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광고 유형과 패션브랜드 확장, 소비자 혁신성이 광고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advertising credibility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6 no.5, 2018년, pp.714 - 726  

김선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ype of advertisement,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credibility of fashion advertisements. The factorial design is constructed as a 2(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general vs. cross-media) ${\times}2$(consumer innovativ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다매체 시대에 패션 분야에서 브랜드 확장과 광고유형을 함께 진행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패션광고 유형과 브랜드 확장을 함께 고려한 연구를 통해 의류학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고, 소비자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광고 유형과 브랜드 확장 유형, 소비자 혁신성에 따라 광고신뢰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광고 유형에 따라 일반 광고일 때보다 크로스미디어 광고일 때 광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 호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패션광고 유형에 따라 소비자 혁신성과 패션브랜드 확장 유형이 광고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세 변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패션광고 유형: 일반 광고 vs 크로스미디어 광고; 집단 내 변인) × 2(소비자 혁신성: 고 vs 저; 집단 간 변인) × 2(패션브랜드 확장 유형: 유사 확장 vs 비유사 확장; 집단 내 변인) 3원 혼합 설계로 구성하였고, 이에 대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혁신성 정도에 따라 피험자를 혁신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세분화하기 위하여 소비자 혁신성의 5문항의 총합을 구하였다. 이 때 중위수인 18을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20명을 제외하고, 18을 초과하는 49.
  • 본 연구에서는 크로스미디어 광고 효과를 밝힘으로써 패션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는 브랜드 확장 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광고를 통해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소비자의 혁신 성향에 따른 패션광고 유형의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기존 매체와 달리 인터넷, 모바일로 결합된 크로스미디어 광고의 효과가 소비자 개인 성향에 따라 차별적 영향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다양한 개인변수의 탐색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브랜드 확장 제품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20~30대 남성과 여성 패션잡지 12개 GQ, Leon, Arena, Esquire, L’officiel hommes, Luel, Vogue, Elle, W, Bazaar, Instyle, Allure의 최근 3개월간 광고 품목 중 우선 패션 전공자 12명에게 제시한 후, FGI 인터뷰를 실시하여 20~30대가 구매하기 용이한 제품으로 제한한 결과, 언더웨어, 손목시계, 향수, 스탠드 조명, 자전거, 헤드폰으로 총 6개의 품목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서울 거주 20대 남녀 46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상 의류 브랜드와의 유사성 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가장 유사한 확장제품으로는 향수(M=3.
  • 즉, 최근 패션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다방면으로 브랜드 확장이 일어나고, 이를 위한 효율적인 광고 전략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의류학 분야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므로, 크로스미디어 광고 효과를 소비자 혁신성과 브랜드 확장 유형에 따라 함께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광고 유형, 브랜드 확장 유형, 소비자 혁신성에 따라 광고신뢰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세 변수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패션 기업들이 표적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브랜드를 유사 또는 비유사 상품군으로 확장할 때 크로스미디어 광고 전략에 따른 소비자의 평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판촉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1. 패션광고 유형, 패션브랜드 확장 유형, 소비자 혁신성에 따라 광고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문제 2. 패션광고 유형이 광고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패션브랜드 확장 유형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크로스미디어 광고는 어떠한 미디어 전략인가? 사전적으로 매체 간 교차광고를 말하는 크로스미디어 광고는 하나의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유도하는 광고 유형이다(Yi & Yoo, 2010). 이는 대중매체를 통해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보다 다양한 매체가 가진 강점을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최적의 조합을 도출하여 시너지를 추구하는 미디어 전략이다(Lee, 2010).
매체 간 교차광고는 무엇을 말하는가? 소비자가 속한 미디어 환경이 변하면서 기존매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비자와 상호작용을 추구하기 위해 크로스미디어 전략은 새로운 형식으로 진화하고 있다(Yoo & Yi, 2013). 사전적으로 매체 간 교차광고를 말하는 크로스미디어 광고는 하나의 매체에서 다른 매체로 유도하는 광고 유형이다(Yi & Yoo, 2010). 이는 대중매체를 통해 소비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보다 다양한 매체가 가진 강점을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최적의 조합을 도출하여 시너지를 추구하는 미디어 전략이다(Lee, 2010).
실무에서는 각 매체의 특성을 고려해 크로스미디어 전략을 활용한 사례를 자주 접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크로스미디어 광고는 다양한 매체를 결합함으로써 소비자의 주의 환기 및 기억상기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Petersen, 2006), 실무에서는 각 매체의 특성을 고려해 크로스미디어 전략을 활용한 사례를 자주 접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미디어 광고는 소비자와의 복수적인 접점을 효과적으로 결합해 매체 간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광고주에게는 저비용에 고효율을 얻을 수 있어 기존 매체와는 차이를 갖는다(Yoo & Yi,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aker, D. (1990). Brand extensions: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MIT Sloan Management Review, 31(4), 47-56. 

  2. Aaker, D. A., & Keller, K. L. (1990).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54(1), 27-41. doi:10.2307/1252171 

  3. Ahn, K. H., Hwang, S. J., & Jung, C. J. (2018). Fashion marketing (4th ed.). Seoul: Soohaksa. 

  4. Broderick, A. J., & Mueller, R. D. (1999). A theoretical and empirical exegesis of the consumer involvement construct: The psychology of the food shopper.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7(4), 97-108. doi:10.1080/10696679.1999.11501855 

  5. Chang, Y., & Thorson, E. (2004). Television and web advertising synergies. Journal of Advertising, 33(2), 75-84. doi:10.1080/00913367.2004.10639161 

  6. Cho, J. S., Roh, J. Y., & Hong, H. H. (2018). Examining the synergy effect of brand messages via multiple media: Focusing on the effect of magazine-online combination among female consumers in 20s and 30s. Advertising Research, 116, 38-83. doi:10.16914/ar.2018.116.38 

  7. Choi, S. K. (2016). The effect of cross-media advertisement types on consumer response: Focusing on media engag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8. Jo, S.-N., & Han, K.-H. (2016). The effect and its potential determinants of cross-media advertising between online and offline med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105-114. doi:10.14400/JDC.2016.14.3.105 

  9. Jun, D. G., & Rhee, E. Y. (2008). The effects of adult women's innate innovativeness on involvement and fashion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739-1749. 

  10. Jung, H. S., & Shin, J. Y. (2012). Investigating the roles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advertising respons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6), 133-160. 

  11.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doi:10.2307/1252054 

  12. Kim, J. H., & Yu, E.-A. (2012). Effects of advertising combining TV and QR code: Need for cognition, inovativeness and perceived interactivity. Advertising Research, 94, 117-147. 

  13. Kim, W.-H., & Shin, I.-G. (2010). A practical review on cross-media advertising.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3(2), 72-92. 

  14. Kim, Y.-C., Joo, Y.-H., & Yoon, S.-H. (2005). A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adoption intentions of innovative services in ICT market: Focused on convergence services.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12(1), 25-54. 

  15. Korea CM Strategy Institute. (2011). CM value annual report. Seoul: Communicationbooks. 

  16. Kwak, J. H. (2011). The influences of dominant brand, quality variation among brands and self-construals on consumer attitude about fashion brand exten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17. Leavitt, C., & Walton, J. (1975). Development of a scale for innovative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1), 545-554. 

  18. Lee, C.-M., & Han, K.-S. (2010). Persuasion effect according to outdoor advertising media pattern and personal innovation. Journal of OOH Advertising Research, 7(3), 29-55. 

  19. Lee, E. S. (2011).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tween media repertoire and cross media advertising on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ad and brand.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3(3), 361-386. 

  20. Lee, Y.-H. (2010). Mass-media types and their effects on perception of a local festival's brand equity value: Comparison among TV, internet, and cross-media.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4(2), 259-276. 

  21.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48-65. doi:10.2307/1251413 

  22. Na, C. H., Kim, J. S., & Park, S. Y. (2018). Brand extension: Impact of creating shared value. Korea Marketing Review, 33(1), 45-63. doi:10.15830/kmr.2018.33.1.45 

  23. Oakey, R. P. (2013). Open innovation and its relevance to industrial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case of high-technology small firms.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31(3), 319-336. doi:10.1177/0266242612458942 

  24. Oh, S.-S., Chang, D. R., Kim, N,-Y., & Kim, J. B. (2007). An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ross media reps between advertisers and advertising agencies.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5), 2357-2382. 

  25. Park, S.-B., & Chung, N. H. (2013). The effect of online game usage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 desire on participating inten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reference group influen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1), 529-541. 

  26. Park, S.-B., & Kim, I.-S. (2008). A study on the cross media marketing of on-line advertisement.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0, 317-326. 

  27. Park, S. H., & Chung, K. H. (201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for smartphone purchase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price sensitivity.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9(4), 575-595. doi:10.18032/kaaba.2016.29.4.575 

  28. Petersen, A. B. (2006). Internet and cross media productions: Case studies in two major danish media organizations. Australian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 Society, 4(2), 94-107. 

  29. Rhee, Y. J. (2008). Effect of attitude towards parent brand on extended fashion product in fashion brand extens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4), 506-514. 

  30. Rhee, Y.-J. (2009). Difference in extended products evaluation by consumer innovativeness and similarity of product category for apparel brand ex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0), 1622-1632. doi:10.5850/JKSCT.2009.33.10.1622 

  31. Rogers, E. M. (1962). Diffusion of innovations. New York: The Free Press. 

  32. Shin, Z. A., & Lee, S.-J. (2010). Effects of advertising strategy on consumer evaluations in brand extensions: Focusing on perceived fit, types of advertising and brand attachme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2(1), 256-285. 

  33. Sung, D. G. (2012).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innovation and brand choice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34. Volckner, F., & Sattler, H. (2006). Drivers of brand extension success. Journal of Marketing, 70(2), 18-34. doi:10.1509/jmkg.70.2.18 

  35. Voorveld, H. A. M., Neijens, P. C., & Smit, E. G. (2011). Opening the black box: Understanding cross-media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17(2), 69-85. doi:10.1080/13527260903160460 

  36. Yi, Y. J., & Yoo, J. M. (2010). When TV advertisements meet internet search boxes: The effects of cross-media advertisements. Korea Marketing Review, 25(1), 1-24. 

  37. Yoo, J. M., & Yi, Y. J. (2013). Spillover effects of cross-media advertisements on the advertised brand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 alliance: Focusing on the combination of TV advertisements with internet search boxe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4(1), 85-105. 

  38. Yoon, K., Kim, S. A., & Cho, J.-S. (2017). Mobile advertising format's effect on CT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duct characteristics and product involveme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8(1), 7-26. doi:10.14377/KJA.2017.1.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