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업무용도로 이용되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인지된 보안성, 인지된 프라이버시, 인지된 즐거움, 인지된 상호작용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n the Effect of Perceived Security, Perceived Privacy, Perceived Enjoyment, Perceived Interactivity on Continual Usag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in Mobile Instant Messenger for business 원문보기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11 no.3, 2015년, pp.159 - 177  

이지은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황찬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  권두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융합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mart phones become more common nowadays, mobile instant messengers such as kakao talk and line are used as essential communication tools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individuals. Also,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extend their use to business area beyond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Th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정의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개인 간의 채팅, 그룹 채팅, 멀티미디어 파일공유 등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로 정의한다[3]. 그리고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IP기반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한다[11].
인지된 보안성은 무엇인가? 첫째, 인지된 보안성(Perceived Security)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데이터 이동에 대한 피해에 대한 잠재적 위험을 인지하는 정도라고 정의한다[13]. Siponen [14]의 연구에서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인지하는 보안의 수준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재신ㆍ김봉수의 연구에서 정의된 인지된 상호작용성은 무엇인가? 넷째, 인지된 상호작용성(Perceived Interactivity)은 개인 간의 의사소통을 통해 정보, 생각 등을 교환하는 모든 행위 및 매체를 말한다[21]. 이재신ㆍ김봉수[22]의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이 이용자들의 대화를 면대면으로 유사하게 만들어주는가에 관심의 정도라고 정의한다. 조성남 외[23]의 연구에서는 인간과 인간, 혹은 인간과 사물 사이에서 교환되어지는 행동이라고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진보래.이연경.박남기, "모바일 메신저 이용의 스트레스 요인,"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6호, 2014, pp. 168-210. 

  2.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백서 2012," 2012. 

  3. 조성완,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딜레마," LG 경제연구원, 2012. 

  4. 박현선.김상현,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의존, 생활 장애 및 디지털휴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각된 위험의 영향을 미치는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3권, 제3호, 2014, pp. 25-46. 

  5.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백서 2014," 2014. 

  6. 김현미.장선희, "논문 :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대화자 그룹에 따른 친밀감 형성 요인의 영향력,"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0권, 제3호, 2011, pp. 3-15. 

  7. 박노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과 사회적 실재감에 관한 연구 :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매개효과 및 남녀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미디어경제와 문화, 제6권, 제3호, 2008, pp. 51-78. 

  8. 박상혁,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집단의사결정에서 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의사결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합분석," 정보시스템연구, 제15권, 제2호, 2006, pp. 247-269. 

  9. 이보경.김병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지속사용 의도와 구전 의도에 관한 연구 : 이원적 모형과 현상유지 편향 관점에서,"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 3호, 2012, pp. 449-523. 

  10. 이지영.김주섭,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채팅 룸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4호, 2014, pp. 283-293. 

  11. 한은영,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경쟁 전략 및 전망," 방송통신정책, 제25권, 제16호, 통권 561호, 2013, pp. 1-35. 

  12. 김재전.이윤희.노희옥.박경자,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의존도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 연구, 제23권, 제1호, 2014, pp. 225-246. 

  13. Kalakota, R. & Whinston, A. B., "Electronic Commerce: A Manager's Guide," Addison-Wesley Professional, 1997. 

  14. Siponen, M. T., "A Conceptual Foundation for Organizational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formation Management & Computer Security, 8(1), 2000, pp. 31-41. 

  15. Vatanasombut, B., Igbaria, M., Stylianou, A. C. & Rodgers, W.,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Intention of Web-Based Applications Customers: The Case of Online Banking," Information & Management, 45(7), 2008, pp. 419-428. 

  16. Prabhakar, S., Pankanti, S. & Jain, A. K., "Biometric Recognition: Security and Privacy Concerns," IEEE Security and Privacy, 1(2), 2003, pp. 33-42. 

  17. Jarvenpaa, S. L. & Todd, P. A., "Consumer Reactions to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2), 1996, pp. 59-88. 

  18. Smith, H. J., Milberg, S. J. & Burke, S. J.,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Indiv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20(2), 1996, pp. 167-196. 

  19. Hackbarth, G. V. and Yi, M. Y., "Computer playfulness and anxiety: positive and negative mediators of the system experienc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Information & Management, 2003, 40:221-232. 

  20. 유철우.최영찬, "인터넷 쇼핑몰에서 충성도와 동일시, 지각된 즐거움, 신뢰,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0권, 제3호, 2009, pp. 3-24. 

  21. Lombard, M. and Snyder-Duch, J.,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esence: A Framework,"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2), 2001, Article 5. 

  22. 이재신.김봉수, "인지된 상호작용성의 선행요인 : 영상전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5호, 2009, pp. 258-295. 

  23. 조성남.김재성.정철호,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그린&스마트IT 정보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K연구원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8권, 제1호, 2013, pp. 37-50. 

  24. 이종임, "대학생들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과 일상화 경험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9권, 제1호, 2014, pp. 37-70. 

  25. 김유진.김유미.김승인,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감정 표현 기능에 관한 비교 연구 : 카카오톡과 프랭클리 챗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3호, 2014, pp. 73-82. 

  26. 김해룡.윤승재, "모바일 인스턴트메신저 지속사용의사: 네트워크 외부성과 이용자 품질지각을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6권, 제2호, 2014, pp. 61-71. 

  27.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2001, pp. 351-370. 

  28.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1980, pp. 460-469. 

  29. 이제홍, "온라인 포털사이트 커뮤니티와 고객충성도에 관한 실증분석," e-비즈니스연구, 제9권, 제3호, 2008, pp. 3-22. 

  30. McKinney, V. and Kanghyun. Y. and Fatemeh., M. Z, "The Measurement of Web-Customer Satisfaction: An Expectation and Disconfirmation Approach," Journ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3 No. 3, 2002, pp. 296-315. 

  31. Chiu, C. M. and Hsub. M. H. and Sunb, S. Y. and Linc. T. C. and Sund, P. C, "Usability, quality, value and e-learning continuance decisions," Computers & Education, Vol. 45, No. 4, 2005, pp. 399-416. 

  32. Venkatesh, V. & Davis, F. 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2000, pp. 186-204. 

  33. 배재권, "모바일 클라우드 이용자의 인지된 프라이버시, 인지된 보안성, 인지된 즐거움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 연구, 제15권, 제3호, 2014, pp. 3-27. 

  34. James, T. L., Pirim, T., Boswell, K., Reithel, B. J. & Barkhi, R., "Determining the Intention to Use Biometric Devices: An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and End User Computing, 18(3), 2006, pp. 1-24. 

  35. 이병용.김민용, "생체인식기술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다크 시나리오와 브라이트 시나리오의 비교,"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6권, 제3호, 2011, pp. 1-22. 

  36. 이홍재.최문형.박미경,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사용자 인지요인이 SNS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2, pp. 145-167. 

  37. 이종만,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2012, pp. 417-425. 

  38. Sun, H. & Zhang, P.,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Ease of Use: An Alternative Approach,"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7(9), 2006, pp. 618-645. 

  39. 정철호.김한국.하임숙, "이러닝 서비스의 지속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5권, 제1호, 2011, pp. 65-72. 

  40. 이보영, "호텔 웹사이트의 상호작용성이 사이트 신뢰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AM의 외부변수로 상호작용성 특성을 중심으로," 서비스 산업연구, 제6권, 제1호, 2009, pp. 37-59. 

  41. 심성욱, "인터랙티브 TV광고 수용에 관한 연구 : 플로우 이론, 상호작용성, 기술수용모델 확장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83호, 2009, pp. 63-97. 

  42. 전새하.박나래.이중정,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10권, 제2호, 2011, pp. 97-112. 

  43. 김상현.박현선, "정보공유 및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특성과 지각된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실증연구," 경제연구, 제27권, 제3호, 2012, pp. 247-272. 

  44. 김종애, "온라인 지식 커뮤니티에서의 지식기여 의도의 동기요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3호, 2009, pp. 297-312. 

  45. 조유제.최정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지각된 특성이 기대충족과 만족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1권, 제5호, 2011, pp. 108-113. 

  46. 양윤란.오경자, "또래 상호작용에 대한 자기제시 기대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권, 제3호, 2005, pp. 647-661. 

  47. 임성택.구미자, "문제유형별 상담자와 상담유형이 내담자의 상담효과기대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7권, 제3호, 2006, pp. 715-730. 

  48. 전병호.강병구, "소셜 커머스 사이트에서의 정보품질이 소비자의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2013, pp. 127-139. 

  49. 이선로.정연오, "가중화된 기대충족모형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 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에 관한 연구," 경제과학, 제25권, 제3호, 2008, pp. 135-156. 

  50. 강희택.김승운, "쾌락적 정보시스템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 review, 제8권, 제3호, 2006, pp. 153-174. 

  51. 문종범.김인섭.정원준, "SNS 만족도가 소셜커머스 신뢰성 및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제17권, 제2호, 2012, pp. 273-292. 

  52. Bhattacherjee, A. & Premkumar, G., "Understanding Changes in Belief and Attitude toward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heoretical Model and Longitudinal Test," MIS Quarterly, 28(2), 2004, pp. 229-254. 

  53. Chen, H., C. Charlie, L. Louis, and C. Yang, "Online privacy control via anonymity and pseudonym: Cross-cultural implications," 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 27, No. 3, 2008, pp. 229-242. 

  54. 임병하.강동원,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 Review, 제16권, 제3호, 2014, pp191-214. 

  55. Koufaris, M.,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low Theory to Online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3, No. 2, 2002, pp. 205-223. 

  56. 강명수,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커뮤니티 몰입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저널, 제3권, 제1호, 2002, pp. 77-98. 

  57. 정기호.윤한성.박준철, "An Empirical Study on Predicting User Acceptance of Blog,"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9권, 제4호, 2009, pp. 505-521. 

  58. 최상민.강성배.문태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인지된 즐거움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2권, 제3호, 2012, pp. 95-112. 

  59. 문영주.이종호, "온라인 커뮤니티 명성,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 즐거움이 성과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신뢰와 몰입을 매개로," e-비즈니스연구, 제9권, 제1호, 2008, pp. 75-99. 

  60.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1989, pp. 319-340. 

  61. 서우종.원욱연.홍진원, "SNS 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제26권, 제1호, 2010, pp. 99-132. 

  62. Howel, J. M. & C. A. Higgins, "Champ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2), 1990, pp. 317-341. 

  63. Chin, W. W.,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22(1), 1998, pp. 7-16. 

  64. Fornell, C. &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1981, pp. 39-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