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와송 급여 흰쥐의 orotic acid 유발 지방간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Orostachys malacophyllus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Model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8 = no.184, 2015년, pp.917 - 924  

안희영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최다정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와송과 유산균 발효 와송을 식이 중에 2.5% 및 5.0% 수준으로 첨가하여 10일간 흰쥐에 급여하고, orotic acid 유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일으켜 임상생화학적 특성 및 조직 내 항산화 활성 및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OA군은 간 기능 지표 효소인 혈중 AST, ALT, ALP, cholinesterase, LDH 활성에서 모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지만, OM군과 FOM군은 활성이 감소하여 N군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유의적으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OM군보다 FOM군이 더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LDH에서 5FOM군은 N군보다 더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OA군은 간 조직의 분획물, 고환, 신장, 비장의 TBARS의 함량이 증가하였지만, OM군과 FOM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5FOM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장기 내 존재하는 glutathione의 함량 또한 OA군이 N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OM군과 FOM군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5FOM군에서 N군에 상응하는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비장과 심장에서는 N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유산균 발효 와송은 orotic acid 유발 비알코올성 흰쥐 지방간에 대한 개선 효과를 보여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인 건강식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Orostachys malacophyllus (OM) and fermented O. malacophyllus (FOM) in Sprague-Dawley rats who had been intoxicated with 1% (w/w) orotic acid (OA) for 10 days. The activities of several hepatic enzymes,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alacophyllus 가 농도 의존적으로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20]. 따라서 실제 농가에서 재배되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O. malacophyllus와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O. malacophyllus 의 식이 첨가가 orotic acid 유발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Anderson, M. E. 1998. Glutathione biosynthesis. Chem. Biol. Interact 24, 1-14. 

  3. Bendich, A., Machlin, L. J. and Scandurra, O. 1986. The antioxidant role of vitamin C. Free Radic. Bio. Med. 2, 419-444. 

  4. Beutler, E., Duron, O. and Kelly, B. M. 1963. Improv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glutathione. J. Lab. Clin. Med. 61, 882-888. 

  5. Bruce, A. F. and Carpo, J. D. 1982. Biology of disease :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 47, 412-438. 

  6. Cha, J. Y., Meada, Y., Oogami, K., Yamamoto, K. and Yanagita, T. 1998. Association between hepatic triacylglycerol accumulation induced by administering orotic acid and enhenced phospatidate phosphohydrase activity in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508-513. 

  7. Chiba, H., Takasaki, M., Masuyama, R., Uehara, Kanke, Y., Suzuki, K. and Goto, K. 1998. Time course of change in hepatic lipid peroxide level in iron-deficient rats. J. Jpn. Soc. Nutr. Food Sci. 51, 201-206. 

  8. Duncan, D. B. 1959.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 1-42. 

  9. Jeong, K. J., Chon, Y. S., Ha, S. H. and Yun, J. G. 2013. Optimum light intensity, media and fertilization for potted Orostachys malacophyullus from Taebaek. Flower Res. J. 21, 46-51. 

  10. Ki, H. Y., Song, S. W., Ha, C. S. and Han, S. S. 1993. Effects of the population density on growth and various physiological values of sprague-dawley rats. Kor. J. Lab. Ani. Sci. 9, 71-82. 

  11. Kim, C. H., Park, J. H., Lim, J. K., Lee, K. J., Chung, G. Y. and Jeong, H. J. 2003.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of Orostachys jaonicus A. Berger. Kor. J. Med. Corp. Sci. 11, 31-39. 

  12. Kim, N. H. 2013. The analysi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study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tervention types and measurement parameters. J. Kor. Biol. Nur. Sci. 15, 43-53. 

  13. Klaus, J. and Henke, W. 1996. Developmental changes of antioxdiant enzyme in kidney and liver from rats. Free Radic. Biol. Med. 20, 613-620. 

  14. Lee, H. S., Ryu, D. S., Lee, G. S. and Lee, D. S.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Orstachys japonicus in RAW 264.7 cells: suppression of NF-kB activation and MAPK signaling. J. Ethnopharmacol. 140, 271-276. 

  15. Lee, S. J., Seo, J. K., Shin, J. H., Lee, H. J. and Sung, N. J.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 Soc. Food Sci. Nutr. 37, 605-611. 

  16. Lowry, O. H., Rosebrough, N. J., Farr, A. L. and Randall, R. S.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7. McCullough, A. J. 2002. Update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Clin. Gastroenterol. 34, 255-262. 

  18. Meister, A. and Anderson, M. E. 1983. Glutathione. Annu. Rev. Biochem. 52, 711-771. 

  19. Ohkawa, H., Ohishi, N. and Yagi, K. 1979.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20. Park, K. R., Ahn, H. Y. and Cho, Y. S. 2014. Effect of Orostachys malacophyllus by fermented lactic acid bacteria on plasma levels of lipid and lipid peroxidation in alcohol feeding rats. J. Life Sci. 24, 677-685. 

  21. Plaa, G. L. and Charbonneau, M. 1994. Detec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ly induced liver injury. Principles and Methods of Toxicology 5th ed. 1465-1507. 

  22. Plaa, G. L. and Witschi, H. 1976. Chemicals, drugs and lipid peroxida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16, 125-141. 

  23. Shin, J. H., Lee, S. J., Seo, J. K., Lee, H. J., Ju, J. C. and Sung, N. J. 2012. Effect of a combined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with medicinal plants on the lipid composition of the liver and kidney from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41, 510-518. 

  24. Sohn, J. H. and Kim, T. Y. 2010. Recent update on pathogenesi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or. J. Intern. Med. 79, 461-474. 

  25. Yoon, S. Y., Lee, S. Y., Kim, K. B. W. R., Song, E. J., Kim, S. J., Lee, S. J., Lee, C. H. and Ahn, D. H.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J. Kor. Soc. Food Sci. Nutr. 38, 14-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