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상호관계와 조직성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분석
Work-Familiy Interface and Organizational Outcomes in Female Managers: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0, 2015년, pp.436 - 446  

김은주 (한국수자원공사) ,  한인수 (충남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충실화를 포괄하는 일-가정 상호관계는 구성원의 삶의 질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등의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이 일과 가정 생활을 병행함에 따라 나타나는 부정적 현상인 일-가정 갈등을 완화시키고, 반면에 긍정적 현상인 일-가정 충실화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일-가정 갈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일-가정 충실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향상시킨다는 가정 하에, 기혼 여성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 상호관계와 조직성과 사이에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일-가정 갈등과 직무만족 사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일-가정 충실화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k-family interface including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has an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empirical research mainly investigated influence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on work-family interfac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일정 기간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충실화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 기혼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두 개념을 동시에 포괄하는 일-가정 상호관계와 조직성과 사이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또한 최근 기업에서 추진하고 있는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두 변수 사이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실증 분석은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정책개발원에서 실시한 「2013년 여성관리자 패널조사」데이터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기혼 여성관리자의 일-가정 상호관계와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조절역할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가정 갈등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조직문화가 가족친화적일수록 둘 사이의 관계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분석수준에 대한 논란을 낳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를 개인수준에서 측정한 것은 개인이 인식하는 문화나 풍토가 개인들에게 다양하게 인식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한 것이다. 보다 엄격한 연구에서는 이를 조직차원에서 측정하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이 가족 친화적 제도 운영과 조직문화 구축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업들은 최근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고 조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구성원들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해줄 수 있는 가족 친화적 제도 운영과 조직문화 구축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기업이 이러한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는 가족친화적 프로그램과 제도 운영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등 구성원들의 직무 태도와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5][6].
일-가정 갈등이란 무엇인가? 일-가정 갈등은 직장과 가정영역에서 발생하는 역할 압력이 여러 측면에서 서로 양립할 수 없을 때 나타나는 역할 갈등의 한 형태로 정의된다[11].
구성원들의 일-가정 갈등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일-가정 사이의 역할갈등은 여성근로자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구성원들의 일-가정 갈등은 이직의도, 직무만족 저하, 조직몰입 저하 등 조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 R. Frone, M. Russell, and M. L. Cooper,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7, pp.65-78, 1992. 

  2. L. E. Duxbury and C. A. Higgnis,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No.1, pp.60-74, 1991. 

  3. G. A. Adams, L. A. King, and D. W. King, "Relation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1, No.4, pp.411-420, 1996. 

  4. D. S. Carlson, K. M. Kacmar, and L. J. Wilham,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6, pp.249-276, 2000. 

  5. T. D. Allen,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8, pp.414-435, 2001. 

  6. A. M. Konrad and R. Mangel, "The impact of work-life programs on firm productivit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1, pp.1225-1237, 2000. 

  7. 전혜옥, "기혼 직장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장-가정 갈등 및 정신건강 간의 관계", 제11권, 제12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pp.378-385, 2011. 

  8. L. E. Duxbury, C. A. Higgnis and C. Lee, "Work-family conflict, A comparison by gender, family type and perceived control", Journal of family issues, Vol.15, pp.449-466, 1994. 

  9. 김주엽, "직무특성과 일 가정 균형", 인적자원개발연구, Vol.11, pp.109-132, 2008. 

  10. G. L. Stains, "Spillover versus compens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nonwork", Human relation, Vol.33, pp.111-129, 1980 

  11. J. H. Greenhaus and N. J. Beutell, "Source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No.1, pp.76-88, 1985. 

  12. J. R. Edwards and N. P. Rothbard,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5, pp.178-199, 2000. 

  13. G. L. Stains and J. H. Pleck, "The impact of work schedules on the family", Ann Arbor MI;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83. 

  14. P. Voydanoff,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7, pp.822-836, 2005. 

  15. J. H. Greenhaus and G. N. Powell, "When work and family ard allies: A theory of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1, pp.79-92, 2006. 

  16. S. Dawn, K. Carlson, Michele Kacmar, Julie Holliday Wayne, and Joseph G. Grzywacz, "Measuring the positive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a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family enrichment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8, pp.131-164, 2006 

  17. 김주연, 문영주,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09-126, 2010. 

  18. 김주엽, 박종찬, 김찬중, "일과 생활의 균형, 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제33권, 제4호, pp.121-153, 2009. 

  19. 송계충, 정범구, 조직행위론, 경문사, 2007. 

  20. L. Porter and R. Steers,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f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Vol.80, No.2, pp.151-176, 1973. 

  21. E. Ensher, E. Grant-Vallone, and S. Donaldson,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behavior and grievanc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2, No.1, pp.53-72, 2001. 

  22. E. Kossek and C. Ozeki, "Work family conflict, policies, and the job-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A review and directions for organizational behavior-human resources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pp.139-149, 1998. 

  23. 임효창, 이봉세, 박경구, "기혼 직장인의 직장-가정 갈등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34권, 제5호, pp.1417-1443, 2005. 

  24. S. Eaton, "If you can use them; Flexibility polici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roductivity", Harvard university faculty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2001. 

  25. 투멘쿠 셀렌지, 이정언, "일-가정생활의 갈등이 조직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362-369, 2014. 

  26. Karen, S. Lyness, "When work 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4, pp.392-415, 1999. 

  27. L. T. Thomas and D. C. Ganster,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No.1, pp.6-15, 1995. 

  28. S. Mounoa, U. Kinnunenb, and T. Feldta, "Work -family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Does gender and parenting status alter the relationship?", Commity, Work and family, Vol.15, No.1, pp.101-129, 2012. 

  29. http://kwmp.kwdi.re.kr 

  30. D. S. Carlson, K. M. Kacmar, and L. J. Williams, "Constr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6, pp.249-276, 2000. 

  31. B. Gutek, S. Searle, and L. Kelpa, "Rational versus gender role-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pp.560-568, 1991. 

  32. 민현주 외, 여성인력패널조사, 여성가족부, 2008. 

  33. P. C. Smith, L. M. Kendall, and C. L. Hulin,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A Strategy for the Study of Attitudes", Rand McNally, Chicago, IL., 1969. 

  34. C. A. Thompson, L. L. Beauvais, and K. S. Lynessa,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4, No.3, pp.92-415, 1999. 

  35. 신민철, 사회연구방법의 기초, 창민사, 2007. 

  36. P. M. Podsakoff and D. W. Organ, "Self-repor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Problems and prospects", Journal of Management, Vol.12, No.4, pp.531-544,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