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Investigation of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9 no.2, 2015년, pp.267 - 277  

전경문 (광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먼저 교사들의 탐구 지도 경험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탐구 지도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관찰, 분류, 측정, 예상, 공정한 비교 등을 강조하는 '과학 과정기능 중심' 범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생성하도록 하는 '과학 문제 발견' 범주, 그리고 제시된 절차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며 과학적 개념이나 내용을 증명하는 '개념이나 내용 예증' 범주이다. 다음으로 18개의 활동이 각각 적힌 카드를 '탐구를 통한 과학 수업' 카드를 중심으로 한 이차원적 평면에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한 후, 중심 카드와 각 카드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였다. '학생들이 적절한 절차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것이 탐구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의 탐구 이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적극 활용되어야 하고, 나아가 초등학교 현장에서 탐구를 통한 과학교육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First,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licit teachers' experiences of their approach to inquiry teaching. These self-reported approaches revealed three conceptions of teaching for inquiry lea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먼저 교사들의 탐구지도 경험을 조사한 결과, 과정기능이 두드러지거나 실험을 통해 개념을 이해하도록 하는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들이 인지하는 탐구 지도 유형을 어떻게 분류 하였는가? 먼저 교사들의 탐구 지도 경험에 대해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탐구 지도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관찰, 분류, 측정, 예상, 공정한 비교 등을 강조하는 '과학 과정기능 중심' 범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생성하도록 하는 '과학 문제 발견' 범주, 그리고 제시된 절차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며 과학적 개념이나 내용을 증명하는 '개념이나 내용 예증' 범주이다. 다음으로 18개의 활동이 각각 적힌 카드를 '탐구를 통한 과학 수업' 카드를 중심으로 한 이차원적 평면에 자유롭게 배치하도록 한 후, 중심 카드와 각 카드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측정하였다.
과학 탐구는 무엇인가? 과학 탐구(science inquiry)는 과학자들이 자연세계에 관한 의문에 답하려는 목적으로 자연 현상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뜻한다(Anderson, 2002). 동시에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습득하거나 과학자들이 하는 일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을 의미하기도 한다(Lotter et al.
과학 탐구 수업의 특징은 무엇인가? 과학 탐구 수업의 특징으로는 학습자가 과학적인 문제를 다루고, 문제와 관련된 증거를 수집하며, 증거로부터 설명을 만들어 내고, 대안적 설명에 비추어 자신의 설명을 평가하며, 자신이 제안한 설명을 의사소통하고 정당화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NRC, 2000). 이러한 탐구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이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탐구 기능을 향상시키며, 과학 학습 동기나 태도 함양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Brown, 2000; Freedman, 1997; Von Secker, 2002; Windschit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과부 고시 제 2011-361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부(2015a). 초등학교 과학 3-1 교과서. 서울: (주)미래엔. 

  3. 교육부(2015b). 초등학교 과학 3-1 실험관찰. 서울: (주)미래엔. 

  4. 교육부(2015c). 초등학교 과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주)미래엔. 

  5. 윤혜경, 강남화, 김미정(2011).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한국,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초등과학교육, 30(4), 574-588. 

  6. 홍미영(2008). 국내외 교실 학습 연구 II: 우리나라, 핀란드, 호주의 중학교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8-1-1. 

  7.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12. 

  8. Asay, L. D., & Orgill, M. (2010). Analysis of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foun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Science Teacher, 1998-2007.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1), 57-79. 

  9. Brown, F. (2000). The effect of an inquiry-oriented environmental science cours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about scien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2(2), 1-6. 

  10. Freedman, M. (1997). Relationship among laboratory instructio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chievement in science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4), 343-357. 

  11. Harwood, W. S., Hansen, J., & Lotter, C. (2006). Measuring teacher beliefs about inquiry: The development of blended qualitative/quantitative instru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5(1), 69-79. 

  12. Ireland, J., Watters, J. J., Brownlee, J. L., & Lupton, M. (2012).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inquiry teaching: Messages for teacher develop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3, 159-175. 

  13. Ireland, J., Watters, J. J., Brownlee, J. L., & Lupton, M. (2014). Approaches to inquiry teaching: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0), 1733-1750. 

  14. Lederman, J. S., Lederman, N. G., Bartos, S. A., Bartels, S. L., Meyer, A. A., & Schwartz, R. S. (2014).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inquiry: 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1), 65-83. 

  15. Lotter, C. Singer, J., & Godley, J. (2009). The influence of repeated teaching and reflection on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 553-582. 

  16. Lucero, M., Valcke, M., & Schellens, T. (2013). Teachers' beliefs and self-reported us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 public primary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8), 1407-1423. 

  17. Martin-Hansen, L. (2002). Defining inquiry: Exploring the many types of inquiry in the science classroom. The Science Teacher, 69(2), 34-37.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Inquiry and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2007). NSTA position statement. The Integral Role of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cience Instruction. Retrieved May 15, 2015 from http://www.nsta.org/about/positions/laboratory.aspx. 

  20.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2013). Retrieved May 15, 2015 from http://www.nextgenscience.org/next-generation-science-standards. 

  21. Richardson, J. T. E. (2005).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and teachers' approaches to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y, 25(6), 673-680. 

  22. Sawada, D. Piburn, M. D., Judson, E., Turley, J., Falconer, K., Benford, R., & Bloom, I. (2002). Measuring reform practic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rooms: 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School Science Mathematics, 102(6), 245-253. 

  23. Von Secker, C. (2002). Effects of Inquiry-Based Teacher Practices on Science Excellence and Equit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5(3), 151-160. 

  24. Windschitl, M. (2004). Folk theories of inquiry: How preservice teachers reproduce the discourse and practices of an atheoretical scientific metho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481-5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