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 평가를 위한 공동주택 단지별 에너지사용량 Database 구축
Establishing a Energy Utilization Database for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Family Housing using District Heating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6 no.5, 2015년, pp.105 - 113  

정재욱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홍태훈 () ,  지창윤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승복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의 신뢰도 높은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 분류체계에 따라 도출된 일정규모이상의 모집단을 갖는 database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반영하고, 서울 및 수도권 도시에 대한 폭넓은 조사로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며, 다양한 Data source를 이용한 상호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1차 에너지사용량과 $CO_2$ 배출량을 포함한 325개 단지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추가적으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구축한 공동주택정보관리시스템의 개선 필요사항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reliable information of energy utilization during operating phase. It is also required to establish the database which have the amounts of population deducted by objective filtering and analysis. In this study, 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난방, 급탕, 전기에너지 및 수도에 대한 실제 사용량 정보와 건축물의 특성정보를 수집하고, Data filtering과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사용량 database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 database는 공동주택 단지의 실제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는 물론, 친환경 인증여부, 임대 및 분양 여부와 같은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 동일 유형의 건축물이라도 단위 프로젝트마다 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공동주택을 포함한 모든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평가는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위면적에 따른 지역난방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 database를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냉방, 난방, 급탕, 수도 등 에너지원 전체에 대한 사용량 데이터를 반영하고, 폭넓은 조사를 통해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데이터 출처에 따른 데이터 상호 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신뢰도 높은 database를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조사된 공동주택 단지별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단지별 에너지사용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의 운영주체인 한국감정원의 전문가와의 인터뷰 조사를 통해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그 외 공동주택 단지의 규모, 준공년도와 같은 공동주택 특성 정보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내의 단지정보는 물론, 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의 건축물 대장 database, 에너지관리공단의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실적 정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녹색건축인증 실적 및 부동산 포털 사이트로부터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국내 공동주택의 유형 중 기존 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았던 지역난방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냉방, 난방, 급탕, 수도 등 에너지원 전체에 대한 사용량 데이터를 반영하고, 폭넓은 조사를 통해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데이터 출처에 따른 데이터 상호 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신뢰도 높은 database를 구축하고자 한다.
  •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의 신뢰도 높은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객관적 분류기준과 체계에 따라 도출된, 일정규모이상의 모집단을 갖는 database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에너지관리공단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공개 데이터, 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시스템의 건축물대장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 단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체 연면적에서 지하층, 주차장, 지상 기계실 및 주민공동시설 면적을 제외한 지상 전유부 면적인 용적율산정면적을 m2당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면적으로 설정하였다. 용적률산정면적을 기준 면적으로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Table 2와 같이 325개 단지 중 215개 단지가 용적율산정면적과 유사한 면적을 관리비 부과 면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2) 일반적으로 80m2, 110m2 등의 분양면적으로 인식되는 기준인 공급면적과 용적율산정면적이 관리사무소 면적 차이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며, 3) 건축물 대장상에서 허가시의 용적율산정면적을 확인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건물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의 몇 %인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는 이미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으며, 많은 국가 및 산업에서는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하여 다양하게 노력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가 건물부분으로부터 발생하며, 그 중 약 53%가 주거부문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LIT 2014).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database에는 무엇을 포함해야 하는가? 이를 위해서는 건축물의 실제 사용량을 기반으로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database가 구축되어야 한다. 건축물 에너지사용량은 건축물의 유형이나 사용하는 에너지원, 지역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사용량 database는 건축물의 특성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신축단계의 에너지 절약계획서나 시뮬레이션과 같은 예측 기반의 평가에 집중되어 있을 뿐, 건축물이 완공된 후 운영단계에서의 실제 에너지사용량을 기반으로 database를 구축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따라서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1) 일부 에너지사용량 정보가 누락된 단지에 대해서는 정보 수정 전까지 평균 산출에 미반영하거나 결측 단지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2) 단지 별로 조건이 다른 난방 계량기 조건 및 단위에 대한 보정 기준이 필요하다. 3)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의 기준을 수립하는데 착시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장기 미분양 단지를 별도로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4) 단지에 따라 면적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되어, 세대별 면적정보에 대한 일관성 및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단지별로 관리비부과 면적의 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되어,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를 평가기준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시스템 내의 관리비부과면적과 세대별 면적정보 기준에대한 통일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ong, T., Koo, C., Kim, D., Lee, M., and Kim, J. (2015). "An estimation methodology for the dynamic operational rating of a new residential building using the advanced case-based reasoning and stochastic approaches." Applied Energy, 150, pp. 308-322. 

  2. Hong, T., Kim, H., Koo, C., and Park, S. (2011). "Multi-family Housing Complex Breakdown Structure for Decision Making on Rehabit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6), pp. 101-109. 

  3. Kim, Y., and Song, S, (2014). "Energy Consumption status of Apartment Buildings and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Energy Consum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lar Society, 34(6), pp. 93-102. 

  4. Kim Y. (2010). "Policy flow of Public rental housing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Housing, 5(1), pp. 6-11. 

  5. Korea District Heating Corp, (KDHC). (2015). Informations of heat supply. South Korea. Accessed on 10 June 2015 

  6.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KEMCO). (2015). Certification project information of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Accessed on 10 May 2015. 

  7.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KEITI). (2015). Certification project information of G-SEED. Accessed on 18 May 2015. 

  8.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5). Records of housing permission by district, 1990-2013. Accessed on 7 June 2015. 

  9. Ko, Y., Kweon, Y., and Kim, Y. (2003). "A Study of Transformation tendency of an Apartment Unit Plan after The Enforcement of Price De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terior Desing Society, 5(5), pp. 74-77. 

  10. Lee, G. (2010)."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in Environment Friendly Apartment", Master's Thesis, Hanyang Univ. 

  1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5). Carbon point project for reducing carbon gas. Accessed on 10 may 2015.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4). The 1st Master Plan of Green building. South Korea. Accessed on 1 March 2015. 

  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2015). Statistics information about unsold housing after built. South Korea. Accessed on 5 June 2015. 

  14. Park, S. (2015). "A Study on Changes of the Energy Efficiency Rating according to the Revised Building Efficiency Rating Certification System", Master's Thesis, Hanyang Univ.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