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의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검증: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alment in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0, 2015년, pp.236 - 252  

최정아 (경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은폐, 그리고 우울 사이에 어떠한 관련성이 존재하며, 자기은폐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 사이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그리고 주요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구 및 경북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다집단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는 자기은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우울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뿐만 아니라 자기은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계에서 자기은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도출된 결과에 근거하여 대학생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self-esteem, self-concealment,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al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s were also 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요컨대, 본 연구에서는 1) 우울에 대한 주요 예측요인으로 보고되어 온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은폐가 우울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2) 그러한 관계에서 자기은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3)그리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은폐,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자기은폐를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수행된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자기은폐를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는데, 이는 이들 간의 실증적 관련성을 보고한 선행연구들에 근거한 것이다. 관련 연구들에 의하면, 사회적 지지는 이론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증적으로도 자기은폐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 본 연구에서는 잠재변수 간의 경로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집단분석은 기저모형에 대한 형태동일성(configural invariance) 검증, 측정동일성(metric invariance) 검증, 구조동일성(structural invariance) 검증의 순서대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미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남성보다 여성의 우울 수준이 더 높다는 것이 보고되어 왔으며[4][32][33], 이러한 성차를 고려할 때, 대학생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에 있어서도 성별에 따라 다른 방법이 강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확인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된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은폐,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함으로써 대학생 우울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단, 본 연구에서 우울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고려된 모든 변인들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의 성차를 확인한 선행연구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 중 일부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의 성차를 확인한 연구들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 못한 현실이다.
  • 이상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우울을 예방 또는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주요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함의를 제시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 한점 역시 가지고 있다.
  • 단, 본 연구모형의 모든 변수들이 포함된 경로에서의 성차를 검증한 연구는 아직 확인되고 있지 않아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존재할 수 있는 성별에 따른 차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예측을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경우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차가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탐색적인 수준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렇게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보고되어 왔지만, 이러한 보호요인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즉, 이러한 관계에서 어떠한 기제가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할 뿐 아니라, 일부 확인된 연구들조차 일관된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1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보고되어 온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보호효과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주목한 개념은 자기은폐(self-concealment)로서, 이는 주로 도움요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구되어 온 개념[20]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울에 대한 자기은폐의 정적 영향[26][27], 그리고 자기은폐에 대한 사회적 지지[28][29] 및 자아존중감[30][31]의 부적 영향을 보고한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자기은폐를 통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단,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연령, 성별, 성적, 가구소득 등[3][4][32][33]을 통제한 상태에서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이러한 전이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발달단계적 과업 뿐 아니라 새로운 환경, 학업, 진로, 취업, 대인관계 등 다양한 현실적 차원에서의 적응과 대처를 필요로 하는 시기이다. 특히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경제 불황과 청년실업 등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학생들이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실정인 이유는?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시기로서, 이러한 전이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발달단계적 과업 뿐 아니라 새로운 환경, 학업, 진로, 취업, 대인관계 등 다양한 현실적 차원에서의 적응과 대처를 필요로 하는 시기이다. 특히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경제 불황과 청년실업 등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다양한 스트레스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들이 경험하는 주요한 정신건강문제 가운데 하나가 바로 우울이다.
대학생들 가운데 우울을 경험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우울은 전 세계적으로 개인과 그 가족에게 있어서 다양한 삶의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정신건강문제로 인식되고 있는데[1], 관련 연구들은 우리나라 대학생들 가운데 우울을 경험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먼저,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한 연구[2]에 의하면, 조사대상자 가운데 23.2%가 우울군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또 다른 연구[3]에서도 조사대상 학생 가운데 13.1%가 경한 우울증,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http://apps.who.int/gb/ebwha/pdf_files/WHA65/A65_R4-en.pdf?ua1 

  2. 박광희, 하양숙, "대학생의 우울, 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스트레스연구, 제15권, 제3호, pp.17-25, 2007. 

  3. 김보미, 노혜린, "의과대학 학생들의 우울감 빈도와 관련 요인", 한국의학교육, 제26권, 제1호, pp.53-58, 2014. 

  4. 노명선, 전홍진, 이해우, 이효정, 한성구, 함봉진, "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한 연구: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신경정신의학, 제45권, 제5호, pp.432-437, 2006. 

  5. 조맹제, 박종익, 배안, 배재남, 손정우, 안준호 외,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2011. 

  6.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II: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Hanover, MD: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12. 

  7. C. Lee, D. A. Dickson, C. S. Conley, and G. N. Holmbeck, "A Closer Look at Self-Esteem,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y: A Prospective Stud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across the Transition to Colleg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33, No.6, pp.560-585, 2014. 

  8.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Reference Group Executive Summary, Baltimore, MD: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2000. 

  9.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National College Health Assessment Spring 2008 Reference Group Data Report (Abridged): the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7,No.5, pp.477-488, 2008. 

  10. J. L. Buchanan,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e College Student Popul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26, No.1, pp.21-42, 2012. 

  11. M. H. Rapaport, C. Clary, R. Fayyad, and J. Endicott, "Quality-of-Life Impairment in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2, No.6, pp.1171-1178, 2005. 

  12. A. L. Shortt and S. H. Spenc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Depression in Youth", Behaviour Change, Vol.23, No.1, pp.1-30, 2006. 

  13. L. J. Friedlander, G. J. Reid, N. Shupak, and R. Cribbi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tress as Predictor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among First-Year Undergraduat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8, No.3, pp.259-274, 2007. 

  14. M. Pelkonen, M. Marttunen, and H. Aro, "Risk for Depression: A 6-Year Follow-Up of Finnish Adolesc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77, No.1, pp.41-51, 2003. 

  15. W. R. Avison, and D. D. McAlpine,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3, pp.77-96, 1992. 

  16. S. Denny, T. Fleming, T. C. Clark, and M. Wall, "Emotional Resilienc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Alternative Education Students in New Zealand",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4, No.2, pp.137-149, 2004. 

  17. I. Colman, Y. Zeng, S. E. McMartin, K. Naicker, A. Ataullahjan, M. Weeks, A. Senthilselvan, and N. L. Galambos, "Protective Factors against Depress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Findings from a National Canadian Cohort", Preventive Medicine, Vol.65, pp.28-32, 2014. 

  18. 곽현주, 김현주, "한국 대학생의 우울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7호, pp.75-98, 2013. 

  19. U. Orth, R. W. Robins, and B. W. Roberts, "Low Self-Esteem Prospectively Predicts Depression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5, No.3, pp.695-708, 2008. 

  20. K. M. Cramer, "Psychological Antecedents to Help-Seeking Behavior: A Reanalysis Using Path Modeling Structur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6, No.3, pp.381-387, 1999D. 

  21. A. E. Kelly and J. A. Achter, "Self-Concealment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2, No.1, pp.40-46, 1995. 

  22. G. Larson and R. L. Chastain, "Self-Concealment: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Health Implication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9, No.4, pp.439-455, 1990. 

  23. A. Masuda, P. L. Anderson, and J. Edmonds, "Help-Seeking Attitudes, Mental Health Stigma, and Self-Concealment among Afr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Black Studies, Vol.43, No.7, pp.773-786, 2012. 

  24. A. Uysal, H. L. Lin, and C. R. Knee, "The Role of Need Satisfaction in Self-Concealment and Well-Be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36, No.2, pp.187-199, 2010. 

  25. B. S. K. Kim, D. R. Atkinson, and D. Umemoto, "Asian Cultural Values and the Counseling Process: Current Knowledg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9, No.4, pp.570-603, 2001. 

  26. K. M. Cramer and J. E. Barry,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lf-Concealment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7, No.4, pp.629-637, 1999. 

  27. S. Evans and C. Katona, Epidemiology of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Primary Care Attenders", Dementia, Vol.4, No.6, pp.327-333, 1995. 

  28. 오지현, 성영혜, 조유진, "부모상담에서 어머니의 자기은폐 수준 및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작업동맹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93-206, 2008. 

  29. H. Y. Liao, J. Rounds, and A. G. Klein, "A Test of Cramer's (1999) Help-Seeking Model and Acculturation Effects with Asian and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No.3, pp.400-411, 2005. 

  30. F. G. Lopez and K. G. Rice, "Prelimina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Relationship Authentic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3, No.3, pp.362-371, 2006. 

  31. J. W. Pennebaker, M. Colder, and L. K. Sharp, "Accelerating the Coping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3, pp.528-537, 1990. 

  32. A. Ali, K. Oatley, and B. B. Toner, "Life Stress, Self-Silencing, and Domains of Meaning in Unipolar Depression: An Investigation of an Outpatient Sample of Wome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1, No.6, pp.669-685, 2002. 

  33. 지은미, 조영채, "일부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996-3006, 2014. 

  34. 최정아. "초기 청소년기 우울에 대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85-297, 2014. 

  35. K. M. Cramer, M. D. Gallant, and M. W. Langlois,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in Women and Men: Compara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9, No.3, pp.581-592, 2005. 

  36. I. G. Sarason and B. R. Sarason, "Social Support: Mapping the Construc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26, No.1, pp.113-120, 2009. 

  37. I. Colman, M. E. Wadsworth, T. J. Croudace, and P. B. Jones, "Forty-Year Psychiatric Outcomes Following Assessment for Internalizing Disorder in Adolescen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4, No.1, pp.126-133, 2007. 

  38. P. M. Lewinsohn, P. Rohde, D. N., Klein, J. R. Seeley, "Natural Course of Adolescent Major Depressive Disorder: I. Continuity into Young Adulthoo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ol.38, No.1, pp.56-63, 1999. 

  39. H. Z. Reinherz, A. D. Paradis, R. M. Giaconia, C. K. Stashwick, and G. Fitzmaurice, "Childhood and Adolescent Predictors of Major Depression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60, No.12, pp.2141-2147, 2003. 

  40. A. E. Kelly and J. J. Yip, "Is Keeping a Secret or Being a Secretive Person Linked to Psychological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Vol.74, No.5, pp.1349-1370, 2006. 

  41. 박광희, "대학생 우울에 관한 예측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6호, pp.779-788, 2008. 

  42. U. Orth, R. W. Robins, K. F. Widaman, and R. D. Conger, "Is Low Self-Esteem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Findings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Mexican-Origin Youth",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0, No.2, pp.622-633, 2014. 

  43. M. G. Constantine, S. Okazaki, and S. O. Utsey, "Self-Concealment, Social Self-Efficacy,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in African, Asian, and Latin Americ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4, No.3, pp.230-241, 2004. 

  44. 신지은, 이동귀, "고등학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 한국청소년연구, 제22권 제2호, pp.55-79, 2011. 

  45. 최희철, 김지현, "남자 청소년의 성역할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기은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1호, pp.253-280, 2009. 

  46. R. A. Caldwell, G. A. Bogat, and K. Cruise, "The Relationship of Ego Identity to Social Network Structure and Function in Young Men and Women", Journal of Adolescence, Vol.12, No.3, pp.309-313, 1989. 

  47. E. W. Schrimshaw, K. Siegel, M. J. Downing Jr, and J. T. Parsons, "Disclosure and Concealment of Sexual Orientation and the Mental Health of Non-Gay-Identified, Behaviorally Bisexual 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81, No.1, pp.141-153, 2013. 

  48. D. J. Potoczniak, M. A. Aldea, and C. DeBlaere, "Ego Identity, Social Anxiety, Social Support, and Self-Concealment in Lesbian, Gay, and Bisexual Individua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4, No.4, pp.447-457, 2007. 

  49. J. J. Cameron, J. G. Holmes, and J. D. Vorauer, "When Self-Disclosure Goes Awry: Negative Consequences of Revealing Personal Failures for Lower Self-Esteem Individual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45, No.1, pp.217-222, 2009. 

  50. S. Sprecher and S. S. Hendrick, "Self-Disclosure in Intimate Relationships: Associations with Individual and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ver Tim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3, No.6, pp.857-877, 2004. 

  51.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No.1, pp.30-41, 1988. 

  52.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3. 전병제, "자아개념 측정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제11권, 제1호, pp.107-130, 1974. 

  54. P. F. Lovibond and S. H. Lovibond, "The Structure of Negative Emotional States: Comparis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DASS) with the Beck Depression and Anxiety Inventori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33, No.3, pp.335-343, 1995. 

  55.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고급 방법. 홍세희 교수의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시리즈 4 자료집, S & M 리서치그룹, 2008. 

  56.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57. D. L. Bandalos and S. J. Finney, "Item Parce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 and R. E. Schumacker (Eds.),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ilsdale, N. J.: Lawremce Erlbaum Associates, 2001. 

  58. L. Hu and P. M. Bentler,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Vol.3, No.4, pp.424-453, 1998. 

  59. L.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No.1, pp.1-55, 1999. 

  60.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3. 

  61. A. Friedlander, S. Nazem, A. Fiske, M. R. Nadorff, and M. D. Smith, "Self-Concealment and Suicidal Behavior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42, No.3, pp.332-340, 2012. 

  62. C. Yeh and Y. Wang, "Asian American Coping Attitudes, Sources, and Practices: Implications for Indigenous Counseling Strategi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1, pp.94-103, 2000. 

  63. 김희은, 이미현, 김인규, "국내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제15권, 제4호, pp.1441-1456, 2014. 

  64. 방소희, 이동훈,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상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4호, pp.2641-2660, 2013. 

  65. 송명자, 이현림,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2호, pp.269-291, 2008. 

  66. 엄혜정, 최임숙,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903-927, 2010. 

  67. 장현아, "대학 교양 강좌를 이용한 긍정심리 프로그램의 효과", 인간이해, 제33권, 제2호, pp.123-138, 2012. 

  68. S. H. Lee, J. A. Choi, and J. H. Park, "Helping Peers Seek Professional Treatment for Depression among Young South Korean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43, No.2, pp.122-13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