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From 2003 to 2014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3 no.1, 2015년, pp.45 - 56  

정남해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작업치료학과) ,  장문영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 분야와 동향을 분석하여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학회지가 발간된 2003년부터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2003년부터 2014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97개 연구의 형태 및 동향, 근거수준, 대상자, 연구비 지원 수혜 연구의 비율, 연구영역을 분석하였다. 결과 : 매 5년마다 연구 형태는 실험연구 비율이 가장 높았고, 실험연구와 고찰연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질적 수준을 살펴보면,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사례 연구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그 중 전반적 발달장애와 발달지연, 지적장애 순으로 많았다. 대상자의 연령은 초등학생, 유아 순으로 많았으며, 대상자 수는 10명 이하가 가장 많았다. 2008년 이후 수록된 전체 연구 중 연구비 지원 수혜 대상 연구는 50%이었다. 표준화된 평가 중심으로 연구영역을 살펴보면, 감각조절, 상호작용, 발달 순으로 많았고, 비표준화된 평가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행동관찰과 임상관찰 순으로 많았다. 결론 : 높은 근거 수준의 연구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감각통합을 측정하는 민감도가 높은 체계적인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작업치료의 근거중심실행을 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analyze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field and trends. Methods : Types of studies, research trends, levels of evidence, participants, funding sources and research areas were ana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관련분야의 근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전문가들이 연구전반에 대하여 파악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감각통합치료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목적은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에 수록된 연구의 형태 및 근거수준과 연구 대상자의 연령, 진단군 및 수를 파악하고, 연구비 지원사업 수혜 대상 연구의 비율과 연구 분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감각통합치료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목적은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에 수록된 연구의 형태 및 근거수준과 연구 대상자의 연령, 진단군 및 수를 파악하고, 연구비 지원사업 수혜 대상 연구의 비율과 연구 분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5년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지로 선정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감각통합치료 분야의 연구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회지가 발간된 2003년부터의 연구를 전수 조사하여 연구 설계, 연구 대상자, 연구 분야 및 연구비 지원 여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2015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가 등재후보지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의 감각통합치료 영역에서의 연구는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분야에서 근거중심실행의 필요성이 강조된 이유는 무엇인가? 근거중심실행(Evidence-Based Practice: EBP)은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하여 연구 근거, 임상적 전문 지식과 환자의 가치를 통합하는 것이다(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 Haynes, 2000). 국내 작업 치료 관련법령의 제정과 개정 등으로 작업치료사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면서 작업치료분야에서도 근거중심실행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ieberman & Scheer, 2002; Yoo, Lee, Lee, Park, & Yoo, 2011). 근거중심실행은 과학적인 연구를 찾아 분석하고 사용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으로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중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Lloyd-Smith, 1997).
근거중심실행이란 무엇인가? 근거중심실행(Evidence-Based Practice: EBP)은 임상적 의사결정을 위하여 연구 근거, 임상적 전문 지식과 환자의 가치를 통합하는 것이다(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 Haynes, 2000). 국내 작업 치료 관련법령의 제정과 개정 등으로 작업치료사의 전문성과 역량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면서 작업치료분야에서도 근거중심실행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ieberman & Scheer, 2002; Yoo, Lee, Lee, Park, & Yoo, 2011).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감각통합치료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이유는 무엇인가? 관련분야의 전문학술지를 분석하는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주제의 변천사와 전문가의 관심사를 파악하는 하나의 방법이다(Anderson, Tang, & Barney, 2006). 뿐만 아니라, 관련분야의 근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전문가들이 연구전반에 대하여 파악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에 대한 통찰력을 갖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감각통합치료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derson, E. M., Tang, J. J., & Barney, K. F. (2006). The importance of occupational therapy contributions to health services research.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26(3), 104-116. 

  2.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3. Baranek, G. T., Foster, L. G., & Berkson, G. (1997). Sensory defensiveness in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17, 173-185. 

  4. Case-Smith, J., & Powell, C. A. (2008). Research literature in occupational therapy, 2001-2005.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4), 480-486. 

  5. Daly, J., Willis, K., Small, R., Green, J., Welch, N., Kealy, M., et al. (2007). A hierarchy of evidence for assessing qualitative health research.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0(1), 43-49. 

  6. Kim, K. M. (2003). Historical review of sensory integr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1(1), 73-79. 

  7.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2007). Looking back- The history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5(1), 65-69. 

  8. Lieberman, D., & Scheer, J. (2002). AOTA's evidence-based literature review project: An over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 344-349. 

  9. Lloyd-Smith, W. (1997). Evidence-based practice and occupational therapy.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 474-478. 

  10. Marshall, M., Lockwood, A., Bradley, C., Adams, C., Joy, C., & Fenton, M. (2000). Unpublished rating scales: A major source of bias 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of treatments for schizophrenia.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6(3), 249-252. 

  11. O'Brien, J. C., Hussey, S. M., & Sabonis-Chafee, B. (2012).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therapy. Missouri: Elsevier. 

  12. Robert, K. Y.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London: SAGE. 

  13. Sackett, D. L., Straus, S. E., Richardson, W. S., Rosenberg, W., & Haynes, R. B. (2000). Evidence-based medicine: How to practice and teach EBM.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14. Salter, K. L., Teasell, R. W., Foley, N. C., & Jutai, J. W. (2007). Outcome assessment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stroke 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86(12), 1007-1012. 

  15. Sandelowski, M. (2004). Using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4(1), 1366-1866. 

  16. Shumway-Cook, A. & Horak, F. B. (1986). Assessing the influence of sensory interaction of balance. Suggestion from the field. Physical Therapy, 66(10), 1548-1550. 

  17. Wikipedia. (2015. 7. 25.). Sensory processing disorder. 24 August, 2013. Retrieved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ensory_processing_disorder. 

  18. Yoo, E. Y., Lee, J. S., Lee, J. Y., Park, H. Y., & Yoo, J. E. (2011). Research literature in Korean occupational therapy by using 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1), 29-4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