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 업무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Emergency Room Nurse Job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4, 2015년, pp.386 - 392  

신현식 (서산중앙병원) ,  김지수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job of emergency room (ER)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and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ir job. Methods: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2014 and May 2014 and participants were 159 nurses working in Seo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들의 업무를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중소병원 응급실의 업무 범위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배치에 대한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5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가 수행하고 있는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들의 업무를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중소병원 응급실의 업무 범위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의 배치에 대한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 간호사가 담당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응급실 간호사는 활력징후, 정맥주입간호와 같은 일반병동에서도 시행하는 기본적 간호업무에서부터 심전도의 판독, 각종 기계 모니터링, 환자와 가족에 대한 정서적 지지, 각종 기록 및 응급약물 투여 및 위기중재 같은 전문적 간호 실무를 담당하고 있다[6]. 하지만 400병상 이상의 병원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7]에 따르면 응급실 간호사가 동맥채혈, 비위관삽입, 위세척, 심낭천자 등의 전문적 기술을 요하는 의료 행위 등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응급실 간호업무가 병원 규모와 응급실 등급에 따라 일반간호에서부터 의료 행위에 이르기까지 업무범위가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응급의료기관급 이상의 모든 응급실의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 지역응급의료기관급 이상의 모든 응급실의 주된 목적은 응급 환자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 하는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교통사고 증가와 각종 질병으로 인해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는 점차 많아지고 있으나 보건복지부의 2012년도 응급의료 현황통계[1]에 따르면 권역센터의 6%, 지역 센터의 13%, 지역기관의 53%가 최소한의 법정인력요건조차 충족시키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어 응급 환자에 대한 즉각적 대응과 조치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응급실 전문 의료진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어떤것이 있으며 그 실정은? 응급실 전문 의료진의 부족으로 환자들은 응급상황에 대처하기에는 부족한 진료 환경에 내맡겨 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응급실 의료서비스의 질은 점차 하락하고 있다[3]. 이러한 응급실전문 의료 인력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3년 응급전문간호사 제도를 도입했으나[4], 2010년 현재 응급전문간호사 수요율은 52%에 그치고 있다[5]. 결국 중소병원 응급실에서는 의료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간호사가 응급전문의나 응급 전문간호사의 대체 인력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oon HD, Jung SY, Lee MH, Gang MJ,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2 Statistics of emergency medical system.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3. 

  2. Lee YG, Shin HH, Lee JJ. Problems and challenges of national emergency medical system. KIHM-130807.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2013. 

  3. Moon JL.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Paper presented at: The Assembly Policy Seminar; 2012 September 12; Seoul, Korea. 

  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aw of medical service [Internet]. Seo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cited 2015 June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D %98%EB%A3%8C%EB%B2%95. 

  5. Korean Nurses Association. Nurse specialist in the past 10 years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2. [cited 2015 Accessed Date]. Available from: http://webzine.koreanurse.or.kr/Webzine/read_article.php?webzine_id36&sub_cat_id403&is_sub_no635&article_id885 

  6. Cole FL, Ramirez E. Activities and procedures performed by nurse practitioners in emergency care settings.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0;26(5):455-463. http://dx.doi.org/10.1067/men.2000.110585 

  7. Kim MH. Actual condition of cari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orking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4. 

  8. Shin HH. Road map development for support of small & medium sized hospitals. KIHM 2013-04. Seoul: Korean Institute of Hospital Management; 2014. 

  9. Kim BJ, Lee EN, Kang KH, Kim SS, Kim SA, Sung YH, et al. A study of job analysis of the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2(1):81-95. 

  10. Lee WS. A study of job performance of emergency nurse practitioner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11. Cooper MA, Lindsay GM, Kinn S, Swann IJ. Evaluating emergency nurse practitioner servic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2;40(6):721-730.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2.02431.x 

  12. Kim JH, Ahn HY, Eom MR, Lee MY. A study of emergency room nurses' burn-out, nursing performance, and professio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0;19(1):50-59.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2017 Plan for emergency service [Internet]. Seo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ited 2015 June 1].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81509&page1 

  14. McGee LA, Kaplan L.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to use nurse practitioner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7;33(5):441-446. http://dx.doi.org/10.1016/j.jen.2006.10.019 

  15. Kim JH, Kim MA, Kim MW, Kim KS, Yoo CS, Lee EH. Analysis on advanced practice performance by emergency nurse practition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0;12(2):781-7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