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누룩과 입국을 달리한 막걸리에서 항균활성을 가진 미생물의 분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in Makgeolli of Different Kinds Koji and Nuruk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4, 2014년, pp.577 - 583  

이준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현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진아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정강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병춘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김경임 (혜전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계열) ,  안정희 (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누룩군과 입국군을 달리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균활성을 조사하였고 발효 과정 중 항균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발효 3일째 pH 결과는 누룩군이 입국군에 비해서 낮았다. 그러나 산도와 알코올의 함량은 발효 15일째에서 누룩군이 입국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과 총균수는 입국으로 만든 막걸리가 누룩으로 만든 막걸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평가 결과, 색, 단맛, 향, 목넘김, 전반적 기호도는 입국군(DKB)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항균활성 결과 누룩 샘플 GND, ANF에서 Salmonella enterica,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Bacillus cereus에서 항균력이 나타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균주 ST-1은 GND에서 분리하여 16S rRNA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동정한 결과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RCP6과 99%의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P. polymyxa ST-1은 항진균활성과 항세균활성을 가진 bacteriocin-like substances를 생산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새로운 항미생물 물질은 천연식품보존제 및 사료보존제뿐만 아니라 항생제 대체 의약품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향후 이 물질들의 보다 정확한 구조 및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 with antimicrobial activity in makgeolli made from various kinds of koji and nuruk during fermentation. The pH of nuruk groups decreased compared to the koji groups after 3 days of fermentation. Acidity and alcohol cont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누룩과 입국 종류를 달리하여 만든 막걸리에서 발효 과정 중 변화되는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주정발효 중에 정상적인 발효를 저해하는 오염균들의 생육을 방지하고 발효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누룩과 입국에서 만든 막걸리에서 박테리오신의 특성을 가진 미생물을 분리동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룩의 특징은? 누룩은 각종 전분 분해효소가 풍부하여 효율적인 당화를 유도하는 효소제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효모의 증식으로 알코올 발효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주로 병행복 발효식으로 한국 전통 양조주에 향과 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그러나 입국에서 사용되는 Aspergillus kawachii는 포자의 색이 희고, 유기산과 내산성 당화효소를 생산하므로 이를 탁주양조에 사용하면 술덧의 pH가 안전한 산성을 유지하고 양조시간이 단축되며 알코올 수율도 높아지게 된다(2).
박테리오신의 몇몇 균주 들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 비교적 좁은 항균활성 범위를 가지고 있어 어떤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가? 이러한 박테리오신은 세균에 의하여 생합성된 후 세포 밖으로 배출된 화합물들로서 이들은 대부분 주로 생성균과 같은 속(genus)이나 종(species) 등의 몇몇 균주 들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 비교적 좁은 항균활성 범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8). 때문에 식품부패나 식중독 등에 관여하는 세균, 효모,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대해 총체적으로 적용 가능한 넓은 범위의 항균력을 지닌 천연식품보존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주로 그람양성균의 생육저해를 할 수 있는 유산균 박테리오신과 달리(9), Paenibacillus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그 항균활성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10).
입국에서 사용되는 Aspergillus kawachii의 영향은? 누룩은 각종 전분 분해효소가 풍부하여 효율적인 당화를 유도하는 효소제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효모의 증식으로 알코올 발효제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주로 병행복 발효식으로 한국 전통 양조주에 향과 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그러나 입국에서 사용되는 Aspergillus kawachii는 포자의 색이 희고, 유기산과 내산성 당화효소를 생산하므로 이를 탁주양조에 사용하면 술덧의 pH가 안전한 산성을 유지하고 양조시간이 단축되며 알코올 수율도 높아지게 된다(2). 일반적으로 입국은 탁주의 독특한 향이 없고 아미노산의 함량이 낮으며 입국에서 오는 유기산의 신맛이 지나치게 강하여 누룩으로 제조했을 때와 같은 조화로운 향미를 나타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HH, Lee JH, Ko YJ, Park MH, Lee JO, Ryu CH. 2009. Changes in allergenicity and quality of Nuruk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6-82. 

  2. So MH. 1999.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ditional Nuruk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 Nutr 12: 219-225. 

  3. Yoon CG, Chae SN, Huh NE, Kim HS, Yu TS. 1999. Effects of nuruk or wheat bran supplemented diet on the serum levels of cholesterol and activities of hepatic oxygen free radical metabolizing enzyme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212-217. 

  4. Lee DY, Lee SJ, Kwak HY, Jung L, Heo J, Hong S, Kim GW, Baek NI. 2009. Sterols isolated from nuruk (Rhizopus oryzae KSD-815) inhibit the migration of cancer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9: 1328-1332. 

  5. Jung HK, Park CD, Lee GD, Park SC, Park HH, Hong JH. 2007. Characteristics of Pichia anomala K15 producing killer toxin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77-1082. 

  6. Eun KJ, Jung SK, Lee SJ, Lee KW, Kim GW, Lee HJ. 2008. Nuruk extract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production of nitrite and interleukin-6 in RAW 264.7 cells through blocking activation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J Microbiol Biotechnol 18: 1423-1426. 

  7. Han KS, Oh SJ, Jeon WM, Imm JY, Rheem SS, Kim SH. 2002. Development of bacteriocin preparations from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Salmonella using an experimental design for mixtures. J Korean Dairy Technol Sci 20: 1-8. 

  8. Chang M, Chang HC. 2006. Enhancement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cx1 in the presence of Bacillus subtilis ATCC6633.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21-227. 

  9. Yang EJ, Chang HC. 2007.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like substance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JP1.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339-346. 

  10. Jung HK, Park SC, Park BK, Kim SD, Nam DH, Hong JH. 2008. Characteristics of the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Paenibacillus polymyxa JB115.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65-69. 

  11. Shin ES, Kwon SI, Yoo KH. 2007.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by Paenibacillus polymyxa DY1 isolated from soil. Korean J Environ Biol 24: 342-348. 

  12. Kim DS, Bae CY, Jeon JJ, Chun SJ, Oh HW, Hong SG, Baek KS, Moon EY, Bae KS. 2004. Paenibacillus elgii sp. nov., with broad antimicrobial activity. Int J Syst Evol Microbiol 54: 2031-2035. 

  13. Selim S, Negrel J, Govaerts C, Gianinazzi S, van Tuinen D. 2005.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antagonistic peptides produced by Paenibacillus sp. strain B2 isolated from the sorghum mycorrhizosphere. Appl Environ Microbiol 71: 6501-6507. 

  14. He Z, Kisla D, Zhang L, Yuan C, Green-Church KB, Yousef AE.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Paenibacillus polymyxa strain that coproduces a novel lantibiotic and polymyxin. Appl Environ Microbiol 73: 168-178. 

  15. NTSTSI. 2008. Manufacturing guideline of takju and yakju.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Seoul, Korea. p 195-198. 

  16. Kong MH, Jeong ST, Yeo SH, Choi JH, Choi HS, Han GJ, Jang MS, Chung IM. 2011. Determination of ginseng Yakju quality using different percentages and application dates of ginse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07-214. 

  17. Kim JY, Yi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18. Park SS, Yoon JA, Kim JJ. 2010. Quality properties of Takju (rice wine) added with kidney bea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75-581. 

  19. Jin TY, Lee WG, Lee IS,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I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1-206. 

  20.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21.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22.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 J Microbiol 45: 391-396. 

  23.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24. Jin TY, Wang MH, Yin Y, Eun JB. 2008. Effect of Citrus junos peel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aditional rice wine, Jinyang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76-82. 

  25. Shin ES, Lee HM, Lee BK, Kim SH, Kwon SI, Yoo KH. 2007.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enibacillus polymyxa DY1 isolated from Korean soil with new antibacterial activity. Kor J Microbiol 43: 47-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