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 고찰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Core Competencies of Data Curator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3, 2015년, pp.129 - 150  

이유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 ,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는 여러 학문과 사회 분야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의사결정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대규모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데이터 큐레이터는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첫째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5건의 국외 데이터 큐레이터 구인 공고를 수집하였으며, 둘째는 국내 데이터 관리 실무자 5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수집된 두 가지 데이터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7가지 핵심 직무 요건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4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직무 수행을 위해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정보기술 지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 지식 및 전략을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관리 이용자 교육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관리에 있어 4가지 범주로 구분되는 다양한 측면의 요건이 요구되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 관리에 대한 통합된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igital technologies and internet have advanced, data have centered in the process of meaningful scientific ramifications and policy making in a wide variety of fields. Data curator in charge of managing dat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큐레이션이란 무엇인가? 현 시점에서는 데이터 큐레이션이라는 용어가 독립적으로 정의되고 사용되지만, 동시에 여러 연구에서 디지털 큐레이션 개념의 세부 기능으로 포함되거나 혼용(Digital Curation Centre 2015; Gold 2010)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큐레이션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보존해서 재사용을 촉진하고 그것에 가치를 부여하는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데이터 큐레이션을 수행하는 실무자를 ‘데이터 큐레이터’로 지칭하고자 한다.
데이터 큐레이터의 역할은 무엇인가? 데이터 큐레이터는 데이터 생산자와 함께 데이터 큐레이션을 수행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대규모 데이터를 선별․보존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관리한다. 또한 연구자와 정보기술 전문가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수행한다(Lord et al. 2004; Stanton et al.
데이터 큐레이션은 효용성 관점에서 어떤 역할로 인식하는가? 데이터 큐레이션의 효용성 관점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데이터 큐레이션을 사서의 새로운 역할 및 대학 내 기관 리포지터리의 확장된 서비스 역할로 인식했다. 이를 기반으로 e리서치를 비롯한 학제 간 연구 환경 속에서 대학도서관과 연구도서관의 역할과 효용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곽승진, 최재황, 배경재, 정영미. 2011. 과학기술분야 디지털 콘텐츠의 아카이빙 정책 연구. 정보관리연구, 42(4): 115-136.(Kwak, S., C. Choi, K. Bae, and Y. Jung. 2011. "A Study on the Policy on Digital Contents Archiving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4): 115-136.) 

  2. 김선태, 한선화, 이태영, 김용. 2010. 과학데이터 보존 및 활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81-93.(Kim, S., S. Hahn, T. Lee, and Y. Kim. 2010. "A Study on a Model for Using and Preserving Scientif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81-93.) 

  3. 김지현. 2014.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165-189.(Kim, J. 2014. "A Study on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of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 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165-189.) 

  4. 신영란. 2012.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Shin, Y.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Data Archiv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Policy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5. 안영희, 박옥화. 2009.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11-326.(Ahn, Y. and O. Park. 2009. "Digital Cur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Libra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311-326.) 

  6. 안영희. 2011. 디지털 큐레이션 서비스의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Ahn, Y. 2011. A Study of the Framework Development of Digital Curation Service.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7. 이혜영. 2014. 외국대학의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동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학술발표회, 67-85.(Rhee, H. 2014. "Digital Curation Education Program Trends of Foreign Universit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inter Conference, 2014(11): 67-85.) 

  8. 한나은. 2014.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큐레이션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Han, N. 2014. A Study on Digital Curation Process in Academic Librari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9. Choi, Y. and E. Rasmussen. 2009. "What Qualifications and Skills are Important for Digital Librarian Positions in Academic Libraries? A Job Advertisement Analysi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5(5): 457-467. 

  10. Corrall, S. 2012. "A Competency Framework for Digital Curation and Data Science." In: Aligning Digital Preservation across Nations, Amsterdam: Netherlands. 

  11. Creamer, A., M. E. Morales, J. Crespo, D. Kafel, and E. R. Martin. 2012. "An Assessment of Needed Competencies to Promote the Data Curation and Management Librarianship of Health Scienc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 in New England." Journal of eScience Librarianship, 1(1): 4. 

  12. Dekker, R. 2006. "The Importance of Having Dataset." In 27th ATUL Conference, 22-25 May 2006. IATUL. 

  13. Gold, A. 2010. "Data Curation and Libraries: Short-term Developments, Long-term Prospects." Office of the Dean (Library), 27. 

  14. Heidorn, P. B. 2011. "The Emerging Role of Libraries in Data Curation and e-science."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51(7-8): 662-672. 

  15. Kim, J., E. Warga, and W. Moen. 2013. "Competencies Required for Digital Curation: An Analysis of Job Advertis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8(1): 66-83. 

  16. Kruse, F. and J. B. Thestrup. 2014. "Research Libraries' New Role in Research Data Management, Current Trends and Visions in Denmark." Liber Quarterly, 23(4): 310-335. 

  17. Lord, P., A. MacDonald, L. Lyon, and D. Giaretta. 2004. "From Data Deluge to Data Curation." In Proceedings of the UK e-science All Hands meeting, 371-357. 

  18. Martinez-Uribe, L. M. and S. MacDonald. 2008. "A New Role for Academic Librarians: Data Curation." Profesional de la Informacion, 17: 273-280. 

  19. Parkinson, H. 2008. "A Data Scientist's Perspective on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Data Curation." Research Data Management Forum 2008. [Presentation slides]. . 

  20. Stanton, J. M., Y. Kim, M. Oakleaf, R. D. Lankes, P. Gandel, D. Cogburn, and E. D. Liddy. 2011. "Education for eScience Professionals: Job Analysis, Curriculum Guidance, and Program Consideration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2): 79-94. 

  21. Tammaro, A. M., S. Ross, and V. Casarosa. 2014. "Research Data Curator: The Competencies Gap." BOBCATSSS 2014 Proceedings, 1(1): 95-100. 

  22. 북미연구도서관협회(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cited 2015.3.12]. . 

  23. ASIS&T Jobline [cited 2015.3.12]. . 

  24. Code4lib [cited 2015.3.16]. . 

  25. Digital Curation Centre [cited 2015.3.1]. . 

  26. Digital Curation Exchange [cited 2015.3.12].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