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의 신뢰도 높은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 분류체계에 따라 도출된 일정규모이상의 모집단을 갖는 database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반영하고, 서울 및 수도권 도시에 대한 폭넓은 조사로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며, 다양한 Data source를 이용한 상호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1차 에너지사용량과
In order to evaluate the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reliable information of energy utilization during operating phase. It is also required to establish the database which have the amounts of population deducted by objective filtering and analysis. In this study, all energy sources were applied to evaluate synthetically the energy performance of Multi-Family Housings(MFH) using district heating and the amounts of population were obtained sufficiently through data searching in Seoul and neighbor cities. Finally the database of source energy utilization an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난방, 급탕, 전기에너지 및 수도에 대한 실제 사용량 정보와 건축물의 특성정보를 수집하고, Data filtering과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난방 공동주택의 에너지사용량 database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 database는 공동주택 단지의 실제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는 물론, 친환경 인증여부, 임대 및 분양 여부와 같은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동일 유형의 건축물이라도 단위 프로젝트마다 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공동주택을 포함한 모든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평가는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위면적에 따른 지역난방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 database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냉방, 난방, 급탕, 수도 등 에너지원 전체에 대한 사용량 데이터를 반영하고, 폭넓은 조사를 통해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데이터 출처에 따른 데이터 상호 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신뢰도 높은 database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공동주택 단지별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단지별 에너지사용정보를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의 운영주체인 한국감정원의 전문가와의 인터뷰 조사를 통해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그 외 공동주택 단지의 규모, 준공년도와 같은 공동주택 특성 정보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내의 단지정보는 물론, 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의 건축물 대장 database, 에너지관리공단의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실적 정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녹색건축인증 실적 및 부동산 포털 사이트로부터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국내 공동주택의 유형 중 기존 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았던 지역난방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냉방, 난방, 급탕, 수도 등 에너지원 전체에 대한 사용량 데이터를 반영하고, 폭넓은 조사를 통해 충분한 수의 모집단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데이터 출처에 따른 데이터 상호 검증과 통계적 기법을 통해 신뢰도 높은 database를 구축하고자 한다.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운영단계의 신뢰도 높은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객관적 분류기준과 체계에 따라 도출된, 일정규모이상의 모집단을 갖는 database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에너지관리공단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공개 데이터, 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시스템의 건축물대장에서 제공하는 공동주택 단지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체 연면적에서 지하층, 주차장, 지상 기계실 및 주민공동시설 면적을 제외한 지상 전유부 면적인 용적율산정면적을 m2당 에너지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준 면적으로 설정하였다. 용적률산정면적을 기준 면적으로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Table 2와 같이 325개 단지 중 215개 단지가 용적율산정면적과 유사한 면적을 관리비 부과 면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2) 일반적으로 80m2, 110m2 등의 분양면적으로 인식되는 기준인 공급면적과 용적율산정면적이 관리사무소 면적 차이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며, 3) 건축물 대장상에서 허가시의 용적율산정면적을 확인 가능하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온실가스 | 국내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건물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의 몇 %인가? |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 문제는 이미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으며, 많은 국가 및 산업에서는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하여 다양하게 노력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가 건물부분으로부터 발생하며, 그 중 약 53%가 주거부문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LIT 2014). |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database |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database에는 무엇을 포함해야 하는가? |
건축물 에너지사용량은 건축물의 유형이나 사용하는 에너지원, 지역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사용량 database는 건축물의 특성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건축물의 실제 사용량을 기반으로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 database가 구축되어야 한다. 건축물 에너지사용량은 건축물의 유형이나 사용하는 에너지원, 지역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사용량 database는 건축물의 특성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신축단계의 에너지 절약계획서나 시뮬레이션과 같은 예측 기반의 평가에 집중되어 있을 뿐, 건축물이 완공된 후 운영단계에서의 실제 에너지사용량을 기반으로 database를 구축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는가? |
1) 일부 에너지사용량 정보가 누락된 단지에 대해서는 정보 수정 전까지 평균 산출에 미반영하거나 결측 단지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2) 단지 별로 조건이 다른 난방 계량기 조건 및 단위에 대한 보정 기준이 필요하다. 3)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의 기준을 수립하는데 착시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장기 미분양 단지를 별도로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4) 단지에 따라 면적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되어, 세대별 면적정보에 대한 일관성 및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단지별로 관리비부과 면적의 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되어,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를 평가기준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시스템 내의 관리비부과면적과 세대별 면적정보 기준에대한 통일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1) 일부 에너지사용량 정보가 누락된 단지에 대해서는 정보 수정 전까지 평균 산출에 미반영하거나 결측 단지임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2) 단지 별로 조건이 다른 난방 계량기 조건 및 단위에 대한 보정 기준이 필요하다. 3)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의 기준을 수립하는데 착시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장기 미분양 단지를 별도로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4) 단지에 따라 면적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되어, 세대별 면적정보에 대한 일관성 및 신뢰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단지별로 관리비부과 면적의 기준이 상이하게 적용되어,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데이터를 평가기준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시스템 내의 관리비부과면적과 세대별 면적정보 기준에대한 통일이 필요하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