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자살 위험도 및 정서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Emotional Status and Suicidal Risk in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2, 2018년, pp.127 - 134  

이전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종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목영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호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현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승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문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 불안, 디스트레스 등을 비교 분석하여 자살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이들의 임상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일 종합병원에 2016년 1월로부터 2017년 12월까지 입원한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최종 41,249명의 정서상태, 통증, 기저질환 및 기능수준과 관련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정서상태 평가를 위해 디스트레스 온도계, 병원 불안-우울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살에 대한 고위험군은 디스트레스 온도계 점수 4점 이상이면서, 병원 불안-우울 척도의 불안, 우울 하위 척도 중 하나라도 8점 이상인 환자로 정의하였다. 결 과 대상자 중 자살에 대한 고위험군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는 3,603명(8.7%)였다. 자살 고위험군은 일반군에 비해 더 심한 통증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증을 보고한 환자들에서는 디스트레스 온도계 점수, 병원 불안-우울 척도의 불안, 우울 하위 척도 모두에서 통증이 없다고 보고한 환자들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자살 고위험군은 더 심한 통증과, 더 많은 기저질환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원 시 환자의 위험도에 따른 선별 및 선별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인 자살 예방 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group with high risk of suicide in general hospital inpatient by comparing the depression, anxiety, and distress and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Methods : The study included all patients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between January 2016 and Decemb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이에 더해 본 연구자가 속한 종합병원에서는 자살 예방 고위험군 선별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2014년부터 일부 병동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와 병원 불안-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입원 환자의 정서 상태 평가를 하였고, 2016년부터는 일부 특정과(정신건강의학과, 소아청소년과)를 제외한 전체 임상과에서 확대 시행하여 왔다. 본 연구는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 사이에 일 종합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던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역학적 특징 및 정서 상태를 확인하고, 정서 상태 평가를 기반으로 자살 고위험군을 선별하였으며,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정 기간 동안 정신건강의학과 및 소아청소년과를 제외한 일 종합병원 입원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역학적 특징 및 정서적 상태를 파악하여, 본 연구에서 규정한 자살 고위험군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 중 자살에 대한 고위험군 기준에 부합하는 환자는 3,603명(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 행위란? 세계 보건기구에서는 자살 행위로 인하여 치명적인 결과인 죽음을 초래하는 경우를 자살로 정의하며, 자살 행위는 죽음의 의도와 동기를 인지하면서 자신에게 손상을 입히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1) 한국에서의 2017년 한 해 자살에 의한 사망자 수는 총 12,463명으로 전년 대비 629명(-4.
병원 입원환자용 자살위험 평가 척도의 개발 목적은 무엇인가? 본 연구자가 속한 종합병원에서는 입원 환자 자살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입원환자 자살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선별도구인 병원 입원환자용 자살위험 평가 척도(Suicide Risk Scale for Medical inpatients)를 개발하였으며, 입원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자살 위험성과 연관이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7)이에 더해 본 연구자가 속한 종합병원에서는 자살 예방 고위험군 선별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2014년부터 일부 병동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와 병원 불안-우울 척도를 이용하여 입원 환자의 정서 상태 평가를 하였고, 2016년부터는 일부 특정과(정신건강의학과, 소아청소년과)를 제외한 전체 임상과에서 확대 시행하여 왔다.
자살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병원에서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상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입원 환자의 정서 상태 평가에 있어서 통증과 만성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는 기저질환이 있을 때 자살위험성이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자살 고위험군에 대해 입원 시 환자의 위험도에 따른 선별적인 예방 교육 및 정서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에서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WHO. . ed;2014. 

  2. Statistics Korea. . 2018. 

  3. Ballard ED, Pao M, Henderson D, Lee LM, Bostwick JM, Rosenstein DL. Suicide in the medical setting. Jt Comm J Qual Patient Saf 2008;34:474-481. 

  4. Commission J. Sentinel event alert. ed. Issue;2006. 

  5. Seeman MV. The Impact of Suicide on Co-patients. Psychiatr Q 2015;86:449-457. 

  6. Midence K, Gregory S, Stanley R. The effects of patient suicide on nursing staff. J Clin Nurs 1996;5:115-120. 

  7. Park SW, Lee JH, Lee EK, Song JJ, Park HS, Hwang SY, Lee MS. Development of the suicide risk scale for medic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7;33. 

  8. Hawker GA, Mian S, Kendzerska T, French M. Measures of adult pain: Visual Analog Scale for Pain (VAS Pain), Numeric Rating Scale for Pain (NRS Pain), McGill Pain Questionnaire (MPQ),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SF-MPQ), Chronic Pain Grade Scale (CPGS), Short Form-36 Bodily Pain Scale (SF-36 BPS), and Measure of Intermittent and Constant Osteoarthritis Pain (ICOAP). Arthritis Care Res (Hoboken) 2011;63 Suppl 11:S240-252. 

  9. Park SS, Park BS. Testing Reliabil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K-AD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7; 37:98-124. 

  10. Anonymous. Distress manageme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J Natl Compr Canc Netw 2003;1:344-374. 

  11. Ransom S, Jacobsen PB, Booth-Jones M. Validation of the distress thermometer with bone marrow transplant patients. Psycho-Oncology: Journal of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Dimensions of Cancer 2006;15:604-612. 

  12. Shim EJ, Shin YW, Jeon HJ, Hahm BJ. Distress and its correlates in Korean cancer patients: pilot use of the distress thermometer and the problem list. Psychooncology 2008;17:548-555. 

  13.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 

  14. Bjelland I, Dahl AA, Haug TT, Neckelmann D. The validity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 updated literature review. J Psychosom Res 2002;52:69-77. 

  15. Akizuki N, Yamawaki S, Akechi T, Nakano T, Uchitomi Y. Development of an Impact Thermomet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the Distress Thermometer as a brief screening tool for adjustment disorders and/or major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5;29:91-99. 

  16. Kim JH. Screening of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cancer patient treatment. Samsung comprehensive cancer center psycho-oncology symposium;2011. 

  17. Ro YJ, Kim NC, Hong YS, Yong JS. Factors Influencing Pain with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Hospic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 

  18. Park JH, Bae SH, Chun MS, Jung YS, Jung YM. Factors Influencing Elevated Distress Scores at the End of Primary Treatment of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 

  19. Ju YH, Kim YH, Kim JH.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8;18. 

  20. Chang HK, Sohn JN, Cha BK.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Chronic Pain, Pain Coping, Fatigue,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86-95. 

  21. Sagheer MA, Khan MF, Sharif S. Association between chronic low back pain,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at a tertiary care centre. J Pak Med Assoc 2013;63:688-690. 

  22. Lewis S, Salins N, Kadam A, Rao R. Distress screening using distress thermometer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therapy and evaluation of causal factors predicting occurrence of distress.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13; 19:88. 

  23. Hooley JM, Franklin JC, Nock MK. Chronic pain and suicide: understanding the association. Curr Pain Headache Rep 2014;18:435. 

  24. Choi R, Moon HJ, Hwang BD. The Influence of Chronic Disease on the Stress 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0;4:73-84. 

  25. Lee MS.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0;27:5-30. 

  26. Kaplan MS, McFarland BH, Huguet N, Newsom JT. Physical illness, functional limitations, and suicide risk: a population-based study. Am J Orthopsychiatry 2007;77:56-60. 

  27. Conwell Y, Lyness JM, Duberstein P, Cox C, Seidlitz L, DiGiorgio A, Caine ED. Completed suicide among older patients in primary care practices: a controlled study. J Am Geriatr Soc 2000;48:23-29. 

  28. Conwell Y, Duberstein PR, Caine ED.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Biological Psychiatry 2002;52:193-2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