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1 no.1, 2015년, pp.13 - 20
Backgroun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oracic mobility exercise and deep breathing exercise applied to stroke patients on pulmonary fun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Twenty-five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DB (deep breathing exercise) group (n=13) and 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호흡기능의 손상은 신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 뇌졸중 발병 후 횡격막과 함께 호흡근 마비의 발생으로 환자는 폐와 흉곽을 충분히 팽창하지 못하게 되는 호흡기능 장애가 발생된다(Macko 등, 2005). 호흡기능의 손상은 체간 자세의 기능장애와 호흡근 약화를 가져온다(Teixeira-Salmela 등, 2005). 특히 만성 뇌졸중환자는 횡격막을 포함한 호흡근의 마비로 인해 폐와 흉곽을 충분히 팽창시키지 못하게 된다. | |
뇌졸중 발병 후 어떠한 장애를 가질 수 있는가? | 뇌졸중 발병 후 횡격막과 함께 호흡근 마비의 발생으로 환자는 폐와 흉곽을 충분히 팽창하지 못하게 되는 호흡기능 장애가 발생된다(Macko 등, 2005). 호흡기능의 손상은 체간 자세의 기능장애와 호흡근 약화를 가져온다(Teixeira-Salmela 등, 2005). | |
호흡기능의 손상이 지속되면 어떻게 되는가? | 특히 만성 뇌졸중환자는 횡격막을 포함한 호흡근의 마비로 인해 폐와 흉곽을 충분히 팽창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흉곽조직이 단축되고 근육이 섬유화 되어 흉곽의 유순도가 감소될 수 있고 폐 내에서도 무기폐가 발생하여 폐의 유순도도 감소할 수 있다(Fugl-Meyer 등, 1983). |
김민환. 호흡훈련이 뇌졸중환자의 호흡기능, 체간조절능력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김정욱. 흉부유연성 운동과 견인치료가 척추 측만증 환자의 폐활량, 흉곽확장, Cobb's angle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김재현. 호흡기계 물리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심재훈. 교정운동 프로그램이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폐활량과 흉곽 가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전형. 피드백 호흡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정주현. 흡기근 훈련과 흉부가동성 호흡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효과. 부산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황희준. 흉추가동성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Anderson MK, Hall SJ. Sports Injury Management. Williams and Wilkins. 1995.
Bliss MR. The rationale for sitting elderly patients in hospital out of bed for long periods is medically unsubstantiated and detrimental to their recovery. Med Hypotheses. 2004;62(4):471-478.
de Almeida IC, Clementino AC, Rocha EH, et al. Effects of hemiplegy on pulmonary function and diaphragmatic dome displacement. Respir Physiol Neurobiol. 2011;178(2):196-201.
Fishman AP, Elias JA, Fishman JA, et al. Fishman's Pulmonary Diseases and Disorders. McGraw-Hill. 4th ed. 2008.
Fishman AP. Pulmonary Disease and Disorders : Comparison handbook. McGraw-Hill Co. 2nd ed. 1993.
Frownfelter D, Dean E.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Physical Therapy: Evidence to Practice. Mosby. 4th ed. 569-593, 2005.
Fugl-Meyer AR, Linderholm H, Wilson AF. Restrictive ventilatory dysfunction in stroke: its relation to locomotor function. Scan J Rehabil Med. Suppl. 1983;9:118-124.
Gluckman PD, Heymann MA. Pediatrics and Perinatory: The Scientific basis. CRC Press. 2nd ed. 832-855, 1996.
Gosselink RA, Wagenaar RC, Rijswijk H, et al. Diaphragmatic breathing reduces efficiency of breathing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1(4):1136-1142.
Harber P, SooHoo K, Tashkin DP. Is the MVV:FEV1 ratio useful for assessing spirometry validity? Chest. 1985;88(1):52-57.
Ito M, Kakizaki F, Tsuzura Y, et al. Immediate effects of respiratory muscle stretch gymnastics and diaphragmatic breathing on respiratory pattern. Respiratory Muscle Conditioning Intern Med. 1999;38(2):126-132.
Jones AY, Dean E, Chow CC. Comparison of the oxygen cost of breathing exercises and spontaneous breathing in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hys Ther. 2003;83(5):424-431.
Khedr EM, EI Shinawy O, Khedr T, et al. Assessment of corticodiaphragmatic pathway and pulmonary function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Eur J Neurol. 2000;7(5):509-516.
Klusiewicz A, Borkowicz L, Zdanowicz R, et al. Th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elite rowers. J Sports Med Phys Fitness. 2008;48(3):279-284.
Lanini B, Gigliotti F, Coli C, et al. Dissociation between respiratory effort and dyspnoea in a subset of patients with stroke. Clin Sci(Lond). 2002;103(5):467-473.
Lanini B, Bianchi R, Romagnoli I, et al. Chest wall kinematics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168(1):109-113.
Macko RF, Ivey FM, Forrester LW, et al. Treadmill exercise rehabilitation improves ambulator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fit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5;36(10):2206-2211.
Skinner JS. Exercise Testing and Exercise Prescription for Special Cases:Theoretical Basis and Clinical Application. Phil,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rd ed, 2005.
Teixeira-Salmela LF, Parreira VF, Britto RR, et al. Respiratory pressures and thoracoabdominal motion in community-dwelling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and Rehabil. 2005;86(10):1974-1978.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