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7년, pp.103 - 112  

김현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 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교사 468명과 중학교 교사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수의 초 중학교 교사들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들이 적용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것 같은 어려움으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응답은 각각 교수 학습 자료의 부족, 실험 준비 시간의 부족, 과학 교과 역량 함양 방법이나 내용 체계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에 교수 학습 자료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의 내용, 교사의 역할, 교사 공동체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ur hundred and sixty-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ur hundred and twenty-two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은 과학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해 수업 방법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인식했지만 실제 과학 교과 역량 함양 방법에 대해 이해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내용 체계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응답을 하였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새롭게 도입된 교육과정 내의 개념들이 현장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문서를 기술할 때에 새로 도입된 개념의 경우에는 간략한 정의만을 제공할 것이 아니라 교사가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에 대한 예시와 해설을 제공하고, 교육과정 문서 내에 제시된 표의 경우에는 표를 해석하는 안내 문구를 자세히 기술하는 등 교사 친화적으로 작성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이 학교교육에서 안정적으로 안착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인 과학 교과 역량 도입, 내용 체계 재구조화, 학습량 감축, 통합 단원 신설, 탐구 역량 강화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 과 이를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현직에 있는 초⋅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지금까지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고시 후 교사 연수 실태와 학교의 후속 조치 계획에 대해 살펴본다. Table 23과 같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초등학교 응답교사의 67.
  •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인 과학 교과 역량 도입, 내용 체계 재구조화, 학습량 감축, 통합 단원 신설, 탐구 역량 강화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이를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이 학교교육에서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인 과학 교과 역량 도입, 내용 체계 재구조화, 학습량 감축, 통합 단원 신설, 탐구 역량 강화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이를 학교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무엇인가?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문⋅이과 구분에 따른 지식편식 현상을 개선하고, 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개정작업이 시작되었으며(MOE, 2015a, p.1),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추고 바른 인성을 겸비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제시하였다(MOE, 2015a, p.3).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 단원들은 무엇인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또 다른 변화는 초⋅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에 통합단원이 신설되었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3-4학년군에는 ‘물의 여행’, 5-6학년군에는 ‘에너지와 생활’, 중학교에는 ‘과학과 나의 미래’, ‘재해⋅재난과 안전’, ‘과학기술과 인류문명’ 등의 통합단원이 신설되었다. 이렇게 개정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2018년 3월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에 적용되며, 2019년 3월에는 초등학교 3-6학년과 중학교 1-2학년에 적용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개선들이 이루어졌는가? 3). 이러한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초 소양 교육 강화, 공통 과목 도입, 단위학교의 자율성 확대, 다양한 선택과목 개설, 자유 학기제 운영 근거 마련 등을 제시하였으며, 교과교육과 관련해서는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에게 길러주고자 하는 핵심역량을 총론 수준에서 제시하고 학습내용을 감축하였으며,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개선하였다(MOE, 2015a). 과학과 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개정 방향에 따라 과학 교과 역량을 도입하고, 내용 체계를 재구조화 하였으며, 학습량을 감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rnett, J., &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4), 426-453. 

  2. Han, K., & Noh, S. (2003). An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teacher’s guides for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2(1), 51-64. 

  3. Jeong, E. (2012).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application and quality management plan of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354-368. 

  4. Kweon, J., Chung, W., & Kim, Y. (2001). Teachers' perception and improvement o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 75-90. 

  5. Kwon, C. S., & Park, B. T. (2011).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for subject of new science teacher's guid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2), 247-260. 

  6. Kwon, J. R., Park, E. A., Kim, H.-K., Lee, M.-K., Song, M.-Y., Bae, Y., & Seo, Y.(2016). Application plans of subject curriculum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schools (RRC 2016-8-1).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7. Ministry of Education(MOE) (1997).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1997-15. 

  8.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a). An announce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The press release of Ministry of Education, 2015.9.23. 

  9.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b).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10. Park, H. (2016). A survey on the conditions of middle school science evaluation. Teacher Education Research, 55(3), 389-398. 

  11. Park, J. H., Kim, J. Y., & Park, Y. R. (2004).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quiry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8), 731-738. 

  12. Park, S.-H., Jeong, Y.-K., Yun, Y.-S., Lee, K.-H., Kim, J.-G., Kim, C.-J., Kim, H.-S., Noh, H.-B., Seo, Y.-S., & Hwang, Y.-S.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system (RRC 2007-3).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13. Rogan, J. M., & Grayson, D. J. (2003). Towards a theor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cience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10), 1171-1204. 

  14. Sim, J.-H., Shin, M.-K., & Lee, S.-K. (2010).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1), 140-156. 

  15. Song, J., & Na, J. (2015). Directions and issues of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implications to science classroom culture.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9(2), 72-84. 

  16. van den Akker, J. (2003). Curriculum perspectives: An introduction. In J. van den Akker, W. Kuiper, & U. Hameyer (Eds.), Curriculum Landscapes and Trends, (pp. 1-10). Springer Netherlands. 

  17. Wenger, E, Mcdermott, R. & Snyder, W. M.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