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K-WISC-IV 프로파일 분석 및 융합적 적용
The Analysis of K-WISC-IV Profile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7, 2017년, pp.341 - 348  

조은영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  김현미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  송동호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  천근아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K-WISC-IV 프로파일을 통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의 인지적인 특성을 확인하여 고기능 ASD 아동의 진단에 도움을 주며, 임상 및 교육 장면에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6~16세의 고기능 ASD 아동 90명을 대상으로 K-WISC-IV의 전체 IQ, 지표 점수와 소검사 환산점수의 평균을 살펴보았으며, 이와 같은 점수들이 규준 집단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단일 집단 t 검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처리속도 지표, 작업기억 지표에서 고기능 ASD아동이 규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얻었고, 소검사 수준에서는 이해, 공통그림찾기, 빠진 곳찾기, 순차연결, 산수, 동형찾기, 기호쓰기에서 유의미하게 부진한 수행을 보였다. 다시 말해, K-WISC-IV 프로파일을 통해 고기능 ASD 아동들이 처리 속도가 느리고 사회적 판단력이 부족하며 비언어적인 자극을 빠르게 포착하거나 시각 자극의 핵심적 측면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from the norm group by identifying their Intelligence with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K-WISC-IV) profile analysis. The article were administered to 90 childre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이 고기능 ASD의 인지적 능력을 지능검사의 지표수준과 주요 소검사 수준에서 살펴본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K-WISC-IV의 10개의 주요 소검사 모두와 일부 보충 소검사를 포함하여 고기능 ASD 아동의 인지적 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 간 유동적 추론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라고 고려되었던 공통그림찾기 소검사가 사회인지와 관련될 수 있어 보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한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고기능 ASD 아동들의 인지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K-WISC-IV 프로파일을 지표점수와 소검사수준에서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K-WISC-IV의 10개의 주요 소검사를 모두 포함하고 보충 소검사인 상식, 산수, 빠진곳찾기 검사까지 포함하여 고기능 ASD 장애군에서 보이는 인지적 특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고기능 ASD 아동들이 지닌 고유의 인지적 특성에 따라 진단적 특성을 확인하고 임상 장면에서 치료적 함의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고기능 ASD이 속한 교육 장면에서 이들이 지닌 인지적 특성을 융합하여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폐 스펙트럼 장애란?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결손, 제한된 관심사와 반복된 행동을 핵심 증상으로 한다[1]. 스펙트럼장애라는 진단명이 시사하듯, 자폐 아동들은 핵심 증상은 공유하되 ASD 아동의 지적 수준이나 증상의 정도에 있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고기능 ASD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ASD 유병률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중에서도[4], 특히 지적 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고기능 ASD 아동들의 증가가 뚜렷하며[5], 전체 ASD 아동 중 고기능 ASD의 비율이 대략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만큼 이들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6]. 단순히 고기능과 저기능 ASD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ASD의 경우 아동의 지적인 수준이 이들의 증상의 심각도, 이에 따른 예후와 높은 관련이 있고[7], 향후 개입 전략을 계획할 시 아동의 기저수준(baseline)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능 수준과 인지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임상가들은 K-WISC-IV의 결과를 통해 특정 임상 그룹 아동이 갖는 고유의 특성과 인지적인 강점과 약점을 살펴볼 수 있다[8].
임상 장면에서 ASD를 분류하는 기준은? 스펙트럼장애라는 진단명이 시사하듯, 자폐 아동들은 핵심 증상은 공유하되 ASD 아동의 지적 수준이나 증상의 정도에 있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임상 장면에서는 일반적인 지적능력을 기준으로 지능 지수가 70 이상이면 고기능 ASD,70 미만이면 저기능 ASD로 분류하기도 한다[2]. 이는 공식적인 진단명은 아니지만 전문가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2013. 

  2. Siegel. D. J, Minshew, N. J, & Goldstein, G, " Wechsler IQ profiles in diagnosis of high-functioning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 26, No. 4. pp. 389-406. 1996. 

  3. Bolte, S, Westerwald. E, Holtmann. M, Freitag. C, & Poustka. F, "Autistic trait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clinical validity of two measures presuming a continuum of social communication skill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 41, No. 1, pp. 66-72, 2011. 

  4. K. H. Kim, J. M. Cho, M. H. Im, M. Y. Jin, & S. K. Sim, "Recent Trends i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Learners with Autism : 2006-2010",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 18, No. 3, pp. 37-64, 2002. 

  5. G. H. Seo, "Intervention of Theory of Mind Deficits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tic Disorder and Asperger Disorder", Journal of Emotional Disturbances & Learning Disabilities, Vol. 18, No. 3, pp. 37-64, 2002. 

  6. Charman. T, Jones. C. R, Pickles. A, Simonoff. E, Baird. G & Happe. F, "Defining the cognitive phenotype of autism", Brain research, Vol. 1380, pp. 10-21, 2011. 

  7. Matson, J. L., & Shoemaker, M.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ts relationship to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30, No. 6, pp. 1107-1114. 2009. 

  8. Dyck. M. J, & Piek. J. P, "Developmental delays in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Vol. 18, pp. 466-478, 2014. 

  9. Miller. J. L, Saklofske. D. H, Weiss. L. G, Drozdick. L, Llorente. A. M, Holdnack. J. A & Prifitera. A, "Issues Related to the WISC-V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ing in Clinical and Special Groups", WISC-V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Scientist-Practitioner Perspectives, Vol. 28, No. 7, pp. 287-343, 2015. 

  10. Billstedt, E., Carina Gillberg, I., & Gillberg, C. "Autism in adults: symptom patterns and early childhood predictors. Use of the DISCO in a community sample followed from childhoo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 4811, pp. 1102-1110. 2007. 

  11. Koegel. L. K, Koegel. R. L & Smith, "A Variables related to differences in standardized test outcomes for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 27, No. 3, pp. 233-243, 1997. 

  12. K. J. Kwak, S. W. Oh, C. T. Kim,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 Seoul: Hakjisa press, 2011. 

  13. Mayes. S. D, & Calhoun. S. L, "Analysis of WISC-III, Stanford-Binet: IV,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in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 33, No. 3, pp. 329-341, 2003. 

  14. Oliveras-Rentas. R. E, Kenworthy. L, Roberson. R. B, Martin. A & Wallace. G. L, "WISC-IV profile in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impaired processing speed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utism communication symptoms and decreased adaptive communication abilitie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Vol. 42, No. 5, pp. 655-664, 2012. 

  15. J. S. Cho, M. S Cho, & H. S. Le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Asperger Disorder: Analysis of K-WISC-IV Profil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Vol. 29, No. 1, pp. 107-123, 2013. 

  16. Sipps. G. J, Berry. G. W, & Lynch. E. M, "WAIS-R and social intelligence: A test of established assumptions that uses the CPI",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43, No. 5, pp. 499-504, 1987. 

  17. Wechsler. D, WISC-IV Integrated: Administration and scoring manual. Psychological Corporation, 2004. 

  18. Sattler. J. M, Assessment of children: Cognitive foundations. San Diego, CA: JM Sattler, 2008. 

  19. Griswold. D. E, Barnhill. G. P, Myles. B. S, Hagiwara, T & Simpson. R. L, "Asperger syndrome and academic achievement",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17, No. 2, pp. 94-102, 2002. 

  20. Hedvall. A, Fernell. E, Holm. A, Asberg Johnels. J, Gillberg. C & Billstedt. E, "Autism, processing speed, and adaptive functioning in preschool children",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Vol. 2013, pp. 1-7, 2013. 

  21. Georgescu. A. L, Kuzmanovic. B, Roth. D, Bente. G & Vogeley. K, "The use of virtual characters to assess and train non-verbal communication in high-functioning autism",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Vol. 8, pp. 807-824, 2014. 

  22. S. O. Shin, J. Park, "Converged association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among som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271-27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