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
Empirical Analyses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rvices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9 no.2, 2019년, pp.55 - 76  

이일구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정보학과) ,  김상훈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인 분석과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의 서비스특성이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자들의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고, 서비스특성에 관한 구성변수로서 편재접속성, 신뢰성, 상황인식성, 보안성 등 네 변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기술수용에 관한 이론적 모형들인 기술수용모형(TAM) 및 수정된 기술수용모형(Updated TAM), 이성적 행동이론(TRA)과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지각된 유용성지각된 용이성주관적 규범 등 세 변수를 도출하고, 조절 변수로서 사용자 혁신성을 포함하여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모형과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스마트홈 서비스를 현재 사용자이거나 사용예정자인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중 분석 가능한 436명의 응답결과에 대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신뢰성, 상황인식성, 보안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재접속성은 지각된 용이성에만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용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주관적 규범 모두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변수인 사용자 혁신성은 편재접속성과 지각된 유용성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과 지각된 용이성 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인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자보다 혁신성이 강한 사용자일수록 편재접속성이 스마트 홈 서비스의 유용성에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며, 또한 스마트 홈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높을 때 스마트 홈 서비스 서비스의 사용이 보다 용이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e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rvices. Based on the previous relevant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home service were found to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rvice, and four variables(ubiquitous c...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을 해 보았거나 향후 이용 예정인 잠재적 이용자들이 향후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두어져 있다. 이를 위해 앞절에서 고찰한 관련 이론들을 기반으로 하여 [Fig.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변수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세부가설 중 신뢰성, 상황인식성, 보안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 분석하는 것이며, 스마트 홈 서비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이론적으로 도출하여 각 변수들이 사용자들의 실제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시장 확대를 모색하는 스마트 홈 플랫폼, 기기 개발 공급자들이 잠재적 수요자들의 주요 요구사항들을 파악하여, 스마트 홈 서비스의 보급·확산 전략 설정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성공적인 스마트 홈 시장 진입 및 사업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자에게 스마트 홈 사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서비스 콘텐츠 개발과 반영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1: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편재접속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신뢰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상황인식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보안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편재접속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신뢰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상황인식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4: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중 보안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지각된 유용성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지각된 용이성은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주관적 규범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1: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편재접속성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H7-2: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신뢰성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H7-3: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상황인식성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H7-4: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보안성의 지각된 유용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H8-1: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편재접속성의 지각된 용이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H8-2: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신뢰성의 지각된 용이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H8-3: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상황인식성의 지각된 용이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H8-4: 이용자 특성의 혁신성에 따라 보안성의 지각된 용이성에 대한 영향력이 다를 것이다.
  • 가설7(H7)과 가설8(H8)은 조절효과에 대한 것으로, 스마트 홈 서비스 사용자의 혁신성이 서비스 특성과 지각된 용이성 및 유용성 간의 관계의 크기에 정의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가설이다.
  •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변수가 지각된 용이성 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설정한 가설2(H2)을 검증하였다. 세부가설 모두, 즉 편재접속성, 신뢰성, 상황인식성 및 보안성은 지각된 용이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스마트 홈 서비스 특성 변수가 지각된 유용성 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설정한 가설1(H1)을 검증하였다. 세부가설 중 H1-2부터 H1-4까지의 가설 즉, 신뢰성, 상황인식성 그리고 보안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스마트 홈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가설 3(H3)은 기각되었다. 용의성의 경로계수(표준화된 ß값)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shbein & Ajzen가 이성적 행동이론을 제안한 연구 내용은 어떻게 되는가?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Fig.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인행동은 그 행동을 수행하려는 개인의 행동의도에 의해서 결정되며, 행동의도는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행동과 관련된 주관적 규범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Fishbein & Ajzen, 1975). 주관적 규범은 개인이 중요하게 여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떤 문제에 있어서 개인이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아야 한다는 그들의 지각을 의미하며(Ajzen & Fishbein, 1975; Venkatesh & Davis, 2000), 사회적 영향 또는 사회적 압력으로 표현되기도 한다(Yoh, 1999; Park, J.
현대사회는 무슨 시대인가?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서 정보통신 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모든 사물들이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연결되어 소통하는 사회로 바뀌어 가고 있다. 즉 사람과 사물이 서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의 보급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Lee at al.
스마트 홈 서비스는 어떤 서비스인가? 즉,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 홈을 비롯한 스마트카, 스마트 헬스케어 등의 스마트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중에서도 스마트 홈 서비스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서비스이며, 그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다. 스마트 홈 서비스는 우리 생활을 윤택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아직은 모바일 앱을 통해 기기를 조작하는 등의 초기 상용 단계에 머물러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garwal, R., & Karahanna, E.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665-694. 

  2. Agarwal, R., & Prasad, J. (1998).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ts of user perceptions in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22(1), 15-29. 

  3. Balta-Ozkan, N., Davidson, R., Bicket, M., & Whitmarsh, L. (2013). Social barriers to the adoption of smart homes. Energy Policy, 63, 363-374. 

  4. Barclay, Donald, Christopher Higgins, & Ronald Thompson, (1995).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s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2.2, pp. 285-309. 

  5. Chin, W. W., & Todd, P. A. (1995). On the use, usefulness, and ease of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IS research: a note of caution. MIS quarterly, 237-246. 

  6. Choi, Y. N., (2015), Analysis and Factors of Smart Healthe Care Service on Acceptances and Differences by User's Type. 

  7.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319-340. 

  8. Delone, W. H., & McLean, E. R. (2003).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4), 9-30. 

  9. Duxbury, L. E., & Higgins, C. A. (1991).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1), 60. 

  10. Falk, R. F., & Miller, N. B. (1992). A primer for soft modeling. University of Akron Press. 

  11. Fishbein, M., & Ajzen, I. (1977).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12. Fornell, C., & Larcker, D. F.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13. Gartner, G. S. W. P. C. (2017). Services Market to Grow 18 Percent in 2017. 

  14.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15. Jung, D. W. & Ann, H. J., (2015).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Docent Mobile App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use.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1), pp. 329-341. 

  16. Jung, J. W., (2018).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Factors Affectingof Smart Home IoT Services.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17. Karahanna, E., Straub, D. W., & Chervany, N. L. (1999).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 MIS quarterly, 183-213. 

  18. Kim, H. S., (2011). A Study on Influencing of the Impact of Factors on the IPTV Interactive Service Adoption to Re-Use Intention : Focused on IPTV Service Quality,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n Information Media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ersity. 

  19. Kim, H. S. & Kim, H. C. & Ji, Y. G., (2015). User Requirement Elicitation for U-City Residential Environment : Concentrated on Smart Home Servic.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20(1) pp. 167-182, 

  20. Kim, J. D., (2015). The Effect of Art Museum Visitation Experience on Re-visit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Smart Device Application Programs: Focusing on Participatory Visitation Experience. The Graduated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1. Kim, K. H., (201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witching Intention of PublicCertificate Storage - Focused on Smart Certificate(USIM)-,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22. Kim, S. J., (2014).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Mobile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1). pp. 85-105. 

  23. Kim. B. R., (2019). A Study on the Use Intention of Smart-home Service Based on the UTAUT Model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Natives.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4. Kim. G. S. & Jeon. H. J. & Shin. J. W., (2010). Consumers' Smart Grid Acceptance Model: St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9(2). pp. 101-128. 

  25. Kim. N, H. & Kim, B, S & Seo, J. H. & Kim, J. K., (2008). A Preferencee Analysis of IT Components for Mobile Banking Service. Ji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7(1), PP89-101. 

  26. Ko, Y. K. & Kim, K. H., (2011).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ser's Intention of Reusing Mobile App-based Tourism Cont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12), p. 844-855. 

  27. Koh, G, D., (2014).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arch & Purchase Intent: Integrated Model based on TPB and TAM. Graduate School of Tourism & Hospitality Kyonggi University. 

  28. Koo, C. & Y. Wati, (2010),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Mobile Banking Service: An Empirical Test of Indonesia Case, Journal of Universal Computer Science, 16(13), pp. 1801-1824. 

  29. Lee, J. C., (2018). A study on Influence of Smart Home Characteristics on Intension to Use Based on VAM, TAM Integrated Model. The Graduate School Hansung University. 

  30. Lee, M. H & HAN, K. S & Jang J. W & KIM, S. Y., (2019), A Study on the Intention of Using IoT based Smart Home Service ?Focusing on fine dust detection Solution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1), pp. 135-144. 

  31. Lee, S. K., (2005).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Technology Adop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7(2), pp. 61-84. 

  32. Moore, G.C. and Benbasat.I, (199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re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on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 pp. 192-222. 

  33. Oh, J., (2011). A Study on Purchasing Intention of Application using Theory of Reasoned Action, 18(4), pp. 141-163,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34. Park, J. & H. Joo, (2009). Effect That Hotel Customer's Behavior Beliefs and Subjective Norm get in Attitude and Visit Intention : Laying Stress on Planned Behavior Theory. 21(4), pp. 509-524,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5. Parveen, F., & Sulaiman, A. (2008). Technology complexity, personal innovativeness and intention to use wireless internet using mobile devices in Malaysia. International Review of Business Research Papers, 4(5), 1-10. 

  36. Patnayakuni, R., Rai, A., & Seth, N., (2006).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Systems, 23(1), pp. 13-49. 

  37. Pitt, L. F. and R. T. W. atson, (1995), Service Quality: A M easure of Inform ation Systems Effectiveness. MIS Quarterly, 19(2), pp. 173-187, 

  38. Rai, A., R. Patnayakuni, N. Patnayakuni, (2006).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MIS Quart. 30(2) pp. 225-246. 

  39. Ricker, C., Janse, M. D., Portolan, N. & Streitz, N., (2005). User requirements for intelligent home environments : A scenario-driven approach and empirical cross-cultural study., pp. 111-116. 2005. 

  40. Rogers, E. 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modifications of a model for telecommunications. In Die diffusion von innovationen in der telekommunikation (pp. 25-38). Springer, Berlin, Heidelberg. 

  41. Seddon, P. B., (1997), A Respec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8, No. 3, pp. 240-253. 

  42. Shim. D. Y., (2018). The Effect of OTT Service's Quality Characteristics, Users'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Loyalty,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43. Shin, H., (2010).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 and Intention to Use Mobile Internet.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3), pp. 209-236. 

  44. Shin, M. S., (2016). Effects of expectations for IoT u-health based home care service characteristics in service trust, servi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future use.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45. Srite, M. & Karahanna, E., (2006), The role of espoused national cultural values in technology acceptance. MIS quarterly, 30(3), pp. 679-704. 

  46. Taylor, S. & Todd, P. A., (1995),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6(2), pp. 144-176. 

  47. Tenenhaus, M., Vinzi, V. E., Chatelin, Y. M. & Lauro, C., (2005). PLS path modeling.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48(1), pp. 159-205. 

  48. Venkatesh, V. & Davis, F. D., (1996), A model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ease of use: Development and test. Decision Sciences, 27(3), pp. 451-481. 

  49. Venkatesh, V. and F. D. Davis,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pp. 186-204. 

  50. Venkatesh, V., Morris, M., Davis, G. & Davis, F.,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pp. 447. 

  51. Werts, C. E., Linn, R. L. & Jreskog, K. G. (1974). Intraclass reliability estimates: testing structural assumption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4(1), pp. 25-33. 

  52. Yoh, E., (1999). Consumer Adoption of the internet for apparel shopping, Ph. D.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53. Yu, W. Y., (2018). A Study on Access Control Policy Management between IoT Devices for Smart Home Security.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