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과 외래 의료이용 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Psychiatry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Visit of Mental Patient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7 no.4, 2017년, pp.315 - 323  

동재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이광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purposed to analyze the effect of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psychiatry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 on the outpatient visit of mental patients. Methods: Data was provided from the Statistics Korea and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 정신질환 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한 후 접근성이 의료서비스 이용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15년 통계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지리정보서비스, 그리고 한국교통연구원 자료를 사용하여 정신건강의학과가 설치된 종합병원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 한 후 공간적 접근성과 외래 내원일수 간의 관계를 있는지 분석하였다. 103개의 지역에 대한 분석결과 평균 이동 거리, 평균 이동 시간, 인구수, 여성인구 비율, 노인인구 비율, 정신 의료기관 수는 외래 내원일수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 셋째, 여성의 의료기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과 노인인구, 여성인구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지역별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의 정신질환 환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급여 환자의 외래 정신과 진료의 본인부담률을 낮추는 의료급여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이 2017년 3월부터 시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시·구와 같은 기초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하고 있으며, 정신건강의학과가 개설된 종합병원(이하 종합병원)에 대한 지역 내 공간적 접근성과 지역 내 종합병원의 외래에 방문한 환자 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군’ 지역 주민의 정신질환 기관에 대한 접근성 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첫째, ‘군’ 지역 주민의 정신질환 기관에 대한 접근성 문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가하는 정신질환 환자 수로 인한 문제점은? 증가하는 정신질환 환자 수로 인해 많은 경제적 비용과 의료이용이 발생하고 있다. 우울증으로 인한 미국의 경제적 비용 부담은 연 평균 약 2.
2016년 정신건강 종합대책, 정신건강사업 정책의 한계점은? 특히 정신건강증진서비스의 접근성 증진을 위한 보건소와 정신건강증진센터, 의료기관 등 정신의료서비스의 연계 제공, 노인 정신건강을 위한 검사 및 예방활동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위 정책들은 지역별로 세분화한 정책이 아닌 국가 전체의 질병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인구집단에 따라 가질 수 있는 수요와 서비스 제공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필요한 정신건강서비스 수요에 따라 서비스가 다르게 제공된다면 환자들이 지역에서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효율적일 것이며, 그리고 나아가 효과적인 정책운영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접근성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접근성은 보건의료서비스(health care)에서 실현된(revealed) 접근성과 잠재적인(potential) 접근성, 공간적(spatial) 접근성과 비공간적(aspatial) 접근성으로 분류되고 있다. 실현된 접근성은 발생된 의료서비스의 이용에 초점을 두는 것이고, 잠재적인 접근성은 의료자원 분배의 균등 혹은 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에 초점을 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National mental health statistics plot stud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3. Greenberg PE, Fournier AA, Sisitsky T, Pike CT, Kessler RC. The economic burden of adul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e United States (2005 and 2010). J Clin Psychiatry 2015;76(2):155-162. DOI: https://doi.org/10.4088/JCP.14m09298. 

  4. Kim RB, Park KS, Lee JH, Kim BJ, Chun JH.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 and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ymptom on self-rated health status, outpatient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quality of lif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1;28(1):81-92. 

  5. Kim E, Woo JM, Kwon JS. Cost of relaps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Korea. Korean J Psychopharmacol 2011;22(1):29-33. 

  6.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statistical yearbook on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region.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5. 

  7. Ngamini Ngui A, Vanasse A. Assessing spatial accessibility to mental health facilities in an urban environment. Spat Spatiotemporal Epidemiol 2012;3(3):195-203. DOI: https://doi.org/10.1016/j.sste.2011.11.001. 

  8. Bello AK, Hemmelgarn B, Lin M, Manns B, Klarenbach S, Thompson S, et al. Impact of remote location on quality care delivery and relationships to adverse health outcomes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Nephrol Dial Transplant 2012;27(10):3849-3855. DOI: https://doi.org/10.1093/ndt/gfs267. 

  9. Aisbett DL, Boyd CP, Francis KJ, Newnham K, Newnham K. Understanding barriers to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for adolescents in rural Australia. Rural Remote Health 2007;7(1):624. 

  10. Luo W, Wang F. Measure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in a GIS environment: synthesis and a case study in the Chicago region. Environ Plan B Plan Des 2003;30(6):865-884. 

  11. Joseph AE, Phillips DR.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geographical perspectives on the health care delivery. New York (NY): Harper and Row Publishers; 1984. 

  12. Pfeiffer PN, Glass J, Austin K, Valenstein M, McCarthy JF, Zivin K. Impact of distance and facility of initial diagnosis on depression treatment. Health Serv Res 2011;46(3):768-786. DOI: https://doi.org/10.1111/j.1475-6773.2010.01228.x. 

  13. Park KD. An analysis on regional unbalance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 Korea: space dependency. Korea Assoc Policy Study 2012;21(3):388-415. 

  14. Baek IR, Park HS, Byun SS. The determinants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private health insurance. J Korea Contents Assoc 2012;12(7):295-305. DOI: https://10.5392/JKCA.2012.12.07.295. 

  15. Shin HS, Lee SH. Factors affecting spatial distance to outpatient health services. Health Policy Manag 2011;21(1):23-43.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1.21.1.023. 

  16. Lee EJ, Moon KJ, Lee KS. Effects of spatial accessibility on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for an internal medicine of a hospital. Health Policy Manag 2016;26(3):233-241.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6.26.3.233. 

  17. Yang JY, Lee NY. A note on the population center for Korea. Int J Reliab Appl 2015;15(3):192-196. 

  18. Kim S, Kim T, Suh K. Assessment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using real road distance focusing on Pyeongchang-gun. J Korean Soc Agric Eng 2015;57(4):39-49. DOI: https://doi.org/10.5389/KSAE.2015.57.4.039. 

  19. Fraser C, Jackson H, Judd F, Komiti A, Robins G, Murray G, et al. Changing places: the impact of rural restructuring on mental health in Australia. Health Place 2005;11(2):157-171. DOI: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4.03.003. 

  20. Owen KK, Obregon EJ, Jacobsen KH. A geographic analysis of access to health services in rural Guatemala. Int Health 2010;2(2):143-149. DOI: https://doi.org/10.1016/j.inhe.2010.03.002. 

  21. Lawrence D, Mitrou F, Zubrick SR. Smoking and mental illness: results from population surveys in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BMC Public Health 2009;9:285. DOI: https://doi.org/10.1186/1471-2458-9-285. 

  22. Yoon MS, Choi MM. Effects of welfare and mental health resources on the suicide in community: focused on social welfare infra and mental health infra. J Community Welf 2012;40(1):213-238. DOI: https://doi.org/10.15300/jcw.2012.03.40.213. 

  23. Wade TJ, Pevalin DJ. Marital transitions and mental health. J Health Soc Behav 2004;45(2):155-170. DOI: https://doi.org/10.1177/002214650404500203. 

  24. Rosenthal TC, Fox C. Access to health care for the rural elderly. JAMA 2000;284(16):2034-2036. DOI: https://doi.org/10.1001/jama.284.16.2034. 

  25. Saxena S, Thornicroft G, Knapp M, Whiteford H. Resources for mental health: scarcity, inequity, and inefficiency. Lancet 2007;370(9590):878-889.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07)61239-2. 

  26. Jacob KS, Sharan P, Mirza I, Garrido-Cumbrera M, Seedat S, Mari JJ, et al. Mental health systems in countries: where are we now? Lancet 2007; 370(9592):1061-1077.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07)61241-0. 

  27. Ma S, Kim H.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Korea Spat Plan Rev 2011;70:61-75. DOI: https://doi.org/10.15793/kspr.2011.70..004. 

  28. Lee HY, Shim J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2nd ed. Paju: Bubmunsa; 2011. 

  29. Schmitt SK, Phibbs CS, Piette JD. The influence of distance on utilization of outpatient mental health aftercare following inpatient substance abuse treatment. Addict Behav 2003;28(6):1183-1192. DOI: https://doi.org/10.1016/s0306-4603(02)00218-6. 

  30. Zulian G, Donisi V, Secco G, Pertile R, Tansella M, Amaddeo F. How are caseload and service utilisation of psychiatric services influenced by distance?: a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11;46(9):881-891. DOI: https://doi.org/10.1007/s00127-010-0257-4. 

  31. Lee YJ. Region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resources. Soc Welf Policy 2005;22:255-279. 

  32. Hwang YH.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expenditure of the elderly based on KHP. Health Welf Forum 2011;(182):51-59. 

  33. Choi HS, Lee HS. A comparative study on total payment of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patients admitted through the emergency room: focusing on main & sub sick. J Korea Contents Assoc 2014;14(10):562-569.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62. 

  34. You CH, Kwon YD. Factors influencing medical institution selection for outpatient services. J Korean Med Assoc 2012;55(9):898-910. DOI: https://doi.org/10.5124/jkma.2012.55.9.898. 

  35. Hwang JY, Jeong JH, Kim Y, Aum YM, Hong SC, Han JH. Changes of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registered in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comparing 2008 with 2012. Korean J Psychopharmacol 2014;25(4):217-223. 

  36. Park JH, Kim KW.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1;54(4):362-369. DOI: https://doi.org/10.5124/jkma.2011.54.4.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