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수학 과제 분석 - 스토리텔링 유형을 고려하여 -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provided by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3, 2015년, pp.281 - 300  

김동중 (고려대학교) ,  배성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다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최상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 개발과 학교 현장에서 스토리텔링 교과서 활용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 5종을 연구 대상으로 수학 과제 유형에 따른 인지적 노력 수준, 답안 유형, 스토리텔링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학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은 공통적으로 모든 교과 내용 영역에서 PNC(Procedures without Connections) 과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수학적 내용 과제에서는 인지적 노력이 낮은 수준의 과제(Low-Level)가 많았고, 수학적 활동 과제에서는 인지적 노력이 높은 수준의 과제(High-Level)가 더 많았다. 둘째,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답안 유형은 모든 영역에서 단답형이 가장 많았고, 수학적 내용 과제의 대부분은 단답형, 수학적 활동 과제는 단답형과 설명형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스토리텔링의 유형은 실생활 연계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수학적 활동 과제의 수가 수학적 내용 과제의 수보다 휠씬 적었다. 그러나 스토리텔링 유형이 반영된 과제에서는 수학적 활동 과제의 비율이 수학적 내용 과제의 비율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다른 학년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를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할 때, 수학 과제 유형에 따른 인지적 노력 수준, 답안 유형, 스토리텔링 유형에 대해서 균형성과 다양성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gnitive demands, answer types, and storytelling types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tasks in five differen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연구자 상호 교차 분석을 실시하면서 각 영역 별, 각 교과서 별로 인지적 노력 수준이 같은 문항들을 추출하여 비교 대조하면서 분석 기준을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세분화시켰다. 또한 2014년 4월부터 약 1년 동안 매주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해 분석한 내용을 검토하고 수정하면서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 수준을 다양한 해결 전략과 풀이 방법이 가능하고, 수학 개념을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제로 분류하였다. 또한 자기 자신의 인지 과정을 점검해보고 조절하는 메타인지가 요구되는 과제가 많고, 문제를 스스로 만들어서 해결해보는 과제나 활동을 포함한다.
  • 이러한 문헌검토와 분석틀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올해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가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학교 현장에 도입된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 5종을 선정하여 교과서를 구성하는 수학 과제에 대하여, 수학 과제 유형에 따른 인지적 노력 수준, 답안 유형, 스토리텔링 유형을 내용 영역별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로 나누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각 영역간의 수학 과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스토리텔링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학교 현장에 도입된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 5종을 선정하여 교과서를 구성하는 수학 과제에 대하여, 수학 과제 유형에 따른 인지적 노력 수준, 답안 유형, 스토리텔링 유형을 내용 영역별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로 나누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각 영역간의 수학 과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스토리텔링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답안 유형에 따른 영역 간 특징 영역 간 수학 과제에 대한 답안 유형은 [그림 Ⅲ-3]과 같다. 대부분의 답안 유형이 단답형 유형으로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 3) 스토리텔링 유형에 따른 영역 간 특징 수학 과제에 대한 스토리텔링 유형의 비율은 [표 Ⅲ-1]과 같다. 전체 수학 과제의 8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MSS에서 학습에 대한 흥미가 낮게 나타나자 교육부는 무엇을 발표하였나? TIMSS 2011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중등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성취도는 최상위권인 반면에, 학습에 대한 흥미는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김성숙, 김수진, 박지현, 2013). 따라서 교육부는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도록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였다(교육부, 2012a). 이에 학생들의 지식의 습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써 2013년 3월부터 수학 교과서에 스토리텔링을 반영하도록 권고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장점은? 이에 학생들의 지식의 습득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써 2013년 3월부터 수학 교과서에 스토리텔링을 반영하도록 권고하였다.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맥락을 바탕으로 수학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수학적 활동에 참여하고 과제에 몰입하여 수학적 사고의 발달 뿐 만아니라 학습 동기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권오남 외(2013b)이 제안한 스토리텔링의 5가지 유형은? 권오남 외(2013b)는 5가지 스토리텔링 유형을 제안하였다. 첫째, 역사 발생적 원리를 바탕으로 수학사를 통해 수학적 내용지식들이 발생하고 만들어지는 과정을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수학사 탐구형, 둘째, 다양한 사회 경제적인 상황 속에서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통해 최적의 의사를 결정하는 의사결정형, 셋째, 우리의 일상생활의 상황과 문제들을 소재로 하여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탐구하고 수학적 지식을 만들어가는 맥락을 제공하는 실생활 연계형, 넷째, 수학과 자연과학, 공학, 인문학 등을 통합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의 학문과 수학의 연계성을 인식하여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문 융합형, 다섯째, 대수막대와 같은 교구, GSP와 Cabri 같은 소프트웨어, 계산기 등을 활용하여 추상적인 수학적 개념을 구체적인 조작과 시각화를 통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에 대한 유의미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도구 활용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 대표적인 예는 [그림 Ⅱ-6]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옥기 외 (2014). 중학교 수학 2, 두산동아.(Kang, O. et al. (2014). Middle school Mathematics 2, Doosan Dong-A.) 

  2. 고상숙 (2013).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특성에 대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2(2), 149-161.(Ko, S. (2014). An analysis on "storytelling" shown on the first grader's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2), 149-161.) 

  3. 교육부 (2012a).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부 보도자료.(Ministers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a). Strategies for Mathematics Education Advancement, Press Release: Author.) 

  4. 교육부 (2012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호].(Ministers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b). Mathematics curriculum: MEST announcement 2011-361 [Separate Volume 8] , Seoul: MEST.) 

  5. 교육부 (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second mathematics education master plan, Ministry of Education.) 

  6. 권오남.주미경.박지현.오혜미 (2012). 고등학교 학생과 수학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 학술지 프로시딩, (2-3), 111-115.(Kwon, O., Ju, M., Park, J., & Oh, H. (2012). Understanding about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 on high school students and mathematics teacher, The Korean Soc. Math. Ed. Proceedings, (2-3), 111-115.) 

  7. 권오남 외 (2013a). 고등학교 수학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과 적용,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 학술지 프로시딩, (5-6), 545-550.(Kwon, O. et al. (2013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The Korean Soc. Math. Ed. Proceedings, (5-6), 545-550.) 

  8. 권오남 외 (2013b). 수학사탐구형 고등학교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사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3), 221-248.(Kwon, O. et al. (2013b). Development of a Model for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 the case of 'Inquiry into History of Mathematics' typ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3), 221-248.) 

  9. 권오남.주미경.박정숙.박지현.오혜미.조형미 (2013c). 스토리텔링 수학 모델 교과서의 개발 원리와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3), 249-266.(Kwon, O., Ju, M., Park, J., Park, J., Oh, H., & Jo, H. (2013c).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rinciples for the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and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3), 249-266.) 

  10. 김미희.김구연 (2013). 고등학교 교과서의 수학 과제 분석, 학교수학, 15(1), 37-59.(Kim, M., & Kim, G. (2013).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1), 37-59.) 

  11. 김민경.박은정.허지연 (2012). '맥락성' 관점에서 본 수학교과서의 문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5(1), 1-25.(Kim, M., Park, E., & Heo, J. (2012). An Analysis on Mathematics Textbook Problems Focusing on 'Contextu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1), 1-25.) 

  12. 김성숙, 김수진.박지현 (2013). TIMSS 2011 결과분석에 근거한 수학 과학 학습 흥미 향상을 위한 제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ORM 2013-22-2.(Kim, S., Kim, S., & Park, J. (2013). Suggestions for improving science and mathematics learning interes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IMSS 2011 resul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ORM 2013-22-2.) 

  13. 김원경 외 (2014). 중학교 수학 2, 비상교육.(Kim, W. et al. (2014). Middle school mathematics 2, Visang education.) 

  14. 김정호.윤현진.황혜정.이선경.박소영 (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98-8.(Kim, J., Yoon, H., Whang, H., Lee, S., & Park, S. (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Textbook,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E 98-8.) 

  15. 류희찬 외 (2014). 중학교 수학 2, 천재교육.(Lew, H. et al. (2014). Middle school mathematics 2, Chunjae Education.) 

  16. 민미홍.허난 (2013).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스토리텔링 구성요소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4), 547-566.(Min, M., & Huh, N. (2013). A study on Component of Storytelling on the middle school 1 Mathematics Textbook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4), 547-566.) 

  17. 우정호 외 (2014). 중학교 수학 2, 두산동아.(Woo, J. et al. (2014). Middle school Mathematics 2, Doosan Dong-A.) 

  18. 이재학 외 (2013). 중학교 수학 (1) 스토리텔링 모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3), 301-319.(Lee, J. H. et al. (2013). Developing and Applying a Model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for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ourse (1),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3), 301-319.) 

  19. 황선욱 외 (2014). 중학교 수학 2, 신사고.(Hwang, S. et al. (2014). Middle school mathematics 2, Sinsago.) 

  20. Charalambous, C., Delaney, S., Hui-Yu, H., & Mesa, V.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in textbooks from three countri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 117-151. 

  21. Dewey, J. (1964). The need for a philosophy of education. In R. D. Archambault(Ed.), John Dewey on education: Selected writings (pp. 3-14). New York: The Modern Library. 

  22. Henningsen, M., & Stein, M. K. (1997). Mathematical tasks and student cognition: Classroom-based factors that support and inhibit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5), 524-549. 

  23. Hong, D. S., & Choi, K. M. (2014).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secondary school textbooks: the case of quadratic equation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5, 241-263. 

  2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5. Neel, K.S. (2005). Addressing diversity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with cultural artifact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11(2), 54-61. 

  26. Sfard, A. (2003). Balancing Unbalanceable: The NCTM Standards in Light of Theories of Learning Mathematics. In J. Kilpatrick, W. G. Martin & D. Schifter(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for school mathematics(pp. 353-392). Reston, VA: NCTM. 

  27. Smith, M. S., & Stein. M. K. (1998). Selecting and creating mathematical tasks: from research to practice.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 344-350. 

  28.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 455-488. 

  29. Stein, M. K., & Kaufman, J. H. (2010). Selecting and supporting the use of mathematics curricula at scale. America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7(3), 663-693. 

  30. Stein, M. K., Smith, M S., Henningsen, M. A., & Silver, E. A. (2000).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 casebook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1. Watson, A., & Mason, J. (2007). Taken-as-shared: a review of common assumptions about mathematical tasks in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0, 205-2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