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WISC-IV에 나타난 과학학습 부진아, 일반아, 과학학습 우수아의 인지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K-WISC-IV profile for low science achievers, science achievers and high science achiever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9 no.3, 2015년, pp.418 - 433  

정애진 (매탄고등학교) ,  이길재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학습 부진을 겪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을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4판 (K-WISC-IV)을 이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과학학습 우수아집단 및 일반아 집단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과학학습 우수 집단의 FSIQ는 통계적으로 일반집단,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언어이해 지표(VCI)에서는 과학학습 우수 집단과 일반 집단이 과학학습 부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요인인 공통성(SI)에서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저조한 수행을 보였는데, 이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의 낮은 수준의 추상화 능력은 과학적 추론 능력이 부족한 것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성 소검사는 과학학습 부진아 집단을 가려낼 수 있는 변별력 높은 소검사라고 판단되며, 낮은 수준의 언어 이해 능력, 추상화 능력 및 추론 능력은 과학학습 부진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다고 볼 수 있다. 작업기억 지표(WMI)에서 과학학습 우수 집단이 일반집단, 과학학습 부진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작업기억은 과학의 유추 문제의 해결 과정의 원활한 수행에 깊이 관여하여 과학 학업 성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low science achiev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WISC-IV,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high science achieving and achieving students. The results showed us that high science achieving students scored higher than counterparts in FSIQ.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부진의 원인을 김계현 등(2009)은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학습부진의 원인을 규명한 선행연구들은 연구자마다 그 원인을 다양하게 구분하고 있다. 김계현 등(2009)은 학습부진과 관련된 요인으로 인지적 요인(지능, 학업기초능력, 과목별 선행학습수준), 정서적 요인(동기와 흥미, 자아개념, 정서적 갈등과 불안수준), 학습방법 및 전략, 그리고 환경적 요인 등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반면 이옥형, 채영신(2004)은 인지적 요인(지능, 기초학습능력, 초인지능력), 정의적 요인(자아개념, 학습습관, 학습태도, 불안, 성취동기, 자기조절, 귀인) 및 환경적 요인(가정환경, 학교환경, 사회환경)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학습부진아란 무엇인가? 교육 현장에서 지적 능력이 있어 보이지만 학업성적이 낮거나 학습을 하지 않는 학습부진아를 종종 발견할 수 있다. 학습부진아란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그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아동들을 말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학습부진을 아동이 가지는 잠재적인 지적 능력 수준에 비해 학업성취가 현격하게 뒤떨어지는 상태, 소위 불일치 준거(discrepancy criteria)에 의해 설명 하는 능력-성취의 편차로 정의하고 있다(강수균, 조홍중, 2003; Butler-Por, 1987).
불일치 준거란 무엇인가? 학습부진아란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그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아동들을 말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학습부진을 아동이 가지는 잠재적인 지적 능력 수준에 비해 학업성취가 현격하게 뒤떨어지는 상태, 소위 불일치 준거(discrepancy criteria)에 의해 설명 하는 능력-성취의 편차로 정의하고 있다(강수균, 조홍중, 2003; Butler-Por, 1987). 우리나라는 일반 적으로 성취가 떨어지는 아동을 학습 부진의 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부진학생을 다음과 같이 기초학습부진 학생과 교과학습 부진 학생으로 구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수균, 조홍중 (2003). 장애 이해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3판. 서울: 학지사. 

  3. 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4판. 서울: 학지사. 

  4. 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IV) 지침서. 학지사. 

  5.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학지사, 한국교육심리학회 저. 

  6. 국립국어원 (2014). 국어사전. 서울: 낱말 

  7. 김동일 (2001). 학습부진아 교육체계 발전방안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9, 226-250. 

  8. 김선은, 최종옥 (2014). K-WISC-IV의 요인구조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33(1), 93-105. 

  9. 김양진 (1996). 중학교 과학 교과서 힘과 운동 단원의 용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0. 김자경, 강혜진, 김주영 (2013). 소득층 학습장애 위험군의 학습문제 유형과 인지 및 학업적 특성 비교.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현, 14(4), 57-80. 

  11. 김계현, 김동일, 김봉환, 김창대, 김혜숙, 남상인, 천성문 (2009). 학교상담과 생활지도(2판). 서울: 학지사. 

  12. 김선화, 조중열, 박순길 (2013). 중학교 학습부진 학생의 문식성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2013(2). 

  13.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 (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14. 박경숙 (1988). 감각통합기능학력정서장애 및 사회성간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KD88-15-01-05. 

  15. 박경숙, 윤점룡, 박효정, 박혜정, 권기묵 (1987). KEDI-WISC 검사요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박순길 (2012).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2), 27-51 . 

  17. 신윤희 (2010). 학교부적응아동과 ADHD 아동, 일반 아동의 언어적 특성 비교: K-WISC-III , 실행기능검사, 문장완성도 검사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6(2), 223-239. 

  18. 양찬호, 김지영, 신필여, 위햇님, 신명환, 강도영, 김소요, 민현식, 김찬종, 노태희 (2011). 과학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간언어의 유형 및 과학 언어에 대한 이해수준 변화에 따른 중간언어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745-757. 

  19. 오상우, 백영석 (2005). K-WISC-III 의 요인구조 분석: 소아정신과 내원 환자를 중심으로. 원광의과학, 20(2), 269-276. 

  20. 오상우, 오미영 (2012).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K-WISC-IV(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워크숍 자료집. 

  21. 윤만석 (2010). 학습부진아동의 정서적 특성과 지능 프로파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2. 이선경, 최취임, 이규호, 신명경, 송호장 (2013). 초등 과학 수업 담화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추론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81-192. 

  23. 이영애 (1998). 유비사고. 인지과학, 7, 19-36. 

  24. 이옥형, 채영신 (2004). 초등학교 학생의 학습부진 요인에 관한 일 고찰. 교육연구, 39, 323-359. 

  25. 임은정 (2007). 초등학교 과학교과 화학 영역의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조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6. 조아정, 이영애 (2000). 작업기억의 용량이 유추에 의한 과학 개념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인지 및 생물, 12(2), 215-226. 

  27. 조수윤, 김진호 (2011).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초등학교 3학년 나눗셈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14(2), 165-185.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4년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분석-과학- 연구자료. ORM 2015-45-4. 

  29. Alloway, T. P., Gathercole, S. E., Willis, C. & Adams, A. M. (2005). Working memory and special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and Child Psychology, 22, 56-67. 

  30. Bedard, C. N., Katz, L., Goldstein, G., Rudisin, S., & Bailey, D. F. (2004). A neuro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bannatyne recategorizat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i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6, 65-72. 

  31. Brown, B. A., & Spang, E. (2008). Double talk: Synthesizing everyday and science language in th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92(4), 708-732. 

  32. Butler-Por. (1987). Underachievers in school: Issues and intervention. Chichester, England: John Wiley & Sons. 

  33. Flanagan, D. & Kaufman, A. S. (2009). Essentials of WISC-IV assessment(2th ed). New Jersey, Wiley. 

  34. Gathercole, S. E. & Pickering, S. J. (2004). The Structure of Working Memory From 4 to 15 Years of Age. Developmental Psychology, 40(2), 177-190. 

  35. Kaufman, A. S. (1979). Intelligent testing with the WISC-R, John Wiley & Sons. 

  36. Reveles, J., & Brown, B. (2008). Contextual shifting: Teachers emphasizing students' academic identity to promote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92(6), 1015-1041. 

  37. Swanson, H. L. (1993). Working memory in learning disabilities subgroup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6, 87-114. 

  38. Swanson, H. L. (2000). Are working memory deficits in reader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rd to change?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3(6), 551-566. 

  39. Swanson, H. L., & Saez, L. (2003). Memory difficulties in children and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96(3), 471-491. 

  40. Vanderberg, R., & Swanson, H. L. (2007). Which components of working memory are important in the writing process? Reading and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20(7), 721-752. 

  41. Wechsler, D. (2003). WISC-IV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