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화 공간을 제공하는 마을 같은 도시형 공공병원의 건축공간 구성방식과 설계적용 연구
A Study of Architectural Space Organization for the Promotion of Interactive Conversations and the Design Application for a Public Hospital Project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1 no.3, 2015년, pp.47 - 55  

이영진 (Master of Architecture program, Hanyang University) ,  이정만 (School of Architecture, Hanyang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hile medical standard is rapidly improved, welfare of users and employees in hospitals is not treated correspondingly. Intercommunication of hospital users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for their welfare, and provision of conversation spaces within hospital environment needs to be exp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인간관계의 목적으로 화자가 상대방과의 인간관계를 변화 시키려고 하는 심리적 욕망 때문이다. 둘째, 행위의 목적으로 화자가 상대방의 특정한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4)
  •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 요구되고 있는 대화 공간(Conversation space)은 무엇이며, 어떻게 설계되고 있는지 국내외 사례를 통해 건축설계 상의 시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대화 공간(Conversation space)을 제공하는 마을같은 도시형 공공병원”의 공간구성방법을 제안하고, 적용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규명한 6가지의 대화를 위한 공간구성방법을 서울시 합정동에 가상적으로 계획한 공공병원 설계에 적용함으로써 제안하는 공간구성 방법의 유효성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노력으로 본 연구는 구성되었다. 본 병원은 필자의 개인 작품으로 규모 354 beds, 지상6층, 지하 3층의 공공병원을 구상하였고, 장기 입원하는 경증환자와 지역주민이 주 사용자로 하며, 인근지역의 보건의료에 초점을 둔 병원이다.

가설 설정

  • 넷째, 공간의 높이에 대한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공간의 높이는 기본적으로 감성적인 요소와 통함이 인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화가 유도되는 6가지행 위요소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 목적을 기준으로 병원에서 ”대화가 유도되는 6가지행 위요소“들을 규명하면 ① Eating, ② Meeting, ③Reading, ④Walking, ⑤Listening, ⑥Watching 등이 있으며, 대화 공간을 조사할 때 사용하기로 하였다.
대화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대화란 사전적 의미로 “마주 대하여 이야기를 주고받음. 또는 그 이야기” 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런 대화는 기본적으로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목적으로 한다.
병원에서 대화 공간은 어떤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는가? 병원에서 “대화 공간‘이란 바로 이 비공식 커뮤니케이션과 유사한 상황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 된다. 즉 환자들에 치유와 힐링(Healing)을 요구하는 대화란 단순히 정보전달을 위한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수다나 가벼운 담소에 의한 비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필요로 하고 있고, 강화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hn, Hai yeong, A Study on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of Ettore Sottsass' commercial spaces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1 

  2. Archdaily, www.archdaily.com 

  3. Jang, Yoo Jung, A Study on spatial concepts for common office areas to facilita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11.12 

  4. Kim, byoung-Sun, Study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Using Insult, Chungnam University Social Science Research, 2010 

  5. Kim, Gwangmun, Hospital architecture, Sejinbook, 2012 

  6. Kim, Jun-Young, A Study 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Eating & Drinking Space by Analysis of Takashi Sugimoto's Design Characteristic and Design Method, Konk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1.2 

  7. Kim, man-young,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Concerned for the Inpatient Space at the Corridor and Resting Space in the Ward of General Hospital, Ha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6.6 

  8. Lee, Jungman,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design theory development model, Dong-myeong Publishers, 1998 

  9. Mira Locher, Super Potato Design, Tuttle Pub, 2006 

  10. Park, minuk reporter, Medical today, Hospital workers, seven people out of 10 "must be frank to hide emotions.", 2014.12.12. 

  11. Seoul GIS services, gis.seoul.go.kr/SeoulGis/NewStatisticsMap2.jsp 

  12. Shin, Hyung-Sub, Study and design suggestion of ways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and visitors in shared patient's room, K.S.D.S 2010.10 

  13. 杉本貴志, 岩立マ一シャ, 春秋, チャ一ルズイ一タトル出版,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