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이책 독서 시 종색수차에 따른 읽기속도와 순목횟수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Speed and Blinking Rate according to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during Book Reading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3, 2015년, pp.369 - 375  

김세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종이책 독서 시 바탕색에 따른 읽기속도와 순목횟수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으며, 양안시가 가능한 성인 29명(남10, 여19)의 대상에게 백색, 적색, 녹색 및 청색바탕에 검은색 글씨로 구성되어 있는 소설을 각각 15분 동안 읽게 하였다. 독서 시 장당 읽기속도와 순목횟수를 측정하고 각 바탕색 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바탕색에 따른 장당 읽기속도는 백색과 녹색바탕에서는 독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청색바탕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적색바탕에서는 오히려 느려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장당 순목횟수는 모든 바탕색에서 독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적색바탕에서의 감소가 가장 적었다. 모든 바탕색에서 순목횟수가 감소할수록 읽기속도는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녹색바탕의 경우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동일한 조절 및 폭주요구량을 가지는 거리에서의 독서 시 순목횟수가 감소할수록 읽기속도는 빨라지는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으나 주 파장에 따라 순목횟수와 읽기속도의 변화는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근업 시 주 파장의 차이에 따라 작업의 속도와 시각피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요구되는 인지의 종류에 따라 작업환경과 조건의 조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changes in reading speed and blinking rate according to different background colors when reading paper book and further investigate their correlation. Methods: Twenty-nine adults (10 males, 19 females) who consented to the present study and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2] 이렇듯 종색수차는 최대대비 또는 최소흐림의 조절기전에 영향을 주게 되며 L/M 추상체 대비감도의 비율이 높을수록 글읽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2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쇄된 바탕색에 의한 종색수차가 독서 시 안정 피로의 외적증상인 순목횟수와 읽기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구건조의 증상은? [5] 이 중 안구건조는 비교적 유의하게 나타나는 외적증상으로 선행연구에 따르면 적은 순목횟수로 안구건조증이 유발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6] 안구건조 시 눈물증발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건성안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데,[7-10] 안구건조는 눈물막의 오스몰 농도를 증가시키며 안구표면의 복합요인에 기인한 불쾌감, 시력 장애, 안구표면 염증 등[11]을 동반할 뿐만 아니라 작열감, 이물감, 답답함, 뻑뻑함, 안구충혈, 쉽게 피곤해지고 흐려 보이는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12] Toda 등[13]은 안정피로를 호소하는 환자의 51.
근거리 작업 시 생길 수 있는 안정피로와 관련된 증상은? 독서와 같은 근거리 작업 시 생길 수 있는 안정피로[1,2]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읽기속도의 느려짐, 읽기의 반복, 두통이나 복시 발생 등을 들 수 있다.[3,4] Sheedy 등의 선행연구에서는 안정피로의 유발조건을 내적증상과 외적증상으로 분류한 바 있는데 내적증상으로는 굴절, 조절 및 폭주이상에 의한 안구통증, 두통, 복시, 흐림 등을 들 수 있으며, 외적증상으로는 작열감, 안구건조, 자극감 및 유루를 들 수 있다.
바탕색에 따른 순목횟수와 읽기속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바탕색에 관계없이 한 장당 소요되는 독서시간이 증가할수록 즉, 읽기속도가 감소할수록 순목횟수도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백색바탕의 경우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ayes JR, Sheedy JE, Stelmack JA, Heaney CA. Computer us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Optom Vis Sci. 2007;84(8):738-744. 

  2. Borsting E, Chase C, Tosha C, Ridder WH 3rd. Longitudinal study of visual discomfort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Optom Vis Sci. 2008;85(10):992-998. 

  3. Conlon EG, Lovegrove WJ, Chekaluk E, Pattinson PE. Measuring visual discomfort. Visual Cogn. 1999;6(6):637-663. 

  4. Borsting E, Chase CH, Ridder WH 3rd. Measuring visual discomfort in college students. Optom Vis Sci. 2007;84(8):745-751. 

  5. Sheedy JE, Hayes JN, Engle J. Is all asthenopia the same? Optom Vis Sci. 2003;80(11):732-739. 

  6. Gowrisankaran S, Nahar NK, Hayes JR, Sheedy JE. Asthenopia and blink rate under visual and cognitive loads. Optom Vis Sci. 2012;89(1):97-104. 

  7. Doughty MJ. Consideration of three types of spontaneous eyeblink activity in normal humans: during reading and video display terminal use, in primary gaze, and while in conversation. Optom Vis Sci. 2001;78(10):712-725. 

  8. Boos SR, Calissendorff BM, Knave BG, Nyman KG, Voss M. Work with video display terminal among office employee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5;11(6):475-481. 

  9. Yaginuma Y, Yamada H, Nagai H.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crimation and blink in VDT work. Ergonomics. 1990;33(6):799-809. 

  10. Cho YA, Won JS, An GJ. The effect on the eye dryness of dye during VDT works. J Korean Ophthalmol Soc. 1996; 37(12):1991-1995. 

  11. Listed NA.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Ocul Surf. 2007;5(2):75-92. 

  12. Lee BJ, Hong JH, Jung DI, Park MJ. A study on the confidence of dry eye diagnosis method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1):15-20. 

  13. Toda I, Fujishima H, Tsubota K. Ocular fatigue is the major symptom of dry eye. Acta Ophthalmol 1993;71(3):347-352. 

  14. Schlote T, Kadner G, Freudenthaler N. Marked reduction and distinct patterns of eye blinking in patients with moderately dry eyes during video display terminal us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4;242(4):306-312. 

  15. Himebaugh NL, Begley CG, Bradley A, Wilkinson JA. Blinking and tear break-up during four visual tasks. Optom Vis Sci. 2009;86(2):106-114. 

  16. Patel S, Henderson R, Bradley L, Galloway B, Hunter L. Effect of visual display unit use on blink rate and tear stability. Optom Vis Sci. 1991;68(11):888-892. 

  17. Kim SI, Park M, Kim SR. Change of binocular vision induced by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during near work.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2):219-228. 

  18. Rucker FJ, Kruger PB. Accommodation responses to stimuli in cone contrast space. Vision Res. 2004;44(25):2931-2944. 

  19. Rucker FJ, Kruger PB. Cone contributions to signals for accommodation and the relationship to refractive error. Vision Res. 2006;46(19):3079-3089. 

  20. Rucker FJ, Osorio D. The effects of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and a shift in the peak of the middlewavelength sensitive cone fundamental on cone contrast. Vision Res. 2008;48(19):1929-1939. 

  21. Drew SA, Borsting E, Stark LR, Chase C. Chromatic aberration, accommodation, and color preference in asthenopia. Optom Vis Sci. 2012;89(7):E1059-1067. 

  22. Chase C, Dougherty RF, Ray N, Fowler S, Stein J. L/M speed matching ratio predicts reading in children. Optom Vis Sci. 2007;84(3):229-236. 

  23. An OH. Living color design, 1st Ed. Seoul: Hyungseul Publishing. 1997;45-47. 

  24. Portello JK, Rosenfield M, Chu CA. Blink rate, incomplete blinks and computer vision syndrome. Optom Vis Sci. 2013;90(5):482-487. 

  25. Orchard LN, Stern JA. Blinks as an index of cognitive activity during reading. Integr Physiol Behav Sci. 1991; 26(2):108-116. 

  26. Nielsen PK, Sogaard K, Skotte J, Wolkoff P. Ocular surface area and human eye blink frequency during VDU work: the effect of monitor position and task. Eur J Appl Physiol. 2008;103(1):1-7. 

  27. Sheedy JE, Gowrisankaran S, Hayes JR. Blink rate decreases with eyelid squint. Optom Vis Sci. 2005;82(10):905-911. 

  28. Recarte MA, Perez E, Conchillo A, Nunes LM. Mental workload and visual impairment: differences between pupil, blink, and subjective rating. Span J Psychol. 2008;11(2):374-385. 

  29. Ryu K, Myung R. Evaluation of mental workload with a combined measure based on physiological indices during a dual task of tracking and mental arithmetic. Int J Ind Ergonom. 2005;35(11):991-1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