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 가족결속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Associations between Family Cohesion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9, 2015년, pp.167 - 183  

최정아 (경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인 가족결속력과 개인요인인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설정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주요 변수들 간의 경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은 청소년기 학교적응력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가족결속력 강화와 자기효능감 증진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family cohesi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interrelationship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mily cohesion had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oth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결속력,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결속력의 영향을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수행된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결속력과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이러한 가족 및 개인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경험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 이상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높은 자기효능감은 부정적인 정서를 잘 다룰 수 있도록 하며, 삶에 대한 만족감이나 행복감을 더 증진시키는 등의 핵심적인 보호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70], 이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도전의식을 고취시키는 한편,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청소년의 적응력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7].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교적응에 대한 개인 영향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그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다양한 특성 가운데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청소년기 적응에 대한 보호효과가 확인된 가족결속력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보다 정확한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청소년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적응에 대한 개인요인 가운데 그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가족결속력과의 관련성도 일부 보고된 바 있는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맞추어 자기효능감이 가족결속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실증적인 검증을 하였다. 단,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성별, 학교급(초등, 중등, 고등), 가족의 경제적 수준 등[16][22][29][30]을 통제한 후 주요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 특히,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족의 중요성이 더 많이 강조되는 우리나라의 경우, 청소년의 적응 및 발달과 관련하여 가족 특성이 어떠한 매개요인을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이러한 측면을 청소년에 대한 개입에 반영하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결속력이 어떠한 매개변인을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청소년 개인 요인인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자기효능감이 가지는 학교적응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 및 가족결속력과의 관련성 때문이다. 학교적응과 관련된 연구들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개인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17][18], 일부 연구들을 통하여 이러한 자기효능감이 가족결속력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19-21] 가족결속력과 학교적응 사이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 위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가족결속력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사이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결속력이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함으로써 가족결속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보호효과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가족결속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하지만, 이 가운데 많은 연구들은 직접적인 학교적응 변인을 측정하지 않았거나 가족결속력과 적응력 또는 가족 간의 의사소통 등 다양한 차원의 가족기능을 포함하여 하나의 변인으로 측정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결속력이라고 하는 구체적인 가족기능이 학교적응에 대하여 가지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가족결속력과 적응력 개념을 함께 제시한 써컴플렉스 모델에 대한 논의와도 맥을 같이 한다. 가족결속력은 써컴플렉스 모델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서, 가족결속력 수준과 자녀의 적응 간의 관계는 선형(linear)이 아니라 곡선적 관계(curvilinear relationship), 즉, 너무 약하거나 강한 결속력은 모두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되었었다[55].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다양한 특성 가운데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청소년기 적응에 대한 보호효과가 확인된 가족결속력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보다 정확한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청소년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적응에 대한 개인요인 가운데 그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가족결속력과의 관련성도 일부 보고된 바 있는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맞추어 자기효능감이 가족결속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실증적인 검증을 하였다.
  • 청소년의 건강한 적응은 기능적인 청소년 개인의 특성과 지지적인 가족기능, 그리고 외부 지지체계의 상호 작용 등을 통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보효요인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그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요인, 즉, 가족결속력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밝히고자 청소년 개인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에 주목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에 의하면, 가족과 같은 환경 요인은 청소년의 학교적응 뿐 아니라 개인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5], 이러한 설명과 맥을 같이 하여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은 가족요인, 특히 가족결속력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가족결속력의 개념을 제공한 써컴플렉스 모델[55]과 자녀의 적응에 대한 가족결속력의 긍정적 영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57][58],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제공한 사회학습이론[59]과 가족결속력 및 학교적응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보고한 관련 선행연구들[17-21]에 근거하여, 가족결속력이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 역시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여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적응이란 무엇인가? 학교적응이란 아동 또는 청소년이 학교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교실에서 편안하게 느끼며, 학교에서의 활동에 참여하고, 학업을 따라가는 정도 등을 의미한다[31]. 또한 Perry와 Weinstein[32]은 학교적응은 교실에서의 지적, 사회정서적, 행동적 요구에 대한 적응을 포함하며, 이러한 영역을 가로지르는 특정한 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다차원적 과업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아동 및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있어서 가족의 주요한 역할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모델에 의하면, 환경체계는 보다 근접한 체계를 통하여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관련 연구들은 특히 아동 및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있어서의 가족의 주요한 역할에 주목해왔다[5][37]. 이러한 역할 중에서도 가족역동, 특히 부모-자녀 관계는 아동 및 청소년의 적응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38]. 가족결속력은 이러한 가족역동의 한 차원으로서, 가족 성원들 간에 느끼는 친밀감의 정도[39] 또는 지지적, 양육적, 애정적인 가족 성원들 간의 상호작용[40]을 의미한다.
학교생활에의 적응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학교생활에의 적응은 개인적 특성과 사회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다양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청소년에게 있어서 가장 밀접한 환경인 가족과 청소년 개인의 특성은 더욱 주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추구하는 시기로 알려져 있으나 관련 연구들에 의하면, 청소년기에도 가족은 여전히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4], 부모와의 결속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여성가족부, 2014 청소년 백서, 여성가족부, 2014. 

  2. http://news.kbs.co.kr/news/view.do?refD&ncd3074515 

  3.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9421424&code41121111&cpdu 

  4. 최정아,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의 발달적 변화와 가족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294-307, 2014. 

  5. A. J. Fuligni, "Authority, Autonomy, and Parent-Adolescent Conflict and Cohesion: A Study of Adolescents from Mexican, Chinese, Filipino, and European Background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4, No.4, pp.782-792, 1998. 

  6. L McDonald and T. V. Sayger, "Impact of a Family and School Based Prevention Program on Protective Factors for High Risk Youth," In J. Valentine, J. A. DeJong, and N. M. Kennedy (Eds.), Substance Abuse Prevention in Multicultural Communities, pp.61-85, Haworth Press, 1998. 

  7. Y. R. Xia, C. Wang, W. Li, S. Wilson, K. Bush, and G. Peterson, "Chinese Parenting Behaviors,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 Marriage and Family Review, (just-accepted), 2015. 

  8. G. W. Ladd, S. H. Birch, and E. S. Buhs, "Children's Social and Scholastic Lives in Kindergarten: Related Spheres of Influence?," Child Development, Vol.70, No.6, pp.1373-1400, 1999. 

  9. J. A. Baker, "Contribu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to Positive School Adjustment during Elementary School", J. of School Psychology, Vol.44, pp.211-229, 2006. 

  10. C. C. Raver, "Emotions Matter: Making the Case for the Role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for Early School Readiness", Social Policy Report, Vol.16, pp.3-18, 2002. 

  11. D. H. Olson, H. I. McCubbin, H. L Barnes, M. J. Muxen, A. S. Larsen, and M. A. Wilson,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Updated Edition, Sage Pub. 1989. 

  12. 신선화, 정구철, "자기수용과 가족용서가 가족응 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77-288, 2014. 

  13. P. H. Tolan, D. Gorman-Smith, L. R. Huesmann, and A. Zelli,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 Measure to Explain Risk for Antisocial Behavior and Depression among Urban Youth", Psychological Assessment, Vol.9, pp.212-223, 1997. 

  14. G. M. Fosco, A. S. Caruthers, and T. J. Dishion, "A Six-Year Predictive Test of Adolescent Family Relationship Quality and Effortful Control Pathways to Emerging Adult Social and Emotional Health", J. of Family Psychology, Vol.26, No.4, pp.565-575, 2012. 

  15. F. F. Marsiglia, M. Parsai, and S. Kulis, "Effects of Familism and Family Cohesion on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in Mexican Immigrant Families in the Southwest United States", J. of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in Social Work, Vol.18, No.3, pp.203-220, 2009. 

  16. D. B. Qin, E. Rak, M. Rana, and M. B. Donnellan, "Parent-Child Relation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High-Achieving Chinese and European American Adolescents", J. of Adolescence, Vol.35, No.4, pp.863-873, 2012. 

  17. 이지언, 정익중, 백종림, "학교적응의 예측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아동학회지, 제35권, 제2호, pp.1-23, 2014. 

  18. 정윤정, 임선아,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의 상관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7권, 제4호, pp.853-873, 2013. 

  19. 양점도, 박영국, "가족요인과 또래지지가 자기효능감 및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4권, 제4호, pp.211-235, 2009. 

  20. 장성화, 최성열, 함성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제23권, 제2호, pp.183-196, 2014. 

  21. M. S. Leidy, N. G. Guerra, and R. I. Toro, "Positive Parenting, Family Cohesion, and Child Social Competence among Immigrant Latino Families", J. of Family Psychology, Vol.24, No.3, pp.252-260, 2010. 

  22. 이정은, 조미형, "남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3호, pp.79-102, 2007. 

  23. 이현아, 최인숙, "가족식사 및 가족기능이 초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13, 2013. 

  24. 권순용, "청소년의 학교적응 관련변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중등교육연구, 제54권, 제3호, pp.329-349, 2006. 

  25. 이명심, 장경문,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3호, pp.205-233, 2015. 

  26. 조미형, 이정은, "고등학교로의 진학 과정 (school transition) 에서 학교적응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제19권, 제2호, pp.63-86, 2008. 

  27. 최정아,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지지, 자아통제력, 학교적응의 종단적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3호, pp.189-212, 2011. 

  28. 김득성, 김수연, "가족의 응집 및 적응 척도의 선형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가정대학 연구보고, 제19권, pp.1-9, 1993. 

  29. R, Murray-Harvey and P. T. Slee, "Family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Predictors across the School Yea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Dare, Vol.145, No.1, pp.133-149, 1998. 

  30. D. T. Shek, "Family Functio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hool Adjustment, and Problem Behavior in Chinese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Economic Disadvantage", The J. of Genetic Psychology, Vol.163, No.4, pp.497-502, 2002. 

  31. G. W. Ladd and J. M. Price,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Vol.58, pp.1168-1189, 1987. 

  32. K. E. Perry and R. S. Weinstein, "The Social Context of Early Schooling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3, pp.177-194, 1998. 

  33. K. R. Wentzel, "Social-Motivational Process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otivation at School",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1, pp.76-97, 1999. 

  34. K. R. Wentzel, "School Adjustment," In W. M. Reynolds and G. E. Miller (Eds.), Educational Psychology, Vol.7, pp.235-258, Wiley, 2003. 

  35. C. F. Huang, An Examination of Relations among Taiwanese Elementary-Age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Social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at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2010. 

  36. U.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7. J. G. Smetana, N. Campione-Barr, and C. Daddis, "Longitudinal Development of Family Decision Making: Defining Healthy Behavioral Autonomy for Middle Class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Vol.75, pp.1418-1434, 2004. 

  38. L. Steinberg, "We Know Something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in Retrospect and Prospect", J.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11, pp.1-19, 2001. 

  39. D. H. Olson, C. S. Russell, and D. H. Sprenkle,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Vl.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Vol.22, No.1, pp.69-83, 1983. 

  40. R. Moos, Preliminary Manual for Family Environment Scale, Work Environment Scale and Group Environment Scale,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4. 

  41. N. Mulvaney-Day, M. Alegria, and W. Sribney, "Social Cohes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among Latinos in the United State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64, No.2, pp.477-495, 2007. 

  42. J. M. Rey, G. Walter, J. Plapp, and E. Denshire, "Family Environment in ADHD, Oppositional Defiant and Conduct Disorders", Australia and New Zealand J. of Psychiatry, Vol.34, pp.453-457, 2000. 

  43. E. M. Cummings, P. T. Davies, and K. S. Simpson, "Marital Conflict, Gender, and Children's Appraisals and Coping Efficacy as Mediators of Child Adjustment", J. of Family Psychology, Vol.8, pp.141-149, 1994. 

  44. H. D. Johnson, J. C. Lavoie, and M. Mahoney, "Interparental Conflict and Family Cohesion: Predictors of Loneliness, Social Anxiety, and Social Avoidance in Late Adolescence", J. of Adolescent Research, Vol.16, No.3, pp.304-318, 2001. 

  45. V. C. Lucia and N. Breslau, "Family Cohesion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Psychiatry Research, Vol.141, pp.141-149, 2006. 

  46. J. F. G. Moreira and E. H. Telzer, "Changes in Family Cohesion and Links to Depression during the College Transition", J. of Adolescence, Vol.43, pp.72-82, 2015. 

  47. L. M. McKelvey, N. A. Conners-Burrow, G. R. Mesman, J. R. Pemberton, and P. H. Casey, "Promoting Adolescent Behavioral Adjustment in Violent Neighborhoods: Supportive Families Can Make a Difference!", J.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Vol.44, No.1, pp.157-168, 2015. 

  48. L. Plybon and W. Kliewer, "Community Types and Externalizing Behavior in Urban School-Age Children: Tests of Direct, Mediated, and Moderated Effects", J.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10, pp.419-437, 2001. 

  49. W. T. Church, S. Tomek, K. A. Bolland, L. M. Hooper, J. Jaggers, and J. M. Bolland,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Predictors of Delinquency: An Analysis of Data from the Mobile Youth Surve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34, No.12, pp.2400-2408, 2012. 

  50. C. Coohe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sm and Child Maltreatment in Latino and Anglo Families", Child Maltreatment, Vol.6, pp.130-142, 2001. 

  51. M. Matherne and A. Thomas, "Family Environment as a Predictor of Adolescent Delinquency", Adolescence, Vol.36, pp.655-665, 2001. 

  52. A. N. Chawla,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dian Streams Research Journal, Vol.1, No.12, pp.1-4, 2012. 

  53. M. Dekovic, J. M. Janssens, and N. As, "Family Predictors of Antisocial Behavior in Adolescence", Family Process, Vol.42, No.2, pp.223-235, 2003. 

  54. 장성화, 박영진,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463-472, 2013. 

  55. D. H. Olson,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J. of Family Therapy, Vol.22, No.2, pp.144-167, 2000. 

  56. A. M. Meijer, R. W. Griffioen, J. C. van Nierop, and L. Oppenheimer, "Intractable or Uncontrolled Asthma: Psychosocial Factors", J. of Asthma, Vol.32, No.4, pp.265-274, 1995. 

  57. J. Polivy and C. P. Herman, "Causes of Eating Disorder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3, No.1, p.187-213, 2002. 

  58. K. Reichenberg and A. G. Broberg, "Children with Asthma. Few Adjustment Problems are Related to High Perceived Parental Capacity and Family Cohesion", Nordic J. of Psychiatry, Vol.59, No.1, pp.13-18, 2005. 

  59.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60. M. R. Leary and J. P. Tangney,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Guilford Press, 2003. 

  61. A. Luszczynska, B, Gutierrez-Dona, and R. Schwarzer, "General Self-Efficacy in Various Domains of Human Functioning: Evidence from Five Countries", International J. of Psychology, Vol.40, No.2, pp.80-89, 2005. 

  62. C. O. Hoeltje, S. R. Silbum, A. F. Garton, and S. R. Zubrick, "Generalized Self-Efficacy: Family and Adjustment Correlates", J.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25, No.4, pp.446-453, 1996. 

  63. Z. Ma, W. Zeng, and K. Ye, "Gender Differences in Chines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Psychological Reports: Sociocultural Issues in Psychology, Vol.116, No.1, pp.311-321, 2015. 

  64. Y. Tong and S. Song, "A Study on General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Low SES College Students in a Chinese University", College Student Journal, Vol.38, No.4, pp.637-642, 2004. 

  65. B. J. Zimmerman,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1, No.3, pp.329-339, 1989. 

  66. K. D. Multon, S. D. Brown, and R. W. Lent,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to Academic Outcomes: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8, pp.30-38, 1991. 

  67. M. M. Chemers, L. T. Hu, and B. F. Garcia,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3, No.1, pp.55-64, 2001. 

  68. R. W. Roeser, C. Midgley, and T. C. Urdan, "Perceptions of the School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Early Adolescent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unctioning in School: The Mediating Role of Goals and Belonging",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8, No.3, pp.408-422, 1996. 

  69. K. Schnell, T. Ringeisen, D. Raufelder, and S. Rohrmann, "The Impact of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Self-Regulated Goal Attainment Processes on School Performance-Do Gender and Test Anxiety Matter?",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8, pp.90-98, 2015. 

  70. G. V. Caprara, P. Steca, M. Gerbino, M. Paciello, and G. M. Vecchio, "Looking for Adolescents' Well-Being: Self-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Positive Thinking and Happiness", Epidemiologia e Psichiatria Sociale, Vol.15, No.1, pp.30-43, 2006. 

  71. 최인재,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V-2010 한국 청소년 건강 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72. R. E. Schumacker and R. G. Lomax,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 2nd Ed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4. 

  73.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고급 방법. 홍세희 교수의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시리즈 4 자료집, S & M 리서치그룹, 2008. 

  74. K. A.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Wiley & Sons, 1989. 

  75. 김진호, 홍세희, 추병대, "경영학 연구에서의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문헌 연구와 비판", 경영학연구, 제36권, 제4호, pp.897-923, 2007. 

  76. M. E. Sobel,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290-312, Jossey-Bass, 1982. 

  77.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78. L. Hu and P. M. Bentler,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Vol.3, No.4, pp.424-453, 1998. 

  79. L.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No.1, pp.1-55, 1999. 

  80.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Sage Pub,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