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수변 외래식물인 털물참새피의 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a Waterfront Alien Plant,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under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2 no.3, 2015년, pp.206 - 215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승현 ((주)청록환경생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따른 침입외래식물의 잠재적 분포지를 예측하는 것은 하천과 저수지에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적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털물참새피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의 잠재적 미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털물참새피는 담수생태계의 수변에서 심각한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는 침입 초본식물이다. 현재와 미래의 기후에서 털물참새피의 잠재적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Maxent 모델을 적용하였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기후 자료로서 Worldclim 1.4의 19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고, 미래의 기후 자료로서 RCP 2.6와 RCP 8.5 시나리오에 따라서 HadGEM2- AO에 의하여 예측된 기후 변수를 사용하였다. 예측된 털물참새피의 현재 잠재분포지는 실제 위치 자료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식물의 잠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수는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량, 연평균기온 및 가장 추운 분기의 평균기온이었다. 2050년에 기후변화에 따른 털물참새피의 분포 예측에 의하면 이 식물의 현재 분포지에서는 기후 적합성이 대체로 감소하였고, 이 식물이 보다 내륙과 북쪽으로 분포지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예측 모델은 잠재적 분포를 이해하고 분포 변화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며 외래식물에 의한 생물적 침입의 위해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dicting the changes in the potential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under climate change is an important and challenging task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s in streams and reservoir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potent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반도에서 분포지역이 주로 남부지역에 제한되어 있고 하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침입외래식물은 털물참새피를 대상으로 종 분포 모델링을 이용하여 1) 현재 한반도의 잠재적 분포지역을 파악하고, 2)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인 분포지의 변화를 예측하여, 3) 한반도에서 주요 침입 외래식물의 관리방안을 수립할 때 종 분포 모델링의 적용을 제안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입외래종은 무엇인가? 침입외래종 (invasive alien species)은 인간에 의하여 새로운 환경으로 도입되고 번식하여 그 분포지에서 급격하게 확산되는 생물종으로 이들은 대부분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거나 인간의 이익을 해치고 있다 (Gurevitch and Padilla 2004, Jose et al. 2013).
침입외래종은 우리 국토의 어떤 곳들을 서식지로 이용할 수 있는가?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도입된 외래식물 중에서 고유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12종의 침입외래식물을 환경부가 생태계교란생물로서 지정하여 특별 관리하고 있다 (NIER 2012). 침입외래종은 우리 국토의 주요한 사회기반시설인 하천, 저수지 및 댐호를 주요 확산 통로 또는 서식지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하천은 주기적 홍수에 의하여 교란이 가해지고 다양한 지형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래종의 침입이 용이하고 (Hood and Naiman 2000, Richardson et al.
우리나라에서는 침입외래종 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침입외래식물에 관하여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 2013).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도입된 외래식물 중에서 고유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12종의 침입외래식물을 환경부가 생태계교란생물로서 지정하여 특별 관리하고 있다 (NIER 2012). 침입외래종은 우리 국토의 주요한 사회기반시설인 하천, 저수지 및 댐호를 주요 확산 통로 또는 서식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lred, K.W. 1982. Paspalum distichum L. var. indutum Shinners (Poaceae). Western North American Naturalist 42: 101-104. 

  2. Bradley, B.A., Blumenthal, D.M., Wilcove, D.S. and Ziska, L.H. 2010. Predicting plant invasions in an era of global change.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5: 310-318. 

  3. Crossman, N.D., Bryan, B.A. and Cooke, D.A. 2011. An invasive plant and climate change threat index for weed risk management: integrating habitat distribution pattern and dispersal process. Ecological Indicators 11: 183-198. 

  4. Dukes, J.S. and Ziska, L.H. 2014. Introduction. In, Ziska, L.H. and Dukes, J.S. (eds.), Invasive Species and Global Climate Change. CABI, Wallingford, UK. pp. 1-6. 

  5. Edenhofer, O., Pichs-Madruga, R., Sokona, Y., Farahani, E., Kadner, S., Seyboth, K., Adler, K., Baum, I., Brunner, S., Eickemeier, P., Kriemann, B., Savolainen, J., Schlomer, S., von Stechow, C., Zwickel T. and Minx, J.C. 2014. Climate Change 2014: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USA. 

  6. GBIF. 2015.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http://www.gbif.org. Assessed 1 May 2014. 

  7. Gurevitch, J. and Padilla, D.K. 2004. Are invasive species a major cause of extinction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19: 470-474. 

  8. Havel, J.E., Lee, C.E. and Vander Zanden, M.J. 2005. Do reservoirs facilitate invasions into landscapes? BioScience 55: 518-525. 

  9. Hood, W.G. and Naiman, R.J. 2000. Vulnerability of riparian zones to invasion by exotic vascular plants. Plant Ecology 148: 105-114. 

  10. Jones, C.C. 2012. Challenges in predicting the future distributions of invasive plant speci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84: 69-77. 

  11. Jose, S., Singh, H.P., Batish, D.R. and Kohli, R.K. 2013. Invasive Plant Ecology. CRC Press, London, UK. 

  12. KEI. 2009.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Ecosystem: The Case of Wetland Pla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Korea. (in Korean) 

  13. Kleinbauer, I., Dullinger, S., Peterseil, J. and Essl, F. 2010. Climate change might drive the invasive tree Robinia pseudacacia into nature reserves and endangered habitats. Biological Conservation 143: 382-390. 

  14. KNA. 2015.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Korea National Arboretum. http://www.nature.go.kr. Assessed 1 May 2014. 

  15. Leishman, M.R. and Gallagher, R.V. 2015. Will there be a shift to alien-dominated vegetation assemblages under climate change? Diversity and Distributions 21: 848-852. 

  16. Mesleard, F., Ham, L.T., Boy, V., van Wijck, C. and Grillas, P. 1993. Competition between an introduced and an indigenous species: the case of Paspalum paspalodes (Michx) Schribner and Aeluropus littoralis (Gouan) in the Camargue (southern France). Oecologia 94: 204-209. 

  17. Moss, R.H., Edmonds, J.A., Hibbard, K.A., Manning, M.R., Rose, S.K., van Vuuren, P., Carter, T.R., Emori, S., Kainuma, M. and Kram, T., Meehl, G.A., Mitchel, J.F.B., Nakicenovic, N., Riahi, K., Smith, S.J., Stouffer, R.J., Thomson, A.M., Weyant, J.P. and Wilbanks, T. J. 2010. The next generations of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research and assessment. Nature 463: 747-756. 

  18. NIBR. 2015. Data Bas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ersonal communication. 

  19. NIE. 2014.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I).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29-31. (in Korean) 

  20. NIER. 2012. Invasive Alien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in Korean) 

  21. NIMR. 2012. Global Climate Change Report for a Response of the IPCC 5th Assessment Report: Prospect of Climate Change by RCP 2.6/4.5/6.0/8.5. Jeju-do, Korea. pp. 3-4. (in Korean) 

  22. Phillips, S.J. 2013. Maxent Software for Species Habitat Modeling, version 3.3.3k. http://www.cs.princeton.edu/-schapire/maxent/. Assessed 13 October 2014. 

  23. Phillips, S.J., R.P. Anderson and R.E.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24. QGis DT. 2014. Quantum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ttp://www.qgis.org. Assessed 26 October 2014. 

  25. Qin, Z., DiTommaso, A., Wu, R.S. and Huang, H.Y. 2014. Potential distribution of two Ambrosia species in China under projected climate change. Weed Research 54: 520-531. 

  26. Richardson, D.M., Holmes, P.M., Esler, K.J., Galatowitsch, S.M., Stromberg, J.C., Kirkman, S.P., Pysek, P. and Hobbs, R.J. 2007. Riparian vegetation: degradation, alien plant invasions, and restoration prospec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3: 126-139. 

  27. Roger, E., Duursma, D.E., Downey, P.O., Gallagher, R.V., Hughes, L., Steel, J., Johnson, S.B. and Leishman, M.R. 2015. A tool to assess potential for alien plant establishment and expansion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59: 121-127. 

  28. Shin, D.H. and Cho, K.-H. 2001.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exotic plants with geomorphology and disturbance in the riparian zone of Seunggi Stream, Incheon. Korean Journal of Ecology 24: 273-280. 

  29. Smith, S.D., Huxman, T.E., Zitzer, S.F., Charlet, T.N., Housman, D.C., Coleman, J.S., Fenstermaker, L.K., Seeman, J.R. and Nowak, R.S. 2000. Elevated $CO_2$ increases productivity and invasive species success in an arid ecosystem. Nature 408: 79-82. 

  30. Stroh, H.G. 2006. Contribution to the ephemeral wetland vegetation along riverbanks and lakeshores of Western Thrace (NE Greece). Tuexenia 26: 353-388. 

  31. Swets, J.A.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 1285-1293. 

  32. Taylor, S. and Kumar, L. 2013. Potential distribution of an invasive specie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CLIMEX and soil drainage: A case study of Lantana camara L. in Queensland, Australi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14: 414-422. 

  33. Tererai, F. and Wood, A.R. 2014. On the present and potential distribution of Ageratina adenophora (Asteraceae) in South Africa.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95: 152-158. 

  34. Wasowicz, P., Przedpelska-Wasowicz, E.M. and Kristinsson, H. 2013. Alien vascular plants in Iceland: Diversity, spatial patterns, temporal trends, 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Flora-Morphology, Distribution, Functional Ecology of Plants 208: 648-673. 

  35. Webber, B.L., Yates, C.J., Le Maitre, D.C., Scott, J.K., Kriticos, D.J., Ota, N., McNeill, A., Le Roux, J.J. and Midgley, G.F. 2011. Modelling horses for novel climate courses: insights from projecting potential distributions of native and alien Australian acacias with correlative and mechanistic model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7: 978-1000. 

  36. Woodward, F. and Williams, B.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at global and local scales. Vegetatio 69: 189-197. 

  37. WorldClim. 2014. WorldClim - Global Climate Data. http://www.worldclim.org. Assessed 13 October 2014. 

  38. Yang, Y.H., Song, C.K., Park, S.H. and Kim, M.H. 2002.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of genus Paspalum L. Journal of Subtropical Agriculture and Biotechnology 18: 37-41. (in Korean) 

  39. Yasuro, K. 1994. Aquatic Plants of Japan. Bun-ichi Sogo Shuppan, Tokyo, Japan.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