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and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587 - 600  

조명현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우울 증상에 사회적 지지가 보호요인으로서 기능한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그 과정에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32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우울 증상, 낙관성, 자기효능감을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높은 사회적 지지는 낮은 우울 증상을 예측하였고 높은 낙관성과 높은 자기효능감을 예측하였다. 또한, 높은 낙관성과 높은 자기효능감은 낮은 우울 증상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매개분석 결과,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은 각각 사회적 지지와 우울 증상의 부적 관계를 매개하였다. 즉, 높은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는 대학생들은 높은 낙관성과 높은 자기효능감을 경험하는데, 이는 낮은 우울 증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과 함께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and self-effic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n among college students. 329 college students answered the survey questionnaires which assessed their social support, depressive symptoms, optim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첫째,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로서 우울 경향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데는 낙관적인 태도가 개입한다는 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셋째, 자기효능감 역시 사회적 지지를 통해 나타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우울감을 줄인다는 점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을 높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고양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데, 이는 사회적 지지 자체의 효과 때문일 수도 있지만 사회적 지지가 유도하는 인지적 정서적 효과에 의한 긍정적 결과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지적 정서적 중요 매개변인으로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에 주목해보았다. 이를 통해 사회적 지지가 왜 우울 증상을 줄일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 우울 증상의 예방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그 매개요인으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둘째, 사회적 지지가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데는 낙관적인 태도가 개입한다는 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셋째, 자기효능감 역시 사회적 지지를 통해 나타나고 이것이 궁극적으로 우울감을 줄인다는 점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필요성과 목적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해볼 수 있다. 첫째,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로서 우울 경향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감소할 수 있다는 점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데는 낙관적인 태도가 개입한다는 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04]. 따라서 이 결과들을 통해 가설 3 역시 지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E. H.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 Norton. 1950. 

  2. J. Bowlby, "The Bowlby-Ainsworth attachment theory,"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Vol.2, No.4, pp.637-638, 1979. 

  3. 류승아, "정신장애인의 경쟁고용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 한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3권, 제4호, pp.1-25, 2009. 

  4. 박현경, 이영희, "집단상담 참가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상담자 역할기대 및 치료적 요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6권, 제4호, pp.571-596, 2004.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8년 건강보험통계연보, 2018. 

  6. 보건복지부, 2016 정신질환실태조사, 2017. 

  7.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연구원, "2005학년도 대학생활문화원 활동현황," 학생연구, 제40권, pp.133-142, 2006. 

  8. 박은희, 최은실,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8권, 제1호, pp.57-79, 2015. 

  9. 김종운, 양민정,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2호, pp.283-299, 2014. 

  10. E. T. Higgins, R. Klein, and T. Strauman, "Self-concept discrepancy theory: A psychological model for distinguishing among different asp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Cognition, Vol.3, No.1, pp.51-76, 1985. 

  11. 박경순, 박영란, 손덕순, "사회적 연결감과 우울의 관계: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667-677, 2020. 

  12. S. Armstrong and J. Oomen-Early, "Social connectedness, self-esteem, and depression symptomatology among collegiate athletes versus nonathlete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7, No.5, pp.521-526, 2009. 

  13. 윤명숙, 이효선, "대학생의 우울, 취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문제음주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09-137, 2012. 

  14. S. J. Garlow, J. Rosenberg, J. D. Moore, A. P. Haas, B. Koestner, H. Hendin, and C. B. Nemeroff, "Depression, desperat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results from the American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College Screening Project at Emory University," Depression and anxiety, Vol.25, No.6, pp.482-488, 2008. 

  15. 오병진, 최상원, "태권도 수련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스포츠 자신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제16권, 제3호, pp.707-715, 2018. 

  16.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utin, Vol.98, No.2, pp.310-357, 1985. 

  17. M. F. Scheier, C. S. Carver, and M. W. Bridges,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No.6, pp.1063-1078, 1994. 

  18.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 Co., 1997. 

  19. M. M. Alsubaie, H. J. Stain, L. A. Webster, and R. Wadman, "The role of sources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university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 Vol.24, No.4, pp.484-496, 2019. 

  20.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21. R. M. R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68-78, 2000. 

  22. A. H. Maslow,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Vol.50, No.4, pp.370-396, 1943. 

  23. R. Schwarzer, N. Knoll, and N. Rieckmann, "Social support," Health psychology, Vol.158, p.181, 2004. 

  24. 구승신, 정옥희, 장성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25-237, 2011. 

  25. 엄태완, "빈곤층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효과,"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28권, 제4호, pp.36-66, 2008. 

  26. S. D. Brown, Y. Brady, R. W. Lent, J. Wolfert, and S. Hall,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college students: Three studies of the psychmetric characteristics and counseling use of the social support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4, No.3, pp.337-354, 1987. 

  27. J. Hefner and D. Eisenberg,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9, No.4, pp.491-499, 2009. 

  28. R. G. Wright, A L. Botticello, and C. S. Aneshensel, "Socioeconomic context,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 multilevel investig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35, No.1, pp.115-126, 2005. 

  29. 박상훈, 손명희,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고독감,"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2호, pp.373-389, 2014. 

  30. L. M. Haggard and D. W. Williams, "Self-identity benefits of leisure," Benefits of leisure, pp.103-120, 1991. 

  31. A. Bandur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32. E. C. Karadema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optim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0, No.6, pp.1281-1290, 2006. 

  33. M. F. Scheier and C. S. Carver,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Vol.4, No.3, pp.219-247, 1985. 

  34. L. G. Aspinwall and S. E. Taylor, "Individual differences,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No.6, pp.989-1003, 1992. 

  35. E. Diener, S. Oishi, and R. E. Lucas,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No.1, pp.403-425, 2003. 

  36. C. S. Carver and M. F. Scheier, "Unresolved issues regarding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explanatory style," Psychological Inquiry, Vol.2, No.1, pp.21-24, 1991. 

  37. C. S. Carver and J. G. Gaines, "Optimism, pessimism, and postpartum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1, No.4, pp.449-462, 1987. 

  38. Z. M. Shnek, J. Irvine, D. Stewart, and S. Abbey, "Psychological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ischemic heart disease," Health psychology, Vol.20, No.2, pp.141-145, 2001. 

  39. K. S. Vickers and N. D. Vogeltanz, "Dispositional optimism as a predictor of depressive symptoms over tim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28, No.2, pp.259-272, 2000. 

  40. 김주희, 낙관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41. B. L. Fredrickson,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2, No.3, pp.300-319. 1998. 

  42. 고정희, 부모애착, 낙관주의, 부정적 기분 조절 기대치와 공격성과의 관계,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3. 조윤경, 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 낙관성을 매개변인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4. J. Bowlby, Attachment and Loss: Volume II: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London: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analysis, pp.1-429, 1973. 

  45. K. Heinonen, K. Raikkonen, L. Keltikangas-Jarvinen, and T. Strandberg, "Adult attachment dimensions and recollections of childhood family context: Associations with dispositional optimism and pessimism,"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18, No.3, pp.193-207, 2004. 

  46. M. I. Bisschop, D. M. Kriegsman, A. T. Beekman, and D. J. Deeg,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on: the modifying role of psychosocial resourc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59, No.4, pp.721-733, 2004. 

  47. S. Faure and H. Loxton, "Anxiety, depression and self-efficacy levels of women undergoing first trimester abortion,"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33, No.1, pp.28-38, 2003. 

  48. T. B. Kashdan and J. E. Roberts, "Social anxiety's impact on affect, curiosity, and social self-efficacy during a high self-focus social threat situa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28, No.1, pp.119-141, 2004. 

  49. J. Barlow, C. Wright, and L. Cullen, "A job-seeking self-efficacy scale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reliminar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Vol.30, No.1, pp.37-53, 2002. 

  50. A. Bandura, G. V. Caprara, C. Barbaranelli, M. Gerbino, and C. Pastorelli, "Role of affective self-regulatory efficacy in diverse spheres of psycho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Vol.74, No.3, pp.769-782, 2003. 

  51. A. H. McFarlane, A. Bellissimo, and G. R. Norman, "The role of family and peers in social self-efficacy: Links to depression in adolescenc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65, No.3, pp.402-410, 1995. 

  52. R. Kanfer and A. M. Zeiss, "Depression, interpersonal standard setting, and judgments of self-efficac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2, No.3, pp.319-329, 1983. 

  53. M. Jr. Barrera, "Social support in the adjustment of pregnant adolescents. Assessment issues,"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pp.69-96, 1981. 

  54. 신혜정, 청소년의 학교 급별(초,중,고)에 따른 사회적 지지,자기효능감 및 적응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5. 허행식,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6. 한수현,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7. A. Abbey, D. J. Abramis, and R. D. Caplan, "Effects of different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onflict on emotional well-being,"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6, No.2, pp.111-12, 1985. 

  58. 전지아, 산후 스트레스와 사회적 관계망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59. 유성은, 권정혜,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16, No.2, pp.67-84, 1997. 

  60.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4, No.6, pp.561-571, 1961. 

  61.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62. 조명현, 접근동기와 회피동기에 따른 자기중심성 집단의 성격적, 적응적 특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63.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ante, S. Prentice-Dunn, B. Jacobs, and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51, No.2, pp.663-671, 1982. 

  64.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65. A. D. Hayes, A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2013. 

  6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67. 조영일, 김지현, 한우리, 조유정, "임상 연구에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의 비교 및 통합: 개념 정의 및 통계 모형,"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34권, 제4호, pp.1113-1131, 2015. 

  68. M. R. Cunningham, "What do you do when you're happy or blue? Mood, expectancies, and behavioral interest," Motivation and emotion, Vol.12, No.4, pp.309-331, 1988. 

  69. J. Zaki and W. C. Williams,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Emotion, Vol.13, No.5, pp.803-810, 2013. 

  70. S. G. Hofmann,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model of mood and anxiety disorder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8, No.5, pp.483-492, 2014. 

  71. R. S. Lazarus, "Emotions and adaptation: Conceptual and empirical relations," In W. J. Arnold (Ed.),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6 (pp.175-270),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68. 

  72. 박미진, "사회적 연결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3호, pp.55-81, 2018. 

  73. 김혜성, "직무스트레스와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직장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32권, pp.346-373, 2009. 

  74. 박주연, 전상원, 김은진, 신동원, 오강섭, 신영철, 임세원, "한국 직장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우울 및 불안증상의 특성," 대한불안의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48-155, 2017. 

  75. 김동배, 김상범, 신수민, "무배우자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289-303. 2012. 

  76. 신창환, "삶의 특성이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0호, 제2호, pp.453-469, 2010. 

  77. 박미화, "장애대학생의 가족지지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8권, 제4호, pp.147-168. 2015. 

  78. 이영만, "초등학교 여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pp.191-214, 2012. 

  79. 강수희, 장석진,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매개효과-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4호, pp.2395-2416. 2013. 

  80. 박영희, 노은미,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노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37-48. 2015. 

  81. 박성희, 이지현, "노인의 무력감,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65-73, 200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