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9, 2015년, pp.11 - 19  

서남숙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우상준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하윤주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전략으로써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대학교 성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140명으로 7주 동안 면대면 수업과 6주 이러닝 수업을 진행한 후 2014년 6월 9일부터 6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는 없었으며,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자기주도학습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5, p=.003). 자기주도학습력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 설명력은 22.1%로 나타났다(F=20.74,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력을 고려한 블렌디드 러닝 콘텐츠 개발이 요구되고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운영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and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 survey was used, and the subjects were 14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간호학 전공 교과목인 성인간호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간호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교과목인 성인간호학 교과목에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습동기 및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력과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성인간호학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 학습만족도를 파악하고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 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3학년 간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을 운영하고 학기가 끝난 시점에서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블렌디드 러닝은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의 장점을 혼합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이다. 본 연구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는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무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성인간호학에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간호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 가능성과 교육효과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무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성인간호학에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간호학에서 블렌디드 러닝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교육효과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기초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이란? 학습(學習)은 인간의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나 그 잠재력의 변화 또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이다[1]. 기존 전통적 학습은 교수자 중심의 집합교육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학습 매체의 디지털화와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 환경이 점차 변경되었다[2,3].
이러닝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이런 시대의 흐름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의한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와 인터넷 기반의 이러닝이 주목을 받아 왔다[4,5,6]. 하지만 이러닝은 교육의 시간적, 공간적, 비용적 제약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으나, 면대면 수업과는 달리 학습자의 수업태도, 흥미, 이해 정도를 점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udy Reference Information [Ienternet]. [cited 2014 December 21], Available From: http://www.korean.go.kr/(accessed March, 23, 2015). 

  2. S. J. Choi, A study on the factors to Increase the usage of e-learning in class-based education: social, technological, and personal factors,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7, No.4, pp.233-260, 2008. 

  3. J. H. Ryu, A study of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n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in high educait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13, No.3, pp.189-208, 2007. 

  4. J. J. Woo, B. N. Kim, O. H. Lee, "A study on the blended learning as an alternative of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7, No.2, pp.219-225, 2009. 

  5. Y. H. Ghang, A study on factors that affect learner satisfacti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2004. 

  6. J. S. Kim,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e-learning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2008. 

  7. S. I. Park, S. E. Lee, J. E. Song, Major factors influencing effective on/offline learning on the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5, No.1, pp.17-45, 2007. 

  8. M. Y. Kim, K. S. Ahn, W. S. Choi, The comparison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in the blended class and online class and offline class, The Journal of Korean Industrial Educaiton Association, Vol.30, No.1, pp.106-119, 2005. 

  9. J. H. Leem, Effects of blending type of online-offline and reflective activity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s in higher education course based on blended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13, No.4, pp.49-76, 2007. 

  10. H. S. Jung, Effects of self-directedness, task value, and learning type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2004. 

  11. Y. S. You,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performance in distance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2006. 

  12. J. Y. Han, E. H. Lee, Learner's percep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n e-learning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3, No.6, pp.69-77, 2010. 

  13. J. Y. Han,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e-learning strategies on learning satisfation of nursing students in blended e-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9, No.1, pp.16-23, 2013. 

  14.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University, 1977. 

  15. K. O. Yoo, J. W. Cheong,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to adults' self-direction in learning, Korean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4, No.1, pp.119-150, 1998. 

  16. E. M. Lim,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motivation, parental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17. J. M. Kell, Strategies for stimulating the motivation to learn, Performance & Instruction, Vol.26, No.8, pp.1-7, 1987. 

  18. J. I. Choi, J. S. Choi, The effects of learning plans and time management strategies on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43, No.4, pp.221-244, 2012. 

  19. Y. J. Joo, N. Y. Kim, H. K. Cho,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line task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14, No.3, pp.115-135, 2008. 

  20. E. S. Park, A development of a blended learning model: focusing on R2D2 model and learning sty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14, No.4, pp.85-110, 2008. 

  21. S. J. Han, The impact of TBL(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11, No.11, pp.595-602, 2013. 

  22. M. S. Kang, J. I. Kim, I. W. Park,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e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0, No.5, pp.135-143, 2009. 

  23. M. Y. Kim, E-learning strategies affecting the levels of particip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10, No.4, pp.93-102, 2007. 

  24. M. Shon, H. H. Chung, An analysis on the learning hindrance factors in blended-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13, No.2, pp.251-276, 2007. 

  25. G. Heo,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0, No.1, pp.135-14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