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on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3 no.1, 2015년, pp.33 - 43  

박해성 (해성아동인지발달센터) ,  김경미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장문영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발달지체 아동의 부모 30명으로, 연구 기간은 2015년 3월 15일부터 동년 5월 10일까지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임의로 배정하였고, 실험군 15명에게는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을 1:1로 집중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조군 15명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 변화는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과 부모의 이해도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집단 간 치료 효과는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내 치료 전후의 효과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단축감각프로파일의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 부모의 이해도 설문지의 총점은 높아졌다. 이를 통해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 있는 중재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는 치료사들에게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좋은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with sensory integration approach on the parent's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their ow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s : The period of this study is from March 15, 2015 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에게 연구자와 1:1로 1시간 동안 집중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감각통합의 정의와 감각체계에 대한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한 후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감각처리모델에 대한 설명, 감각기능이상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후, 감각통합 발달의 단계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대상자들 자녀의 감각처리에 대한 질문을 받고 아동의 행동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방법에 대하여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다.
  • 본 연구는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밝힘으로써,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치료를 하는 치료사들이 부모교육을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들이 객관화된 자녀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의 상태를 치료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아동의 중재 계획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임상에서 감각통합치료를 위한 평가 시 부모들이 자녀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실시한 단축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의 총점은 중재 이후 의미 있게 낮아지고 부모의 이해도 설문지 총점은 의미 있게 높아졌다.
  •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프로그램 진행 방식은 토론회와 개별면담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치료가 아동중심의 개별 치료를 원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아동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개별면담으로 진행하였고, 부모와 토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아동의 감각처리특성에 대한 부모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그러나 국내의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가정프로그램의 경우, 아동의 증상 변화에만 중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며(Jo, 2007; Jung, 2010; Lee, Kim, Jo, & Park, 2003), 감각통합접근 부모교육이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의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감각 통합접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발달지체 아동의 부모에게 적용함으로써, 부모가 아동을 평가하는 감각처리능력에 대한 이해도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용 타당도' 방법은 무엇인가? 내용 타당도는 척도의 문항을 논리적이고 주관적으로 분석하여 그 타당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Lee, 2007). 작업치료(학)과 교수 2명과 작업치료사 8명을 전문가 패널로 구성하였다.
단축감각 프로파일은 무엇인가? 현재 감각통합 평가도구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체크리스트는 단축감각 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SSP)이다. 이는 기능적인 행동과 감각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을 부모의 보고에 의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감각처리의 어려움이 있는 아동을 선별하는데 유용한 도구이다(Kim, 2004; McIntosh, Miller, Shyu, & Dunn, 1999). 그러나 부모 보고형 설문지는 부모들이 알고 있는 자녀의 증상에 대한 인식이 진단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ogers, Hepburn, & Wehner, 2003).
발달지체 아동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감각의 발달은 아동이 성장하면서 적절한 운동, 인지, 행동 그리고 정서 발달로 이어지게 되며, 모든 아동이 영․유아기의 발달과정에서 일상생활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습득한다(Lee, 2004). 그러나 발달지체 아동은 운동기능이 일반아동에 비하여 현저히 지체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감각기능과 운동기능면에서 어려움이 있다(Chang, Choi, & Song, 2000). 발달지체 아동은 주변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여러 가지 자극을 지나치게 싫어하거나 집착하기도 하는 등 감각자극에 대하여 비정상적인 반응을 하기도 한다. 발달지체는 영유아기에 의뢰되는 주호소 문제로서 그 빈도가 가장 높고, 영유아기에 나타나는 발달지체는 이후 정신지체, 뇌성마비, 언어장애, 자폐와 같은 발달장애의 진단과도 연관된다(Sices, Feudtner, Mc Laughlin, Dr otar, & Williams,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anek, G. T., Foster, L. G., & Berkson, G. (1997). Sensory defensiveness i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17, 173-185. 

  2.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2nd ed., pp. 339-341). Philadelphia: Davis, F. A. 

  3. Bundy. A. C.,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A Jean Ayres' theory revisited. 

  4. Chang, E. J. (2011). The study of patents' recognition and necessity about sensory integration treatment depending on disability type of children.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5. Chang, M. J., Choi, W. H., & Song, C. H. (2000). Effects of Gross Motor Training Program on Gross Motor Developments in Children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Adaptive Physical Activity & Exercise, 8(1), 91-103. 

  6. Dunn, W. (1997). The impac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on the daily live so young children and families: A conceptual model. Infant and Young Children, 9(4), 23-25. 

  7. Eun, S. H., & Hahn, S. H. (2015). Metabolic evaluation of children with global developmental delay. Korean Journal of Pediatric, 58(4), 117-22. 

  8. Ji, S. Y. (2003). Comparison of Japanese sensory inventory-2 score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 1-8. 

  9. Jo, E. H. (2007). The effect of home-based program of sensory integration on development and sensory profile among delayed developmental children.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10. Jung, H. J. (2010). The effect of home-based program of sensory integration through parent education on the sensory profile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11. Kim, K. M. (2004). A study on the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2(1), 1-10. 

  12. Kim, K. M., Kim, J. M., No, J. S., Park, S. H., Yoo, E. Y, Chang, M. Y., et al (2006).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Seoul: Koonja Publisher. 

  13. Kim, K. M., Ji, S. Y., & No, J. S. (2003). Sensory Integration Q&A. Seoul: Jeongdam Midieo. 

  14. Kim, M. H., & Shin, H. S. (2001). Assessment by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s potential abilities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2(4), 33-50. 

  15. Kim, M. S. (2001). A Comparis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Y. M. (2008). Development of early screening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for infant with sensory integration deficiency.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7. Kim, Y. M., & Kim, H. Y. (2010). Recognition of primary caregivers and teachers on characteristics to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of infant with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53(1), 65-81. 

  18. Lee, C. H. (2007). Research Methodology for Physical therapist & Occupational Therapist. Seoul: Gyechug munhwasa. 

  19. Lee, S. A., Kim, J. Y., Jo, E. H., & Park K. Y. (2003). The effect of home-based program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 1-13. 

  20. Lee, S. J. (2010). Artful therapy program research and development based on needs analysis about education for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Focus on object.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1. Lee, S. Y. (2004).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2. Lyu, J. H. (2002).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preschools' playfulnes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3. McIntosh, D. N., Miller, L. J., Shyu, V., &Dunn, W. (1999). Overview of the short sensory profile. In: W. Dunn (Ed.), The Sensory Profile: Examiner's manual (pp. 59-73).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operation. 

  24. Oh, M. A. (2005). A study on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oward young children's multi-intelligence assessment.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Seoul. 

  25. Polit, D. F., Beck, C. T., & Owen, S. V. (2007).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0(4), 459-467. 

  26. Rogers, S., Hepburn, S., & Wehner, E. (2003). Parent report of sensory symptoms in toddlers with autism and those with other developmental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3(6), 631-642. 

  27. Rosenberg, S. A., Zhang, D., & Robinson, C. C . (2008). Prevalence of developmental delays and participation in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young children. Pediatrics, 121, E1503-1509. 

  28. Seong, T. J., & Si, K. J. (2006). Research Methodology. Seoul: Yangseowon. 

  29. Sices, L., Feudtner, C., Mc Laughlin, J., Dr otar, D., & Williams, M. (2004). How do primary care physicians manage children with possible developmental delays? A national survey with an experimental design. Pediatrics, 113(2), 274-282. 

  30. Wee, S. M. (2002). A study on the parents' needs in construct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at special schools. Master'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on. 

  31. Wong Virginia, C. N., & Chung Brian, H. Y. (2006). Evaluating a child with partial developmental delay (ParDD), global developmental delay (GDD)/mental retardation (MR): Clinical expertise based or evidence-based?. Current Pediatric Reviews, 2(2), 143-1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