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 효능감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ate-Trait Anxiety,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mblyopia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0 no.3, 2015년, pp.137 - 147  

박인혜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간호과학연구소) ,  한승희 (광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 양육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약시아동의 시력증진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의 대학병원 안과외래를 방문한 3세부터 14세까지의 환자 중 약시진단을 받고 가림치료를 위해 통원치료를 하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총 221명의 조사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상태불안 및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교육수준 및 경제 상태가 낮을 때, 건강상태가 나쁠 때, 약시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할 때 그 정도가 높았다. 부모 효능감은 연령이 높을 때, 약시아동의 건강상태가 좋을 때, 약시에 대해서 인식할 때 높았다.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상태불안 정도가 높을수록 양육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 효능감은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를 보여 부모 효능감이 낮을수록 상태불안 정도가 높고, 양육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약시아동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높이고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이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trait anxiety,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mblyopia. Methods: This study was surveyed 221 mothers of children aged 3 to 14 years with amblyopia who have visited oph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 효능감 정도 및 약시아동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정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약시치료는 시기가 매우 중요하여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평생장애로 남아서 환아의 장래 및 나아가 국가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의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약시 아동의 시력증진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의 대학병원 안과외래를 방문한 3세부터 14세까지의 환자 중 약시진단을 받고 가림치료를 위해 통원치료를 하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총 221명의 조사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 이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정도를 파악하여 약시아동의 시력개선을 위한 가림치료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연구 결과가 없어 이 연구 결과를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 논의하고자 한다.
  • 가림치료는 환아와 보호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되며 특히 환아 어머니의 관심과 열의에 따라 치료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정도를 파악하여 약시아동의 시력개선을 위한 가림치료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연구 결과가 없어 이 연구 결과를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 연구결과와 비교 논의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른 질환을 가진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불안,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다수 있었지만[9,16,22,23],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 효능감 정도 및 약시아동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정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약시아동의 시력증진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죄책감과 불안감을 경험한 환아의 어머니는 어떤 문제를 겪는가? 미취학 아동의 시력저하 관련요인은 시력검사 경험 유무, 안질환 경험 및 편식, 출생 시 저체중 등이며[7], 아동의 시력저하 뿐 아니라 안질환은 발육지연과 학교생활의 불편감을 초래하고, 만약 치료를 못하거나 늦어지면 성인이 되어서는 치료가 어렵기에 환아를 돌보는 어머니는 죄책감과 불안감을 경험하게 된다[8,9].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어머니의 불안이 높으면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부정적인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두려움으로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는 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10-12]. 아동의 질병으로 인한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편안한 환경이 요구된다[9].
약시란 무엇인가? 약시는 안구의 기질적인 이상 없이 시각이 미성숙한 시기에 사시, 굴절이상, 눈의 혼탁, 시 자극 결핍 등의 원인에 의해 단안 또는 양안에 나타나는 시력장애이다[1], 외국의 경우 인구의 약 2.0~2.
생후부터 유아기의 시력 발달은 무엇에 의해서 조율되는가? 9%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2]. 생후부터 유아기는 시력 발달의 민감기이며, 이때는 망막과 대뇌 피질간의 신경회로가 정확히 형성되지 않아 시력 발달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시자극에 의해서 조율된다. 약시는 이러한 민감기에 적절한 자극이 주어지지 않아서 시력이 발달되지 않은 경우이며, 적절한 치료에 의해 회복이 가능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Von Noorden GK, Campos EC. Binocular vision and ocular motility (6th ed.). St Louis, Mosby, 2002, pp.545-558 

  2. Amblyopia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cited 2015 August 28].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front/notice/statPressReleaseView.jsp?menuId31&bbsSeq4&nttSeq20716&nPage1&searchKey&searchWord&sttsDataSeq 

  3. Park SH, Yun IN, & La SH. The effect of atropinization of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patients with Ambl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0):2292-2298 (Korean) 

  4. Kaye SB, Chen SI, Price G, Kaye LC, Noonan C, Tripathi A, Ashwin P, Cota N, Clark D, Butcher J. Combined optical and atropine pena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strabismic and anisometropic amblyopia. J AAPOS 2002;6(5):289-293 

  5. Ku HC, Lee SY, Lee YC. Clinical features and counterplans of monocular amblyopia failed to occlusion therapy.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7):1158-1166 (Korean) 

  6. Ahn JK, Hwang JM. Efficacy of occlusion therapy in amblyopia patients older than 9 years of age.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9):1724-1729 (Korean) 

  7. Lee MJ. Study on factors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in preschool children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Korean) 

  8. Lee GS, Yom YH.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responses of children with burns and parental anxiety and depression. Child Health Nurs Res 2009;15(2):155-163 (Korean) 

  9. Ji ES, Cho KJ, Wang MJ. An inquiry on the coping about anxiet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Child Health Nurs Res 2004;10(2):188-195 (Korean) 

  10. Seo WK, Kim DY. The effects of the maternal anxiety, parenting attitude & psychological well-being on parenting stres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Kor J Dev Psychol 2013;26(1):121-136 (Korean) 

  11. Son YJ, Park S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other's personality.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11;18(1):125-144 (Korean) 

  12. Shin MJ, Ha EH.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cogni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dolescents anxiet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0;22(2):459-477 (Korean) 

  13. Kim MY, Park DY.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verbal abuse of infant's mothers. Child Health Nurs Res 2009;15(4):375-382 (Korean) 

  14. Jeon YS.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children's behavior of emotional maladjustment[dissertation]. Iksan, Wonkwang University, 2005 (Korean) 

  15. Hwang HS, Kim HS, Yoo IY, Shin HS.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Child Health Nurs Res 2013;19(1):39-48 (Korean) 

  16. Kim MY, Seo JY, Park WJ. Relationship of mothers' recogni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parenting stress and family support in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Child Health Nurs Res 2011;17(2):127-135 (Korean) 

  17. Kim HH.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maltreatment on mother's perception of parenting daily hassles[dissertation]. Daegu, Keimyung University, 2008 (Korean) 

  18. Lee IH, Park JE, Choi S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2010;19(4):81-91 

  19. Choe HS, Chung OB. The causal relations model of Korea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focusing o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tress.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05;12(1):51-67 (Korean) 

  20. Lee E. A Study on the 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competence of th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fluency disorders. Special Education Research 2009;8(2):203-218 (Korean) 

  21. Song YS, Kim YJ.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self-efficac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008;13(3):181-203 (Korean) 

  22. Lee S, Yoo IY. Personal resourc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Child Health Nurs Res 2007;13(1):73-80 (Korean) 

  23. Yoo IY, Kim DH. Parenting stress and need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Child Health Nurs Res 2004;10(4):423-430 (Korean) 

  24. Kim JT. State Trait Anxiety Index Standardization in Korean. The New Medical Journal 1978;21(11):69-75 (Korean) 

  25. Abidin R R.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92;21:407-412 

  26. Gibaud - Wallston, Wandersman.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ant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8;August: Toronto 

  27. Shin SJ, Chung M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98;19(1):27-42 (Korean) 

  28. Daw NW. Critical periods and amblyopia. Arch Ophthalmol 1998;116(4):502-505 

  29. Kim GO. A study on IV puncture pain by preschoolers and anxiety of their mothers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3 (Korean) 

  30. Kim YK.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the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children undergoing open-heart surgery [dissertation]. Busan, Dongui University, 2007 (Korean) 

  31. Lee HJ. A study on the stress of bringing up and the coping methods of parent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dissertation]. Daegu, Daegu University, 2002 (Korean) 

  32. Kim SH. Study about the 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hearing defect [dissertation]. Daejeon, Mokwon University, 2003 (Korean) 

  33. Kang YH. A study on mothers' parenting stress in hearing-disabled preschool children : focus on control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method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2 (Korean) 

  34. Jeon B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th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o the playfulness of their children [dissertation]. Seoul, Kyonggi University, 2008 (Korean) 

  35. Grus CL, Lopez-Hernandez C, Delamater A, Appelgate B, Brito A, Wurm G, Wanner A. Parental self-efficacy and morbidity in pediatric asthma. J Asthma. 2001;38(1):99-106 

  36. Streisand R, Swift E, Wickmark T, Chen R, Holmes CS. Pediatric parenting stress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the role of self-efficacy, responsibility, and fear. J Pediatr Psychol 2005;30(6):513-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