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 성별에 따른 상품 유형별 관심도 차이, 내재적 혁신성과의 상관관계 및 상품 지각 구조 분석
Difference of Product Interest and Relation to Innate Innovativeness, and Perceptive Construct of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s' Gender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9 no.4, 2015년, pp.505 - 516  

정인희 (금오공과대학교 화학소재융합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 of product interest and its relation to consumers' innate innovativeness according to gender as well as compared the perceptive construct of products between male and female consumers. A survey involvi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in the Daegu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소비 상품은 성별에 따라 전반적 관심도도 다르고, 성별에 따라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가 관심을 보이는 상품에도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경험적 인지에 더해 실증적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향후 특정 상품 혹은 특정 분야별로 남녀 혁신성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근거를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정립해나가는 단초로서 그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 Englis and Phillips(2013)에 의하면 특정 영역 혁신성은 특정 범위의 소비자 행동에만 영향을 미칠 뿐이므로 여러 측면의 소비 행동을 연구할 때에는 내재적 혁신성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따라서 패션 상품으로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상품을 연구하여 각각의 상품에 대한 관심도와 혁신성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에서는 여러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의 내재적 혁신성 변수를 연구에 도입하였다.
  • 따라서 구체적으로 의복 제조 및 유통 기업의 입장에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 경우, 영화관이 위치한 상권에서는 유니섹스 의류 상품 판매의 가능성이 높을 것이나 여성 전용 의류의 경우에는 화장품이나 피부 관리 숍과의 연계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가방 등을 겸비한 구색 관리와 이들 품목으로의 브랜드 확장 등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본 연구 결과로부터 찾을 수 있다.
  • (2007)의 연구를 보면 성별에 따른 관심 품목의 차이는 어렸을 때부터 나타나는 본질적인 차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다양한 상품에서의 성별 차이를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마케터의 입장에서 남녀 소비자의 차이를 이해하고 상품 유형에 따라 남녀 소비자에게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상품 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상품별 관심도에서 성별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상품 유형별 관심도와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의 관계 및 소비자의 상품 지각 구조 차이 등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동일한 숫자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45개 소비 상품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현 시점에 관심을 갖고 실제 구매하고 있는 여러 상품 유형에 걸쳐 소비자의 관심도를 알아보고 상품별 관심도에서의 성별 차이를 규명하며, 상품 유형별 관심도와 소비자 혁신성의 관계 및 소비자의 상품 지각 구조 차이를 성별로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성별 차이에 기초한 특정 분야 혁신성 연구를 위한 단초로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상품 영역에서 성별 차이를 가장 우선시 확인해야하는 이유는? 성별은 연령과 함께 패션 상품 기획이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시장 세분화 과정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변수인 만큼(Chung, 2011) 확장된 패션 상품 영역에 대한 소비자 연구에서도 성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은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대두되고 있는 신경 마케팅 분야의 연구에서는 뇌의 신경해부학적, 신경생물학적 구조 및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의 차이로 인한 성별의 차이에 주목한다(Häusel, 2008/2008).
소비자 혁신성이 높아지는 경향은 어느 집단에서 많이 나타나나? 패션은 끊임없이 변화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며 새로운 패션 상품의 사회적 수용과 확산에 있어서는 다른 사람들보다 앞서 새로운 패션 상품을 채택하는 선도적 소비자가 존재해야 하므로, 소비자의 혁신적 특성은 패션 마케팅 연구의 가장 중요한 변수 중의 하나로 다루어져왔다. 축적된 연구 결과들은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나이가 젊을수록, 사회적 이동성이 크고 사회 활동이 많을수록, 위험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고 의견 선도력을 가질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Im et al., 2003).
성별 차이에 주목한 일부 연구의 예시와 결과는? 예컨대 커피전문점의 선택 속성에 대한 연구에서 Jung (2013)은 여성이 남성보다 부가 서비스와 커피의 품질을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였다. 한국 전통 음청류에 대한 선호도 연구에서는 식혜의 경우 남녀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선호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수정과의 경우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Park, 2012). 한편, Park(2012)은 프로야구 상품의 가치, 가격, 종류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성인 남녀의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lumer, H. (1969). Fashion: From class differentiation to collective selection. In G. B. Sproles (Ed.), Perspectives of fashion (pp. 49-57). Minneapolis, MN: Burgess Publishing Company. 

  2. Chung, I. H. (2011). Fashion marketing. Seoul: Sigongart. 

  3. Clark, R. A., & Goldsmith, R. E. (2006). Interpersonal influence and consumer innova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0(1), 34-43. 

  4. Cotte, J., & Wood, S. (2004). Families and innovative consumer behavior: A triadic analysis of sibling and parental influ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1(1), 78-86. 

  5. Englis, B. G., & Phillips, D. M. (2013). Does innovativeness drive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 Psychology & Marketing, 30(2), 160-172. 

  6. Gallagher, W. (2012). New: understanding our need for novelty and change. (H. E. Lee, Trans.). Seoul: Today's book.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7. Hausel, H-G. (2008). Brain view: Warum Kunden kaufen. (J. A. Bae, Trans.). Seoul: Heureum. (Original work published 2008) 

  8. Hsu, C. C. (2012).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in young people's blog interface preferences and designs. Displays, 33(3), 119-128. 

  9. Im, S., Bayus, B. L., & Mason, C. H. (2003). An empirical study of innate consumer innovativenes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w-product adoption behavior.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1(1), 61-73. 

  10. Im, S., Mason, C. H., & Houton, M. B. (2007). Does innate consumer innovativeness relate to new product/service ado-ption behavior? The intervening role of social learning via vicarious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5(1), 63-75. 

  11. Jo, H. J. (2013). Why they buy? Paju: A Tempo. 

  12. Jo, P. G., & Koo, E. Y. (1996). The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novativeness, and fashion opinion leadership.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4(5), 223-234. 

  13. Jones, R. M., Taylor, D. E., Dick, A. J., Singh, A., & Cook, J. L. (2007). Bedroom design and decoration: Gender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activity. Adolescence, 42(167), 539-553. 

  14. Jun, D. G., & Rhee, E. Y. (2008). The Effects of adult women's innate innovativeness on involvement and fashion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739-1749. 

  15. Jung, J. Y. (2013). The effect of coffee shop selection attributes on revisit inten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brand trust.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1), 289-304. 

  16. Kang, T. C. (2013).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intention of mobile shopping.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17(4), 5-33. 

  17. Kaushik, A. K., & Rahman, Z. (2014). Perspectives and dimensions of consumer innovativeness: A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agenda.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26(3), 239-263. 

  18. Kim, H. N. (2000). Consumer segmentation of clothing products by fashion conformity/innovativeness and their reference grou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Kim, K. S., & Park, K. S. (2012). Investigation into the preference and demand for functional drinks (Korean traditional drink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8(4), 413-421. 

  20. Kim, S. H. (2005).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3), 33-46. 

  21. Midgley, D. F., & Dowling, G. 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4), 229-242. 

  22. Park, S. H. (2012). A study of current awareness and preference o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eam's promotion for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3), 1238-1245. 

  23. Park, Y. S., & Chae, H. N. (2011).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customer innovativeness: Focused on 'sensation seeking tendency' and 'need for intelligenc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18(3), 55-81. 

  24. Reinhardt, R., & Gurtner, S. (2015). Differnces between early adopters of disruptive and sustaining innova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8(1), 137-145. 

  25. Rhee, E. Y. (1997). Fashion marketing. Seoul: Kyomun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