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한 면과 견직물의 항미생물성 염색
Antimicrobial Dyeing of Cotton and Silk Fabrics Using Houttuynia cordata Extract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7 no.3, 2015년, pp.194 - 201  

김성진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김병진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김은지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정희선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  장진호 (금오공과대학교 소재디자인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tton and silk fabrics were dyed with Houttuynia cordata extract using aqueous ethanol solution and the dyeing and post-treatment conditions were optimized to impart antimicrobial activity to the fabrics. The dried Houttuynia cordata can be extracted at $80^{\circ}C$ for 3 hours using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견직물의 경우 95℃에서 1분 30초간 건조하고 160℃에서 10분간 경화하였고, 면직물은 90℃에서 5분간 건조하고 190℃에서 2분간 경화하였다. 견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염색 및 가교반응을 시킨 직물은 KS K ISO 105-C 06 : 2007 A1S) 조건으로 40℃에서 30분간 세탁한 후 표준회색색표를 이용하여 세탁견뢰도를 측정하였다. 세제는 Heal`s ECE phosphate 표준세제(B)를 사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건조 어성초를 증류수와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색소성분을 추출하기에 적절한 조건을 탐구하고 중성염 농도, pH, 염색 온도, 시간, 염료 농도를 조절하여 견직물 및 면직물에 적합한 염색 조건을 찾았으며, 염색된 직물의 염색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매염제와 시트르산가교17)처리하였고 염색 견뢰도와 항미생물성18)을 평가하였다.
  • 추출시 수용성 색소뿐 아니라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기 위해서 에탄올을 포함한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다. 분쇄한 어성초 건초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였고, 견직물과 면직물에 염색한 후 염색성을 고려한 추출조건을 선택하였다. 순수한 물을 용매로 사용한 경우 쿼세틴에 의한 흡광도가 가장 높았지만, 염색 후 K/S값은 오히려 에탄올 70%에서 가장 높았다.
  • 이것은 낮은 pH에서 양전하를 띄다가 pH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적으로 중성화되어 음이온성 색소와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줄어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상기 최적 중성염 농도와 pH에서 염색온도에 따른 견직물과 면직물에 대한 염색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60℃에서 120℃까지 변화시켜 염색한 경우 온도가 높을수록 K/S값이 증가하였으나 120℃에서 염색한 경우 산 촉매 가수분해를 유발하여 직물 손상의 우려가 있어 최적 염색온도를 100℃로 판단하였다. 또한 염색시간에 따른 염색성의 경우 60분까지는 K/S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90분이상에서는 K/S값 증가가 미미하였다.
  • 어성초 건초를 분쇄하고 색소를 추출하기 위한 용매로 에탄올과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용매, 시간 및 추출방법에 따라 UV-Vis 분광광도계(Agilent, US/8453, USA)를 이용하여 최대 흡수파장인 380nm에서 흡광도를 구하였고, 염료농도(5% o.w.f.), 액비 1:40, 100℃에서 60분간 염색한 후 K/S를 측정하여 적합한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추출한 어성초 추출액을 고온 건조하여 얻은 농축물을 KBr 펠렛으로 만들고 FT-IR 분광분석기(Bruker, Tensor 27, Germany)를 사용하여 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다.
  • 어성초 추출물의 pH를 변화시켜 견직물과 면직물에 대한 염색성을 평가하였다(Figure 5).
  • 어성초 추출물의 염색 시 염농도, pH, 온도, 시간 및 염료농도가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료농도 20%owf, 온도 100℃에서 60분간 염색을 실시하였다. 어성초 추출물에 중성염인 NaCl을 20g/L까지 첨가하여 염색한 경우, NaCl농도 10g/L까지는 K/S값이 증가하다가 이후 K/S값의 변화가 미미하여 어성초 염색에 적절한 NaCl농도는 10g/L로 고정하였다(Figure 4).
  • 염색견뢰도 평가는 추출액 농도 20%로 염색한 염색포(K/S(견): 5.49, K/S(면): 1.31)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Table 3). 후처리하지 않은 견과 면직물의 견뢰도의 경우 마찰 및 세탁(오염)견뢰도는 모두 4-5등급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나, 변퇴색 등급의 경우 각각 3-4등급과 4등급으로 약간 낮았다.
  • 미처리 직물과 어성초 추출물로 염색한 직물의 항미생물성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 KS K 0693: 2011법에 의거 정균감소율을 조사하였다. 이 때 사용된 공시균은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상구균)과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폐렴간균)이고 구체적인 항미생물성 시험은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 어성초 추출액을 80℃이하에서 수 시간 동안 건조시켜 추출액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적외선 염색기(Daelim, DL-6000plus, Korea)를 이용하여 액비 1:40을 기준으로 염색하였으며 염농도, pH, 온도, 시간 및 염료농도를 변화시켜 최적 염색조건을 구하였다. 반사율 분광광도계(Gretag Macbeth, Colorey 3100)로 염색직물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최대 흡수파장(380nm)에서의 반사율로부터 Kubelka-Munk식에 따라 K/S를 구하였다.
  • 추출액 농도가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염농도와 pH를 각각 10g/L와 pH 4로 고정하고 100℃에서 60분 동안 염색 시 추출액의 농도를 40%owf까지 변화시켰다(Figure 6). 두 섬유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K/S값이 증가하였으나, 견섬유의 염색성 증가가 면섬유에 비해 더욱 현저하였다.
  • ), 액비 1:40, 100℃에서 60분간 염색한 후 K/S를 측정하여 적합한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추출한 어성초 추출액을 고온 건조하여 얻은 농축물을 KBr 펠렛으로 만들고 FT-IR 분광분석기(Bruker, Tensor 27, Germany)를 사용하여 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 실험에서 사용된 직물은 주자직의 견직물(118g/m)과 평직의 80수 면직물(53g/m)을 솜베에서 구입하였으며, 염색용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대구 미산농장의 어성초 건초를 구입 후 분쇄하였다. pH조절용 NaOH(1급)와 HCl(1급), 매염제인 명반 KAl(SO4)2˙12H2O, 중성염으로 NaCl(1급)을 사용하였다. 견뢰도 향상을 위한 가교제와 촉매로 citric acid(1급)와 NaH2PO4˙2H2O(1급)를 사용하였다.
  • pH조절용 NaOH(1급)와 HCl(1급), 매염제인 명반 KAl(SO4)2˙12H2O, 중성염으로 NaCl(1급)을 사용하였다. 견뢰도 향상을 위한 가교제와 촉매로 citric acid(1급)와 NaH2PO4˙2H2O(1급)를 사용하였다.
  • 실험에서 사용된 직물은 주자직의 견직물(118g/m)과 평직의 80수 면직물(53g/m)을 솜베에서 구입하였으며, 염색용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대구 미산농장의 어성초 건초를 구입 후 분쇄하였다. pH조절용 NaOH(1급)와 HCl(1급), 매염제인 명반 KAl(SO4)2˙12H2O, 중성염으로 NaCl(1급)을 사용하였다.
  • 어성초 추출액을 80℃이하에서 수 시간 동안 건조시켜 추출액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적외선 염색기(Daelim, DL-6000plus, Korea)를 이용하여 액비 1:40을 기준으로 염색하였으며 염농도, pH, 온도, 시간 및 염료농도를 변화시켜 최적 염색조건을 구하였다.
  • . 추출시 수용성 색소뿐 아니라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기 위해서 에탄올을 포함한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다. 분쇄한 어성초 건초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였고, 견직물과 면직물에 염색한 후 염색성을 고려한 추출조건을 선택하였다.

이론/모형

  • 마찰견뢰도는 크로크미터법(KSK 0650: 2006)을 사용하였다. 또한 일광견뢰도는 Fade-o-meter(KS-115)를 사용하여 카본아크법(KS K 0700 : 200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 세제는 Heal`s ECE phosphate 표준세제(B)를 사용하였다. 마찰견뢰도는 크로크미터법(KSK 0650: 2006)을 사용하였다. 또한 일광견뢰도는 Fade-o-meter(KS-115)를 사용하여 카본아크법(KS K 0700 : 200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 미처리 직물과 어성초 추출물로 염색한 직물의 항미생물성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 KS K 0693: 2011법에 의거 정균감소율을 조사하였다. 이 때 사용된 공시균은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상구균)과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폐렴간균)이고 구체적인 항미생물성 시험은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 적외선 염색기(Daelim, DL-6000plus, Korea)를 이용하여 액비 1:40을 기준으로 염색하였으며 염농도, pH, 온도, 시간 및 염료농도를 변화시켜 최적 염색조건을 구하였다. 반사율 분광광도계(Gretag Macbeth, Colorey 3100)로 염색직물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최대 흡수파장(380nm)에서의 반사율로부터 Kubelka-Munk식에 따라 K/S를 구하였다.
  • 견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염색 및 가교반응을 시킨 직물은 KS K ISO 105-C 06 : 2007 A1S) 조건으로 40℃에서 30분간 세탁한 후 표준회색색표를 이용하여 세탁견뢰도를 측정하였다. 세제는 Heal`s ECE phosphate 표준세제(B)를 사용하였다. 마찰견뢰도는 크로크미터법(KSK 0650: 2006)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염료에 대한 대안으로 도입되는 천연 물질들은 무엇이 있는가? 기존 쪽, 감, 홍화 등 전통적인 염재 뿐 아니라, 오징어 먹물1), 옻2), 제주 송이3), 모과 열매4), 감즙5), 오미자6) 등 다양한 신규 천연 재료자체나 추출물을 활용하여 염색함으로써 다양한 동물·식물·광물성 색소 재료의 항미생물성, 아토피 대응성, 소취성, 자외선 차단성, 항산화, 항노화 등 기능성을 천연염색과 동시에 섬유 소재에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친환경 천연염색 공정은 섬유재료에 특정 색상을 부여할 뿐 아니라 색상이외 천연재료의 다양한 기능성을 함께 부여할 수 있는 가공공정으로서도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어성초가 전통적인 생약제로 이용된 이유는? 약용 식물 중 하나인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약모밀이라고도 하며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히말라야, 자바 등에 분포하고 국내의 경우 중부 및 남부 지방, 제주도 등에 자생한다. 6∼7월에 개화하여 10월경에 수확하고, 잎과 줄기에서 ‘생선 비린내가 난다’하여 어성초라 불리며, 이뇨, 진통, 탈모방지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여 전통적인 생약제로 이용되어 왔고 최근 비누, 화장품 등 피부보호 관련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어성초는 어디에 분포하고 자생하는가? 약용 식물 중 하나인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약모밀이라고도 하며 세계적으로 중국, 일본, 히말라야, 자바 등에 분포하고 국내의 경우 중부 및 남부 지방, 제주도 등에 자생한다. 6∼7월에 개화하여 10월경에 수확하고, 잎과 줄기에서 ‘생선 비린내가 난다’하여 어성초라 불리며, 이뇨, 진통, 탈모방지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여 전통적인 생약제로 이용되어 왔고 최근 비누, 화장품 등 피부보호 관련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J. Kim and J. Jang, Vat Dyeing of Wool and Cotton Fabrics with Sephia Melanin,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2(2), 88(2010). 

  2. Y. J. Jang, Y. H. Choi, H. M. Lee, M. S. Tak, W. S. Lyoo, and J. Jang, Color Deepening and Antimicrobial Finish in the Dyeing of Cotton Fabrics Using Rhus verniciiflua Extrac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3(1), 28(2011). 

  3. E. S. Im and H. S. Lee, A Study on Function of Natural Dyeing with Cotton Fabrics Using Jeju scoria,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3(3), 176 (2011). 

  4. K. Y. Nam and J. S. Lee,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haenomelis Fructus Extract, J. Kor. Soc. Cloth. Ind., 14(3), 478(2012). 

  5. M. W. Huh,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tton Fabrics Treated with Persimmon Juic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3(4), 187(2011). 

  6. M. S. Kim, Y. J. Shin, and J. Jang, Antimicrobial Finish of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Schizandra chinensis Fruit Extract, J. Korean Fiber Society, 50(3), 1089(2013). 

  7. M. J. Jung, S. Y. Bu, K. H. Tak, J. E. Park, and E. J. Kim, Anticarcinogenic Effect of Quercetin by Inhibi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GF)-1 Signaling in Mouse Skin Cancer,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7(6), 439(2013). 

  8. R. H. Kwon and B. J. Ha, Increased Flavonoid Compounds from Fermented Houttuynia cordata using Isolated Six of Bacillus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Houttuynia cordata, Toxicological Research, 28(2), 117(2012). 

  9. J. Y. Lee, Y. J. Lee, and W. S. Park, Anti -inflammatory Effect of Fermented Houttuyniae Herba Water Extract on LPS-induced Mouse Macrophage, Korean J. Herbology, 25(3), 27(2010). 

  10. J. H. Lee, K. N. Lee, C. W. Lee, H. J. Chun, and I. S. You, The Inhibitory Effects of Quercitrin from Houttuynia cordata Against Cadmium Induced Cytotoxicity(VII), J. Korean Chem. Soc., 47(2), 176(2003). 

  11. Y. S. Kim, S. K. Eo, H. J. Kim, D. I. Lee, K. H. Kim, and S. S. Han, Antiherpetic Activities of Natural Quercitrin Alone and in Combinations with Nucleoside Antiherpetic Agents, J. Applied Pharmacology, 7, 158(1999). 

  12. X. Chen, Z. Wang, Z. Yang, J. Wang, Y. Xu, R. Tan, and E. Li, Houttuynia cordata Blocks HSV Infection through Inhibition of NF-kB Activation, Antiviral Research, 92, 341(2011). 

  13. E. K. Jo and S. C. Lee, Antioxidan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ubcritical Water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0), 1391(2011). 

  14. J. H. Song, M. J. Kim, H. D. Kwon, and I. H. Park,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al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 1053(2003). 

  15. H. R. Jeong, J. H. Kwack, J. H. Kim, and G. N. Choi,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Korean J. Food Preserv, 17(5), 720(2010). 

  16. K. M. Lau, K. M. Lee, C. M. Koon, S. F. Cheung, and C. P. Lau, Immunomodulatory and Anti-SARS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J. Ethnopharmacology, 118, 79(2008). 

  17. Y. Tao, W. Bijia, L. Jian, C. Jiangang, and Y. Yiqi, Quantitative Analysis of Citric acid/sodium Hypophosphite Modified Cotton by HPLC and Conductometric Titration, Carbohydrate Polymers, 121, 92(2015). 

  18. M. W. Huh and J. S. Bae,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Synthetic Fabrics Treated with Persimmon Juic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6(2), 131(2014). 

  19. X. Xu, H. Ye, W. Wang, L. Yu, and G. Chen, Determination of Flavonoids in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Saururus chinensis(Lour.) Bai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Talanta, 68, 759(2006). 

  20. E. D. Rijke, P. Out, W. Niessen, F. Ariese, C. Gooijer, and U. Brinkman, Analytical Separation and Detection Methods for Flavonoids, J. Chromatography A, 1112, 31(2006). 

  21. R. S. Razmara, A. Daneshfar, and R. Sahraei, Solubility of Quercetin in Water + Methanol and Water + Ethanol from(292.8 to 333.8)K, J. Chem. Eng. Data, 55, 3934(2010). 

  22. A. Chourasiya, A. Upadhayay, and R. N. Shukla, To Assess Isolation of Quercetin from the Leaves of Azadirachta Indica and Antidiabetic Study of the Crude Extracts, J.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Science, 25(25), 179(2012). 

  23. S. H. Choi, Dyeability of Protein Fiber Treated with Wisteria floribunda Leaf Extrac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6(3), 254(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