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교육에 있어서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지원, 만족도 및 성취도 간의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Commitment, Self Regulation Learning Ability, Parent Suppor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Gifted Education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4, 2015년, pp.529 - 546  

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  김동심 (이화여자대학교) ,  임유진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다 나은 영재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영재교육의 성과인 만족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재교육의 성과에 영향 미치는 변인은 $Gagn{\acute{e}}$의 재능분화이론을 통해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지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영재교육원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영재교육에서의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지원,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에서의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부모지원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과제집착력과 부모지원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영재교육에서는 학생들의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부모지원을 높여 만족도와 성취도를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commitment, self regulation learning ability, parent suppor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gifted education. In this study,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gifted education are based on Differentiated Mod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영재성이 영재교육을 통해 재능이 될 수 있도록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기 위해 Gagné(1993)의 재능분화이론을 기반으로 각 관련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또한 영재교육은 대학입학시에 유리한 혜택만 강조되는 과열된 교육열로 인해 수요자인 영재교육 대상인 학생이 인식하는 성과는 간과되어 왔다(한기순,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관점에서 영재교육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여 질 높은 영재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Gagné(2000)는 개인이 가진 영재성이 체계적으로 개발된 기술인 재능으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교육의 촉매제로 신체, 동기, 의지, 자기관리, 성격 등과 같은 개인 내적요인과 개인, 제공, 사건 등의 환경적 요인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의 촉매제인 개인 내적요인으로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환경적 요인으로 부모지원을 선정하여 영재교육의 성과인 만족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이 재능으로 전이해 가는 과정 속에서 촉매제 역할을 하는 개인 내적요인으로서의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부모지원이 영재교육의 성과인 만족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영재뿐만이 아니라 일반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부모지원과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부모지원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주영주, 김동심, 이광희,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에 있어서의 과제집착력, 자기 조절학습능력 및 부모지원과 만족도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재교육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영재프로그램의 성과인 만족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Gagné의 재능분화이론에 근거해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부모 지원으로 선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재능분화이론을 통해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지원, 만족도, 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만족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인 구조 모형 속에서 찾으려고 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Gagné(2004)의 재능분화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영재교육에 있어서 영재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는 과제집착력, 자기 조절학습능력 및 부모지원 변인을 도출하였고 이들 변인 간의 인과관계 여부를 통합적인 구조모형 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영재교육에 있어서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지원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영재교육에 있어서 과제집착력, 자기조절학습능력, 부모지원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Emerick이 14-20세의 영재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성취도와 부모지원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부모지원이 높다고 인식하는 영재일수록 영재교육에서도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었다(Emerick, 1992). 영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제집착력, 자기 조절학습능력 및 부모지원과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성과 재능이 가지는 3가지 공통점은? 영재성과 재능은 3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두 개념 모두 인간의 능력을 다루고, 정상분포나 평균을 상회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고, 뛰어난 행동 때문에 ‘비정상적’이라고도 여겨지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이란? 영재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문제의 유형에 관계없이 집중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성향이 강해서 전반적으로 과제집착력이 높다(Russo, 2004). 두 번째 개인 내적요인으로 선정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통제, 평가, 점검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전략을 구사하는 능력으로, 일반학생보다 영재에게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능력이다(황희숙, 조환옥, 2011). 마지막으로 환경적 요인으로 선정한 부모지원은 학생의 교육성과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변인이다(van Aken & Riksen-Walraven, 1992).
부모지원과 성취도의 관계를 알 수 있는 미국의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도 영재 26명과 높은 성취도 영재 3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높은 성취도의 영재가 낮은 성취도의 영재에 비해 부모지원과 성취도간의 상관관계가 높았다(Baker, Bridger, & Evans, 1998). 미국 6학년 영재와 그들의 부모 127명을 대상으로 부모지원이 성취도 예측여부 살펴본 결과, 부모지원이 높은 영재가 높은 성취도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Ablard & Parker, 1997). Emerick이 14-20세의 영재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성취도와 부모지원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부모지원이 높다고 인식하는 영재일수록 영재교육에서도 높은 성취도를 나타내었다(Emerick, 1992). 영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제집착력, 자기 조절학습능력 및 부모지원과 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충열 (2006). 자녀를 영재로 키우는 가정교육 '10훈'. 아동교육, 16(1), 31-48. 

  2.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서울: 교육부. 

  3. 김기원 (2001).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을 위한 세 가지 Computer Program의 비교. 사회과학연구, 20(2), 223-259. 

  4. 김대명 (2013). 지방대학 전업주부 대학생의 내 . 외재적 동기, 자기 조절학습전략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전남 동부권 대학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4(2), 235-268. 

  5. 김순영, 황덕준 (2012). 과학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의상관분석-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생물과학반 학생 대상. 과학영재교육, 4(2), 93-102. 

  6. 김윤화, 김현주 (2010). 지역 교육청 영재교육원 중학생들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192-205. 

  7. 문지영, 배진호, 소금현 (2014). 과흥분성 조절 전략을 적용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의 과제 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 교육, 33(3), 536-548. 

  8.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9. 송영명 (2011). 특목고 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이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3), 647-669. 

  10. 이용섭, 신명렬 (2013). UCC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4(1), 271-290. 

  11. 장영숙 (2007). 부모용 유아 영재성 평정 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23. 

  12. 장정은, 정윤숙, 최양희, 김성원 (2013).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3(1), 1-16. 

  13. 정미경, 김경현 (2005). 사이버 학습체제에서의 자기조절 학습모형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4(1), 5-23. 

  14.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4). 영재의 후기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 특성 및 환경요인. 교육심리연구, 18(2), 123-141. 

  15. 조선미 (2011). 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자기결정성, 학습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1(3), 611-630. 

  16. 조명희, 이혜연, 이현우 (2013). 고교생의 진로발달, 학교생활만족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구조적 관계. 진로교육연구, 26(2), 91-112. 

  17. 주영주, 김동심, 이광희 (2014). 자율고교생과 특성화고교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소속감,부모지원, 학교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잠재평균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5(3), 223-245. 

  18. 최선영, 여상인 (2011).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의 영재학급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 과학교육논총, 24(1), 37-47. 

  19. 최호성 (2014). 한국 영재교육 10년의 성과와 향후 발전 방안 : 고슴도치와 여우의 협업을 지향하여. 영재와 영재교육, 13(3), 5-30. 

  20. 태진미 (2009). 영재부모 지원의 새로운 접근. 영재교육연구, 19(2), 303-332. 

  21. 하종덕, 송경애 (2004).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4(1), 47-64. 

  22. 한기순 (2006). 과학영재교육원을 통해서 본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인류학연구, 9(1), 123-151. 

  23. 황희숙, 조환옥 (2011).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 사회적 능력 및 자기조절 능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388-399. 

  24. Ablard, K. E., & Parker, W. D. (1997). Parents' achievement goals and perfectionism in their academically talented childre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6(6), 651-667. 

  25.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6. Baker, J. A., Bridger, R., & Evans, K. (1998). Models of under achievement among gifted preadolescents: The role of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Gifted Child Quarterly, 42(1), 5-15. 

  27. Chen, C., & Uttal, D. H. (1988). Cultural values, parents' beliefs, and children's achiev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uman Development, 31(6), 351-358. 

  28. Curry, L. (1984). Student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 in relation to on-task behavior and achievemen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9(2), 171-184. 

  29. Emerick, L. J. (1992). Academic underachievement among th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factors that reverse the pattern. Gifted Child Quarterly, 36(3), 140-146. 

  30. Gagne, F. (1993). Constructs and models pertaining to exceptional human abilities. In K. A. Heller, F. J. Monks, & A.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Oxford: Pergamon. 

  31. Gagne, F. (2004).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1. High ability studies, 15(2), 119-147. 

  32. Grolnick, W. S., & Slowiaczek, M. L. (1994). Parents' involvement in children's schooling: A multidimensional conceptualization and motivational model. Child development, 65(1), 237-252. 

  33. Hatcher, L., Kryter, K., Prus, J. S., & Fitzgerald, V. (1992). Predicting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commitment, and attrition from investment model construc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6), 1273-1296. 

  34. Holahan, C. K. (1981). Lifetime achievement patterns,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gifted aged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36(6), 741-749. 

  35. Kishton, J. M., & Widaman, K. F. (1994).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An empirical ex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4(3), 757-765. 

  36.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nd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7. McCoach, D. B., & Siegle, D. (2003). Factors that differentiate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from high-achieving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7(2), 144-154. 

  38. Pintrich, P. R. (1995). Understanding self-regulated learning.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1995(63), 3-12. 

  39.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 

  40. Piirto, J. (2000). The Piirto pyramid of talent development: A conceptual framework for talking about talent. Gifted Child Today, 23(6), 22-29. 

  41. Puzziferro, M. (2008). Online technologie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learning as predictors of final grade and satisfaction in college-level online courses. The Amer.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2(2), 72-89. 

  42.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43. Russo, C. F. (2004). A comparative study of creativity and cogni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of high-IQ and average students. The Gifted Child Quarterly, 48(3), 179-190. 

  44. Sass, D. A., & Smith, P. L. (2006). The effects of parceling unidimensional scales on structural parameter estimat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3(4), 566-586. 

  45. Shin, N. (2003). Transactional presence as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4(1), 48-58. 

  46. Treffinger, D. J. (1975). Teach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A priori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19(1), 46-59. 

  47. van Aken, M. A., & Riksen-Walraven, J. M. (1992). Parental support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5(1), 101-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