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동의 운동기능평가에 대한 Interactive Metronome® LFA의 타당도 연구
Validity of Long Form Assessment in Interactive Metronome® as a Measure of Children's Praxis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3 no.1, 2015년, pp.13 - 22  

김경미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허서윤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미수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이수민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R)}$: IM)의 평가인 Long Form Assessment(LFA)의 구별타당도와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경남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만 6세~만11세의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 25명과 일반 아동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M의 LFA에 대한 구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LFA 수행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ADHD 아동을 대상으로 LFA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일반아동과 ADHD아동에서 IM의 LFA 과제수행을 비교한 결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ADHD 아동에서 IM의 LFA와 BOT-2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LFA의 총점과 BOT-2의 총점에서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또한 LFA의 총점과 BOT-2의 손의조절(rs=-.525) 영역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미세운동 정확성(rs=-.447), 손의 기민성(rs=-.532)과 균형(rs=-.623) 하위항목에서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결론 : 연구결과를 통하여 IM의 LFA는 아동의 운동기능을 판별할 수 있는 도구로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IM의 LFA는 총점으로 운동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며, 아동의 운동기능 평가를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validity of Long Form Assessment, which is an Interactive Metronome $measure^{(R)}$(LFA-IM), as a measurement of praxis of children. Methods : The study was implemented from March 2015 to July 2015. Twenty-fiv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운동기능 평가도구로써 IM의 LFA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세부목적은, 
  • 첫째, ADHD아동과 정상아동의 LFA 수행을 비교하여 구별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 IM은 국내에서 훈련과 평가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나 사용 이전의 점검과정인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검증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M의 LFA가 아동의 운동실행에 대한 수행능 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구별타 당도와 동시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구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ADHD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IM의 LFA를 사용하여 운동수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IM의 LFA의 구별타당도와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별타당도는 IM의 LFA를 사용하여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운동수행능력의 차이를 보았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운동실행 능력을 판별할 도구로서 IM의 LFA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IM의 LFA는 총점으로 운동 실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며, 아동의 운동실행기능 평가를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M의 LFA가 아동의 운동실행에 대한 수행능 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구별타 당도와 동시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구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ADHD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IM의 LFA를 사용하여 운동수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ADHD군은 25명 모두 남자였고 일반아동은 만 6세 1명, 만 11세 2명을 제외한 22명이 남자로 총 5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아동의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들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아동의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들에는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 Peabody 운동발달 척도(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 Test of Motor Impairment: PDMS), Clinical Observations of Motor and Postural Skills (COMPS), Motor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MABC)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평가도구들은 수행결과에 따라 실행 기능의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실행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많은 평가도구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운동실행을 위한 타이밍과 순서화와 관련된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의 3가지 주요한 병리적 증상을 가지며 이차적으로 사회 부적응, 낮은 자존감, 우울감 등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아동기 장애 중 하나이다.
운동계획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운동계획은 주의력, 감각처리, 타이밍, 동시화 능력을 필요로 한다(Claxton et al.,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ERA, APA, & NCME. (1999). Standard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 Barkley, R. A. (1997).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ogical Bulletin, 121, 65-94. 

  3. Barkley, R. A. (2006).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 Bartscherer, M. L., & Dole, R. L. (2005).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for a 9-year-old boy with attention and motor coordination difficulties.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21(4), 257-269. 

  5. Bruininks, R. H., Steffens, K., Spiegl, A., & Werder, J. K. (1990). The Bruininks-Oseretsky Test of the Motor Proficiency: Development, research,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n H. Van Coppencolle & J. Simons (Eds.), Better by Moving: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Psychomotor Therapy and Adapted Physical Activity, (pp. 17-41). Lueven, Belgiun: Acco. 

  6. Bruininks, R. H., & Bruininks, B. D. (200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 Manual. Minnesota: Pearson. 

  7. Cassily, J. F., & Jacokes, L. E. (2001). The Interactive $Metronome^{(R)}$ : A new computer-based technology to measure and improve timing, rhythmicity, motor planning, sequencing and cognitive capabilities. Paper presented at The Infancy and Early Childhood Training Course, Advanced Clinical Seminar, Arlington, Virginia. 

  8. Choi, J. H. (2010). Study on validity of the Korean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nd ed. Masters'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Kim-Hae. 

  9. Cosper, S. M., Lee, G. P., Peters, S. B., & Bishop, E. (2009). Interactive $Metronome^{(R)}$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32(4), 331-336. 

  10. Jung, J. H., Kim, S. K. (2013). The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on bilateral coordination, balance, and upper limb extremity function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Single subject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1(2), 37-48. 

  11. Kadejo, B., & Gillberg, I. C., (1988). Attention deficits and clumsiness in Swedish 7-years-old childre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0, 796-804. 

  12. Kim, K. M. (2003). The literature review for assessment of Sensory Integ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1(1), 93-98. 

  13. Kim, K. M. (2004). A study on the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y.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2(1), 1-10. 

  14. Koommar, J., Burpee, J. D., DeJean, V., Frick, S., Kawar, M. J., & Fischer, D. M. (2000). Theoretical and clinical perspectives on the Interactive Metronome: A view form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2), 163-166. 

  15. Kuhlman, K., & Schweinhart, L. J. (1999). Timing in child development. Ypsilanti: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16. Lee, C. H. (2013), Research methodology for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Seoul: Gyechuk cultural history 

  17. Mauk, M. D., & Buomonano, D. V. (2004). The Neural Basis of Temporal Processing. Annual Review of Neural Basis of Temporal Processing.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27, 207-340. 

  18. Rubia, K. & Overmeyer S., Taylor E., Brammer M., Williams S. C. .R., Simmnes, A., et al., (1999). Hypofrontality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uring higher-order motor control: A study with functional MRI.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 891-896. 

  19. Seok, I. S. (2009).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children with impulsive and inattentive behavioral problem.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5(1), 109-122. 

  20. Shaffer, R. J., Jacokes, L. E., Cassily, R. F., & Stemmer, P. J. Jr. (2001). Effect of intereactive $metronome^{(R)}$ training on children with ADHD.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2), 155-162. 

  21. Somme, M., & Ronnqvist, L. (2009). Improved motor-timing: Effects of synchronized metronome training on golf shot accuracy, Journal of Sports Science and Medicine, 8, 648-656. 

  22. Rea, L. M., & Parker, R. A. (2005). Designing &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3r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3. Wickelgren, W. A. (1977). Speed-accuracy tradeoff and information processing dynamics. Acta Psychologica, 41, 67-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