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ED 광 조건에 따른 메밀 새싹의 생육 및 기능성 물질 분석
Effects of LED Light Conditions on Growth and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in Buckwheat Sprou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0 no.3, 2015년, pp.388 - 393  

전아영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김기현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권수정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조성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우선희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밀 새싹 채소 재배 시 광 조건에 따른 생육 차이는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의 품종에 관계없이 암 조건, 적색광, 청색광, 혼합광(청색 + 적색 + 백색), 자연광 순으로 나타났다. 루틴의 함량 차이는 메밀 새싹에서 루틴 함량차이는 일반 메밀 새싹 보다 쓴 메밀 새싹에서 더 높았다.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 모두에서 자연광, 혼합광(청색 + 적색 + 백색), 청색광, 적색광, 암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자엽과 배축의 경우에는 자엽에서 배축보다 6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퀘르세틴 함량은 일반 메밀 새싹에 비해 쓴 메밀 새싹의 함량이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광 조건에 따른 함량 차이는 자연광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 혼합광, 적색광, 청색광 순이고 암 조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엽과 배축의 경우에는 자엽에서 배축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메밀 새싹 채소의 클로로겐산은 일반 메밀 새싹과 쓴 메밀 새싹의 함량 차이가 비교적 작았다. 광 조건에 따른 차이는 자연광에서가장 높았고 LED광에서는 혼합광, 청색광, 적색광 순으고 암 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루틴과 퀘르세틴과는 다르게 클로로겐산의 경우에는 배축에서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ckwheat sprouts are a vegetable; a functional food should provide health benefit and enhance performance as high nutritionally important substances. Buckwheat noodles are the major buckwheat food in Japa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Buckwheat as preventive medicine has undergone a great adv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메밀새싹은 생리적, 기능적인 측면에서 종실 그 자체나 다른 발아식품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고기능성 새싹채소 재배를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실험 에서는 메밀 새싹을 재배하는데 있어서 LED 광원인 청색광, 적색광, 혼합광(적색+청색+백색)과 자연광, 암 조건과 같은 서로 다른 광질을 처리하였을 때 메밀 새싹의 루틴, 퀘르세틴, 클로로겐산과 대사산물의 함량 차이와 적정한 광조건을 구명하고 고기능성 새싹채소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LED 광질이 메밀 종자의 발아, 새싹의 생장및 기능성 물질의 함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밀은 무엇인가? 메밀(Fagopyrum spp.)은 마디풀과의 메밀 속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재배종에는 보통 메밀(Fagopyrum esculentum) 과 쓴메밀(F. tataricum) 두 종이 주류를 이루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의 대부분의 아시아지역과 유럽,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는 주로 일반메밀(단메밀)이 재배되어 왔다. 쓴 메밀은 티벳이나 중국의 산악지대, 인도, 부탄과 네팔 등지의 척박한 토양 및 냉량한 조건의 산간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Choi, 1992; Kreft et al.
쓴 메밀은 어느 지역에서 재배되는가? tataricum) 두 종이 주류를 이루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의 대부분의 아시아지역과 유럽,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는 주로 일반메밀(단메밀)이 재배되어 왔다. 쓴 메밀은 티벳이나 중국의 산악지대, 인도, 부탄과 네팔 등지의 척박한 토양 및 냉량한 조건의 산간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Choi, 1992; Kreft et al., 2003).
메밀 새싹은 메밀 종실에 비해 폴리페놀 물질인 루틴과 쿼르세틴의 함량이 각각 몇 배 증가하는가? 메밀 새싹은 종자의 싹을 틔워서 섭취하는 형태로서 종실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83%이상으로 식품학적인 가치가 크며 유리아미노산함량은 4배이상 높고 Lysine, γ-amino-n-butyric acid (GABA) 및 황함유 아미노산인 Cystine, Methionine과 Cystahionine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고 하였다. 이밖에도 폴리페놀물질인 루틴과 쿼르세틴의 함량은 종실에 비해 각각 35배와 65배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비타민 C의 함량 또한 발아가 시작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메밀새싹은 생리적, 기능적인 측면에서 종실그 자체나 다른 발아식품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고기능성 새싹채소 재배를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 J. Y., D. M. Son, J. M. Kim, B. S. Seo, S. Y. Yang, B. W. Kim, and B. G. Heo. 2008. Effects of Various LEDs on the Seed Germination, Growth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ape (Brassica napus) Sprout Vegetable, Korean J. Plant Res. 21(4) : 304-309. 

  2. Choi, B. H. 1992. Status of buckwheat genetic resources in East Asia 1991. Korean J. Breed, 24 : 293-301. 

  3. Clifford, M. N. 2000. Chlorogenic acid and other cinnamatesnature, occurrence, dietary burden, absorption and metabolism. J. Sci. Food Agric. 80 : 1033-1043. 

  4. Ikeda, S, T. Yamashita, T. Murakami. 1995. Minerals in buckwheat. In Current Advances in Buckwheat Researcheditied by Matano T, Ujihara A. pp. 789-792. Shinshu University Press, Asahi Matsumoto City. 

  5. Jin, E. Y., Y. S. Park, J. K. Jang, M. S. Chung, H. Park, K. S. Shim, and Y. J. Choi. 2009. Extraction of quercetin and its glucosides from onion edible part using solvent extractoin and various extraction assisting methods. Food Eng Prog 13 : 147-153. 

  6. Kreft, I., K. J. Chang, Y. S. Choi, and C. H. Park. 2003. Ethnobotany of buckwheat. Jinsol Publishing Co. Seoul. 

  7. Lee, M. K., S. H. Park, and S. J. Kim. 2011. A time-course study of flavonoids in buckwheats (Fagopyrum species).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8 : 87-94. 

  8. Lee, J. G., S. S. Oh, S. H. Cha, Y. A. Jang, S. Y. Kim, Y. C. Um, and S. R. Cheong. 2010. Effects of Red/Blue Light Ratio and Short-term Light Quality Conversion on Growth and Anthocyanin Contents of Baby Leaf Lettuc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4) : 351-359. 

  9. Margna, U. E. Margna. 1978. Differential biosynthesis of buckwheat flavonoids from endogenous substrates. Biochem. Physiol. Pflanzen 173 : 347-354. 

  10. Mizuno, M., H. Tsuchida, N. Kozukue, and S. Mizuno. 1992. Rapid quantitative analysis and distribution of free quercetin in vegetables and fruit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9 : 88. 

  11. Park, B. J., J. I. Park, K. J. Chang, and C. H. Park. 2005. Comparison in Rutin Content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Korean J. Plant Res. 18(2) : 246-250. 

  12. Pomeranz, Y. 1983. Buckwheat: structur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CRC Crit. Rev. Food Sci. Nutr. 19 : 213-258. 

  13. Rodriguez de Sotillo, D., M. Hadley, and C. Wolf-hall. 1998. Potato peel extract anonmutagenic antioxidant with potential antimicrobial activity. J. Food Sci. 63 : 907-910. 

  14. Sharma, R. R., A. Demirci, L. R. Beuchat, and W. F. Pett. 2002.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inoculated alfalfa seeds with ozonated water and heat treatment. J. Food Prot. 65 : 447-451. 

  15. Watanabe, M., M. Ito. 2002.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ids composition of the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buckwheat during growth period.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9 : 119-125. 

  16. Yoon, Y. H., J. G. Lee, J. C. Jeong, D. C. Jang, and C. S. Park. 2009.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s on growth and antioxidant contents of tatary buckwheat sprout, The Proceeding of the ISBS, Korea 5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