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울신경세포시스템에 근간한 동작관찰-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3 no.4, 2015년, pp.175 - 180  

고효은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irror-neuron-system-based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on improvements in upper extremity functions and daily living activiti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en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a therapeutic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일상생활활동의 대부분이 상지를 사용한다는 점을 생각해볼 때 환자들이 겪는 신체적, 심리적인 고통이 클 것이다. 본 연구는 동작관찰 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 과정 시 동작관찰 훈련을 수행하는데 제한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없애기 위하여 MMSE-K 24점 이상, 편측 무시가 없는 자, 지각 손상이 없는 자로 하여 실시하였다.
  • 선별 검사를 통하여 선정된 10명에 대하여 중재 전과 중재 후에 대한 전통적인 작업치료와 동작관찰 훈련을 실시하였고 8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에 의거한 동작관찰 훈련 후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향상도를 보기 위함으로 MFT와 MBI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대한 측정 결과, 그 평균값은 동작관찰훈련의 전⋅후를 비교 하였을 때 MFT와 MBI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MFT의 경우 좌측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울신경세포시스템에 근간한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에서 상지기능의 손상은 하지에 비해 회복이 좋지 않은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상지기능의 손상은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고, 사회에 복귀하는데 있어서 커다란 장벽을 제공하며, 회복 또한 하지에 비하여 좋지 못하다. 이것은 발병부위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상지가 하지에 비해 반복적인 운동의 기회가 적어 뇌의 재조직을 촉진할 기회가 적기 때문일 수도 있다(Shumway-Cook & Woollacott, 2007).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stroke)은 뇌의 손상으로 인하여 기능과 활동수행력 제한을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Adamson et al, 2004). 뇌졸중 환자의 증상과 예후는 감각이상, 인지장애, 언어장애, 삼킴 장애 등으로 다양하며, 많은 환자들이 운동기능의 상실로 움직임이나 기능을 회복하지 못해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살아간다(Trombly & Ma, 2002).
뇌졸중 환자의 증상과 예후는 어떠한가? 뇌졸중(stroke)은 뇌의 손상으로 인하여 기능과 활동수행력 제한을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질환이다(Adamson et al, 2004). 뇌졸중 환자의 증상과 예후는 감각이상, 인지장애, 언어장애, 삼킴 장애 등으로 다양하며, 많은 환자들이 운동기능의 상실로 움직임이나 기능을 회복하지 못해 영구적인 장애를 가지고 살아간다(Trombly & Ma, 2002). 특히, 상지기능의 손상은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고, 사회에 복귀하는데 있어서 커다란 장벽을 제공하며, 회복 또한 하지에 비하여 좋지 못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im MY. A study of manual functional test for CVA. Korean Society Occupational Therapy. 1994;2(1):19-26. 

  2. Kim JM, Yang BI, Lee MK.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on manual dexterity in stroke patients.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10;17(2):17-24. 

  3. Jung HY, Park BK, Shin HS,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1(3):283-297. 

  4. Chai KJ, Lee HS.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97; 5(1):52-57. 

  5. Adamson J, Beswick A, Ebrahim S. Is stroke the most common cause of disabilit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2004;13(4):171-177. 

  6. Bellelli G, Buccino G, Bernardini B, et al. Action observation treatment improves recovery of postsurgical orthopedic patients: evidence for a Top-Down effec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0;91(10):1489-1494. 

  7. Ewan LM, Kinmond K, Holmes PS. An observation-based intervention for stroke rehabilitation: experiences of eight individuals affected by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0;32(25):2097-2106. 

  8. Gallese V, Fadiga L, Fogassi L, et al. Action recognition in the premotor cortex. Brain. 1996;119(2):593-609. 

  9. Jeannerod M. Neural simulation of action: a unifying mechanism for motor cognition. Neuroimage. 2001;14(1):103-109. 

  10. Oberman LM, Hubbard EM, McCleery JP, et al. EEG evidence for mirror neuron dysfunc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Cognitive Brain Research. 2005;24(2):190-198. 

  11. Pelosin E, Avanzino L, Bove M, et al. Action observation improves freezing of gait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10;24(8):746-752. 

  12. Rizzolatti G, Fadiga L, Gallese V, et al. Premotor cortex and the recognition of motor actions. Cognitive brain research. 1996;3(2):131-141. 

  13.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14. Trombly CA, Ma H. A synthesis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stroke, Part I: restoration of roles, tasks, and activitie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02;56(3):250-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