러한 메이커 교육으로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고의 다양성과 창의적인 접근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접근법 중의 하나인 프로젝트중심학습법이 필요하다. Thomas(2000)는 프로젝트중심학습은 교육과정 중심의 실제적인 학습내용, 자율적인 환경에서 학습자의 구성주의적인 탐구, 이를 도와주는 교사의 유도적인 질문으로 구성된다고 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 모두에게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요구되는 것은 기존의 산출물과는 다른 부가가치가 있는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창의적 사고 핵심역량이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보아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인애, 정준환, 서봉현, 정득년(2011). 교실 속 즐거운 변화를 꿈꾸는 프로젝트 학습. 상상채널. 

  2. 김경원, 김연진, 이경희(2012). 리얼!! 프로젝트 학습. 상상채널. 

  3. 김대현, 왕경순, 이경화, 이은화(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학지사. 

  4. 김수환, 한선관(2013).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요인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43-252. 

  5. 김영선, 최용훈, 김지은(2017). 프로젝트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7(3), 871-878 

  6. 김현진(2006).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17(1), 101-131. 

  7. 김혜진, 이수경(2017). 자연친화적 예술경험을 기반으로 한 과학 프로젝트가 아동의 과학적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조형교육, 64, 41-65. 

  8. 민성혜, 이화영(2003). 이해하기 쉬운 프로젝트 교사 지침서. 창지사. 

  9. 박성희, 허효정(2009).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1(2), 51-67. 

  10. 신수범, 한희정(2006). 블랜디드 학습에 기반한 통합교과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지, 9(4), 25-34. 

  11. 신예주(2016). 프로젝트 기반 융합인재교육이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여상한, 엄우용(2014).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0(2), 259-283. 

  13. 오정임(2004). ARCS 모델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승실(2010). 블렌디드 러닝 기반 '함께 역사하기' 프로젝트 학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용섭(2016). 초등예비교사의'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2), 233-242. 

  16. 이형철, 오정임(2005). ARCS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4(5), 539-545. 

  17. 정정희, 강혜숙(2001). 프로젝트를 활용한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19(1), 343-362. 

  18. 정준환(2015). 신나는 프로젝트학습. 상상채널. 

  19. 조혜진, 이형철(2013). Prezi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과학영재반 학생들의 창의성,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50-59. 

  20. 한조은, 박세희, 정보람, 김종원, 이선경(2015). 프로젝트 기반 에너지기후변화 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경험과 역량. 에너지기후변화교육, 5(2), 53-67. 

  21. Amesty, E. & Paez, D. (2018). Using project-based learning with venezuelan teachers to enhance teacher attitudes about school-based drug abuse prevention: A Control-Group Comparison Study. Psychology in the Schools, 55(8), 969-981. 

  22. Bell, S. (2010).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21st century: Skill for the future. The Clearing House, 83, 39-43. 

  23. Braden, S. S. (2012).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in project-based learning and balanced mathematics classrooms. ProQuest LLC. 113. 

  24. Flening, D. (2000). The teacher's guide to project-based learning.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25. Hallermann, S., Larmer, J. & Mergendoller, J. (2011). PBL in the elementary grades. Novato, CA:Buck Institute for Education. 

  26. Markhan, T. (2001). Project based learning. Teacher Librarian, 33(2), 38-42. 

  27. Markhan, T., Larmer, J. & Ravitz, J. (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Novato, CA: Buck. 

  28. Song, Y. (2018). Improving primary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project-based science learning with productive failure instructional design in a seamless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6(4), 979-1008. 

  29. Thomas, W. J.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 based learning. San Farael, CA: Autodes Found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