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병원에서 실시된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 위험군 대상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의 질병예방 효과
Effectiveness of lifestyle interventions to prevent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a health promoting hospital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4, 2015년, pp.37 - 46  

김혜경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나은희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and evidence-base for the effectiveness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the onset of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Methods: Seven intervention studies between 2006 and 2014 at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were analyzed. All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 및 당뇨병 발생의 전단계에 해당하는 건강검진 자에게 체계적인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한 다수의 무작위임상시험(randomized clinical trial, RCT)연구 결과를 통합 분석하여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이 질병예방에 기여하는 과학적 근거기반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관리군 참여자들은 집중 중재의 대상이었고, 대조군 참여자들은 최소한의 중재만 받을 것으로 계획하여 관리군의 건강개선 효과가 대조군의 효과보다 유의 하게 높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중재 후 효과성을 평가한 결과를 살펴보면 많은 연구에서 집단 간 중재효과의 크기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혈관질환은 개인 뿐 아니라 공중보건학적인 관점에서도 예방적 접근을 통해 관리되어야 하는 이유는? 고혈압, 당뇨병, 대사증후군 등의 심혈관질환은 발병 시 완치의 어려움이 있고 사회・경제적 손실, 국민의 질병부담이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정영호 등(2006)이 분석한 우리나라 질병비용에 따르면,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인해 야기되는 사회・경제적 손실이 각각 총 9,890억원, 총 8,831억원에 이르렀고,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인해 발생되는 심혈관계질환과 뇌혈관질환의 사회・경제적 손실 역시 각각 19,725억원, 7,417억원으로 파악된 바 있다.
2013년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 6가지는 무엇인가? 심혈관질환과 당뇨병은 대표적인 생활습관성 만성 질환으로 생활양식의 서구화와 인구의 노령화 등으로 인해 그 심각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4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고의적 자해, 당뇨병, 간질환의 순으로 심혈관질환과 당뇨병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에서 수위를 꾸준히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4).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명을 줄이는 주요 위험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심혈관질환의 전 단계에 해당하는 경계인의 생활습관을 관리하는 것은 질병예방과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와 이들의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의 격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의료비절감, 삶의 질 향상을 성취하게 하는 최적의 건강관리가 된다. 미국 워싱턴대 건강측정평가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at the Washington University, 2010)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명을 줄이는 주요 위험요소로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음주, 흡연, 고혈압, 고혈당, 비만을 지적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렇듯 긍정적 생활습관의 중요성은 여러 근거자료를 통해 제기되고 있으나,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이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지에 관한 과학적 연구수행은 아직 초기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rima, H., Murakami, Y., Lam, T. H., Kim, H. C., Ueshima, H., Woo, J., . . . Woodward, M. (2012). Effects of prehypertension and hypertension subtype on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Asia-Pacific Region. Hypertension, 59, 1118-23. 

  2. Bo, S., Ciccone, G., Baldi, C., Benini, L., Dusio, F., Forastiere, G., . . . Paqano, G. (2007). Effectiveness of a lifestyle intervention on metabolic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2, 1695-703. 

  3. Bradley, F., Wiles, R., Kinmonth, A. L., Mant, D., & Gantley, M. (199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lex interventions in health services research: Case study of the Southampton heart integrated care project (SHIP). The SHIP Collaborative Group. British Medical Journal, 318, 711-715. 

  4. Briss, P. A., Zaza, S., Pappaioanou, M., Fielding, J., Wright-De Aguero, L., Truman, B. I., . . . Harris, J. R. (2000). Developing an evidence-based guide to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method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8(1), 35-43. 

  5. Carroll, C., Patterson, M., Wood, S., Booth, A., Rick, J., & Balain, S. (2007). A conceptual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fidelity. Implementation Science, 2:40. 

  6. Crutzen, R., Viechtbauerb, W., Spigtac, M., & Kotzad, D. (2015). Differential attrition in health behaviour change tri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ology and Health, 30(1), 122-134. 

  7. Davis, M. J., & Addis, M. E. (1999). Predictors of attrition from behavioral medicine treatments. Annals of Behavior Medicine, 21, 339-349. 

  8. Despres, J. P., & Lemieux, I. (2006).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Nature, 444(7121), 881-887. 

  9. Green, J. (2002). The role of theory in evidence-based health promotion practice. Health Education Research, 15(2), 125-129. 

  10. Harris, P. M. (1998). Attrition revisited.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19, 293-305. 

  11. Hasson, H. (2010). Systematic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fidelity of complex interventions in health and social care. Implementation Science, 5, 67. 

  12.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at the Washington University. (2010). Healthy life expectancy in Koreans. Retrieved from: http://chosunilbousa.com/life/linfo.cfm?id26249 

  13. Johnson, S. S., Paiva, A. L., Cummins, C. O., Johnson, J. L., Dyment, S. J. Wright, J. A., Prochaska, J. O., . . . Sherman, K. (2008). Transtheoretical model-based multiple behavior intervention for weight management: Effectiveness on a population basis. Preventive Medicine, 46(3), 238-246. 

  14. Jung, Y., Suh, M., Lee, J., Jeong, H., Ko, S., Chae, S., & Kim, M. (2006). Determinants of health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5. Karlson, C. W., & Rapoff, M. A. (2009). Attrition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r pediatric chronic condition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4(7), 782-793. 

  16. Kim, H., Yoon, S., Lee, K., Oh, S., Ryu, H., Choo, J., . . . Park, D. (2011). Effect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metabolic syndrome-a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 51-62. 

  17. Kim, S. J., Lee, J., Nam, C. M., Jee, S. H., Park, I. S., Lee, K. J., & Lee, S. Y. (2011). Progression rate from new-onset pre-hypertension to hypertension in Korean adults. Circulation Journal, 75, 135-40.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Results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19. Korean Endocrine Society, &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0).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5(4), 301-304. 

  20. Lim, S., Shin, H., Song, J. H., Kwak, S. H., Kang, S. M., Yoon, J. W., . . . Koh, K. K. (2011).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34, 1323-1328. 

  21. Marcellus, L. (2004). Are we missing anything? Pursuing research on attrition. Canadia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6, 82-98. 

  22. Meigs, J. B. (2002). Epidemiology of the metabolic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Management Care, 8(11), S283-292. 

  23. Mitchell, G. K., & Abernethy, A. P. (2005). A comparison of methodologies from two longitudinal community based randomization controlled trials of similar interventions in palliative care: What worked and what did not?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8, 1226-1235. 

  2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Korea. 

  25.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02).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Third of the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Adults Treatment Panel III). 2002. 

  26. Oh, D., Lee, S., Lee, J. G., Kim, Y. J., Kim, Y., & Cho, B. M. (2009). Health Behavior and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120-128. 

  27. Oh, E. G., Kim, S. H., Hyun, S. S., Kang, M. S., & Bang, S. Y. (2007). The 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72-80. 

  28. Oh, S. W. (2011).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35, 561-6. 

  29. Prochaska, J. J., Spring, B., & Nigg, C. R. (2008). Multiple health behavior change research: An introduction and overview. Preventive Medicine, 46(3), 181-188. 

  30. Rossi, P. H., Lipsey, M. W., & Freeman, H. E. (2004). Evaluation: A systematic approa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31. Sattar, N., Gaw, A., Scherbakova, O., Ford, I., O'Reilly, D. S., Haffner, S. M., . . . Shepherd, J. (2003). Metabolic syndrome with and without C-reactive protein as a predictor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diabetes in the West of Scotland Coronary Prevention Study. Circulation, 108(4), 414-419. 

  32. Seo, J. R., & Bae, S. S. (2011). The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6, 264-79. 

  33. Statistics Korea. (2014).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30181) 

  34. USDHHS. JNC 7 Express. (2003).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35.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4). Final research plan for healthful diet and physical activity for CVD prevention: Behavioral counseling. Retrieved from: http://www.uspreventiveservicestaskforce.org/Page/Document/final-research-plan154/healthful-diet-and-physical-activity-for-cardiovascular-disease-prevention-in-adults-without-known-risk-factors-behavioral-counsel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