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성 분석
Th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n Archival Contents for Histor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5 no.3, 2015년, pp.193 - 217  

신예진 (대구경북지방병무청) ,  최재황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고안한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활용 수업 결과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실험법을 통해 검사하고,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국내외 사례를 역사적 사고력의 증진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얻은 시사점을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인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생들은 사후검사에서 보다 고른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historical thinking contents through the experimentation methodology.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ill review foreign and domestic historical thinking cases of archival contents for history education; derive some impl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사교육, 사전검사, 수업적용, 사후검사의 절차에 따라 역사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기록정보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그림 2>와 같다.
  •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를 활용하여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지도안을 설계하여 수업에 적용해 봄으로써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효과를 검증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에 중점을 두어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효용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S고등학교(인문계) 1학년 4개 학급에 해당하는 학생 131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법(experimentation)은 인위적으로 특정변수를 조작하여 종속변수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는 것으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설계의 유형은 전실험설계의 일종인 실험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로서 통제집단 없이 무작위 할당으로, 구성되지 않은 실험집단에 대해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독립변수를 부여한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이는 <표 4>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해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을 진행하여,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국가기록원의 교육용 콘텐츠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사료로 배우는 민주화운동 콘텐츠는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해 바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으므로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얻은 시사점을 반영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고, 활동지와 학습과제 등으로 보완하여 재설계된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를 수업에서 활용해 보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최상훈(2000a)이 주장하는 역사적 사고의 하위범주별 규정에 의한 역사적 사고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학생들에게 하위범주별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2)를 활용한 수업을 설계할 때 역사적 사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류한 최상훈의 하위범주 규정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 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본 연구와 관련하여 학생들에게 역사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콘텐츠의 유형별 접근 중 토픽 콘텐츠와 레슨 콘텐츠를 살펴보기로 한다. 토픽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의 1차 사료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 스스로 사료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레슨 콘텐츠는 한두 차시의 수업에서 교사가 활용하거나 가정에서 학생들이 숙제로 해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별 규정에 따른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에 중점을 두어 기록관리 선진국 및 국내의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를 분석해 보고,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에 대한 분석의 결과 얻은 시사점을 반영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해 보고, 수업 전․후에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이 하위범주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후,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성을 분석하여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직접 설계한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의 결과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의 교육적 효용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역사 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국내외 사례를 역사적 사고력 증진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얻은 시사점을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에 반영하였다.
  • 역사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의 사례 분석에서는 기록관리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영국 TNA와 미국 NARA의 교육용 웹사이트 및 국내 국가기록원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 중에서 역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이용자의 특성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역사교육의 중요한 목적인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은 역사적 사고력 콘텐츠에 반영되어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수업에 활용될 것이다.

가설 설정

  • 기록정보 콘텐츠를 수업에서 활용하기에는 역사과목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이는 역사학이 사료를 기반으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정보 콘텐츠이란? 최근의 기록관리 체제는 보존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기록정보를 활용하고, 열람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기록정보의 제공을 위해 이용자를 세분화하여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모색해 나아가고 있다. 기록정보서비스의 한 축을 담당하는 기록정보 콘텐츠는 이용자의 특성이나 요구사항을 고려해 이용자들이 기록물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록물이 전하고자 하는 정보의 내용을 가공한 것이다.
역사교육에 기록정보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이는 역사학이 사료를 기반으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역사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이므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록정보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다양한 교수․학습계획의 수립이 가능해져 생동감 있고 흥미 있는 수업이 진행됨과 동시에 학생들에게는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인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기록정보 콘텐츠를 수업에서 활용하기에 역사과목이 가장 효과적인 이유는? 기록정보 콘텐츠를 수업에서 활용하기에는 역사과목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이는 역사학이 사료를 기반으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역사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가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이므로,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록정보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다양한 교수․학습계획의 수립이 가능해져 생동감 있고 흥미 있는 수업이 진행됨과 동시에 학생들에게는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인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영아 (2007). 연표학습을 통한 역사적 사고력의 발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Kang, Young A (2007). Development of historical thinking through chronological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 강현태 (2008). 학업성취도에 따른 역사적 사고력의 차이. 역사교육연구, 8, 137-184.(Kang, Hyun Tae (2008). Difference of Historical Thinking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Achievement - focus on Chronology comprehension ability and historical.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8, 137-184.) 

  3. 김솔 (2013). 대통령기록물 온라인 콘텐츠의 초등교육 활용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1), 59-79.(Kim, Sol (2013). Application of Online Contents of Presidential Archives in Elementary Education.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13(1), 59-79.) 

  4. 김지수 (1996). 역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료학습 연구 - 고등학교 세계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Kim, Ji Soo (1996). Search for Teaching and Studying Methods for Enhancing Historical Thinking by using Historical Reso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김한종 외 (2005).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서울: 책과함께.(Kim, Han Jong et al. (2005). History Education and Historical Awareness. Seoul: Chaek gwahamkke.) 

  6. 문명숙 (2013). 기록콘텐츠를 활용한 역사인물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Moon, Myeong Sook (2013). A study on the education of a historic figure using record cont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7. 박성경 (2004). 사회과 부도 활용이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6학년 사회과 역사영역수업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Park, Sung Kyung (2004). Effects on the utilization of maps attached to historical thinking: Focused on social studies in the 6th gra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8. 심성보 (2007). 교수.학습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16, 201-256.(Shim, Sung Bo (2007).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6, 201-256.) 

  9. 양호환 (2000). 역사학습의 인식론적 모색. 역사교육, 75, 1-21.(Yang, Ho Hwan (2000). An Epistemological Reorientation of research on History Teaching.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75, 1-21.) 

  10. 양호환 (2001).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삼지원.(Yang, Ho Hwan (2001). Theories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Seoul: Samjiwon.) 

  11. 오정현 (2009). 역사과 평가 문항의 위계성 검토. 역사교육연구, 9, 97-144.(Oh, Jeung Hyun (2009). A Study on Hierarchy of Test Items in History Examination.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9, 97-144.) 

  12. 오항녕 (2007). 역사교육의 또 다른 지평, '아카이브'. 역사교육, 101, 297-327.(Oh, Hang Nyeong (2007). A Reflection on the Self-evi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y Education and Archives.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101, 297-327.) 

  13. 외교부 (2013). 영국개황. 서울: 외교부.(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3). United Kingdom Overview. Seou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4. 이은영 (2011). 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Lee, Eun Yeong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ungji University, Seoul, Korea.) 

  15. 임윤식 (2008). 초등사회과에서 사료를 활용한 역사적 사고력 평가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교육전공.(Lim, Yun Shik (2008). Assessment of historical thinking using historical documents in the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6. 장문각 (2011). 역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비판적 역사 글쓰기 방안: 역사관 적용 학습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사회교육전공.(Jang, Mun Gak (2011). A plan for critical writing to improve historical thinking: focusing on a learning model for application of historical view.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7. 장선영 (2011). 워크숍용 기록정보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5학년 사회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전공.(Jang, Sun Young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Workshop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5th grade social stud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ungji University, Seoul, Korea.) 

  18. 전수진 (2008). 보존기록관리기관의 온라인 콘텐츠 유형과 특징.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127-152.(Jeon, Soo Jin (2008). Analysis on Online Contents Services of National Archives.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8(2), 127-152.) 

  19. 정나래 (2011). 중학생의 역사적 판단력 신장을 위한 수업방안 연구: 여말선초 '조선의 건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Jung, Na Rae (2011). Teaching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nk and judge historically in Korea - Centering on the theme of 'Foundation of Chosu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Korea.) 

  20. 정해준 (1995). 역사적 사고력을 기르는 탐구학습의 방향.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Jung, Hae Joon (1995). The study of inquiry learning theory to enhance the historical thou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won University, Kyoung gi, Korea.) 

  21. 최상훈 (2000a).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와 역사학습목표의 설정방안. 역사교육, 73, 1-35.(Choi, Sang Hoon (2000a). Subcategories of Historical Thinking and Establishment Method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73, 1-35.) 

  22. 최상훈 (2000b). 역사적 사고력의 학습 및 평가 방안.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역사전공.(Choi, Sang Hoon (2000b). Learning and Assessment of Historical Thin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3. 최상훈 (2012). 역사과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책과함께.(Choi, Sang Hoon (2012). Theory and Practice of History Assessment. Seoul: Chaek gwahamkke.) 

  24. 최세훈 (2004). 역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인물을 통한 감정이입적 역사학습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Choi, Sae Hun (2004). Development of elementary history-learning program using empathy in historical figur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5. 홍은민 (2011). 의사결정 에피소드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역사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전공.(Hong, Eun Min (2011). Effects of the Individual-Then-Group Decision-Making Episodes program on Historical Think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26. DocsTeach. 검색일자: 2014. 5. 30. http://docsteach.org 

  27. 국가기록원 교육 콘텐츠. 검색일자: 2014. 6. 10. http://www.archives.go.kr/next/theme/themeView04.do 

  28. 미국 NARA 교사용 자료 사이트. 검색일자: 2014. 5. 18. http://www.archives.gov/education 

  29.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로 배우는 민주화운동 콘텐츠. 검색일자: 2014. 6. 25. http://archives.kdemo.or.kr/Contents 

  30. 영국 TNA의 교육사이트. 검색일자: 2014. 5. 14. http://www.nationalarchives.gov.uk/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