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거리나무 2년생 용기묘의 피음수준별 묘목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ling Quality of Daphniphyllum macropodum 2-year-old Container Seedlings by Shading Level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3, 2015년, pp.390 - 396  

송기선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최규성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 ,  성환인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산림조경학과) ,  전권석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자원연구소) ,  안경진 (건국대학교 녹지환경계획학과) ,  김종진 (건국대학교 녹지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음성이 있는 수종으로 알려진 난대 상록활엽수종인 굴거리나무 2년생 용기묘(1-1묘)를 대상으로, 피음수준이 묘목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음은 전광과 전광의 35%, 55%, 75%, 95% 피음으로 조절하여 처리하였다. 피음수준에 따른 생장조사 결과, 간장과 근원경은 모두 75% 피음에서 각각 45.1 cm와 8.22 mm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은 35%와 55% 피음 순으로 각각 43.2 cm와 8.05 mm, 42.5 cm와 7.98 mm로 컸다. 잎, 줄기, 뿌리의 부위별 건물생산량과 전체 건물생산량 모두 75% 피음에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55% 피음에서 잎, 줄기 및 전체 건물생산량이 높았으며, 뿌리의 경우는 35% 피음에서 높았다. H/D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간장과 근원경생장을 보인 35~75% 피음처리구에서 5.29~5.35로 조사되었다. T/R율은 35% 피음에서 1.17로 가장 낮았다. LWR은 95% 피음에서 0.41로, SWR은 75%와 95% 피음에서 0.24로, RWR은 전광과 35% 피음에서 0.46으로 높았으며, QI는 75% 피음에서 3.74로 가장 높았다.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굴거리나무는 75% 피음에서 생육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losely examine quality index by shading level of 2-year-old (1-1 seedling) container seedling of Daphniphyllum macropodum which is known as the species of having shade tolerance that is evergreen broad leaved tree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The shading t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묘목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난대 상록활엽수종인 굴거리나무를 보다 고품질의 용기묘로 생산하고자 할 때, 내음성이 있는 수종으로 알려진 굴거리나무 2년생(1-1묘) 용기묘의 생육 시 적정한 피음수준을 구명하여 이들 결과가 굴거리나무의 생장과 묘목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묘목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난대 상록활엽수종인 굴거리나무를 보다 고품질의 용기묘로 생산하기 위하여 피음수준에 따른 2년생 용기묘의 묘목품질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aphniphyllum 속 꽃의 특징은 무엇인가? Daphniphyllum 속은 동아시아에서 25종이 자라고, 높이 15 m, 지름 40cm에 달하는 것도 있으며, 잎은 단엽으로 대생하고 톱니와 탁엽이 있다. 꽃은 이가화이지만 간혹 일가화로 피고 총상화서로 달린다. 우리나라에서는 굴거리나무와 좀굴거리나무가 자라고, 잎은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일 년 내내 때를 가리지 않고 채취할 수 있으며, 채취한 잎은 햇볕에 말려 사용하기도 한다(Chang, 2003; Lee, 1999; Shin etal.
굴거리나무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 중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는 내음성이 있는 상록활엽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 북으로는 내장산과 백양산까지 분포하며 다른 난대 상록활엽수종에비교하여 생육지역이 넓어 향후 분포지역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Kim, 2010; Shin et al., 2006).
Daphniphyllum 속은 동아시아에서 몇 종이 자라는가? , 2006). Daphniphyllum 속은 동아시아에서 25종이 자라고, 높이 15 m, 지름 40cm에 달하는 것도 있으며, 잎은 단엽으로 대생하고 톱니와 탁엽이 있다. 꽃은 이가화이지만 간혹 일가화로 피고 총상화서로 달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yala, J., Dianda, M., Wilson, J., Quedraogo, S.J., and Sanon, K. 2009. Predicting field performance of five irrigated tree species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in Burkina Faso, West Africa. New Forests. 38: 309-322. 

  2. Chang, J.K. 2003. Wild grass. pp. 839. 

  3. Cho, M.S., Kwon, K.W., Kim, G.N., and Woo, S.Y. 2008.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performances of the five deciduous hardwood specie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49-157. 

  4. Choi, J.H., Kwon, K.W., and Chung, J.C. 2002. Effect of artificial shade treatment on the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several deciduous tree species. the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21(1): 65-75. 

  5. Choi, S.M., Shin, H.C., Lee, K.S., Bae, E.G., Choi, K.O., and Huh, K.Y. 2012. Effects of shading r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sis in four broad-leaved evergreen tre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5(2): 99-106. 

  6. Cornelissen, J.H.C. 1996. Seasonal and year to year variation in performance of Gordonia acuminata seedlings in different light environments. Canadian Journal of Botany 70: 2405-2414. 

  7. Deans, J.D., Mason, W.L., Cannell, M.G.R., Sharpe, A.L., and Sheppard, L.J. 1989. Growing regimes for bare-root stock of Sitka spruce, Douglas fir and Scots pine. 1. Morphology at the end of the nursery phase. Forestry 62: 53-60. 

  8. Dickson, A., Leaf, A.L., and Hosner, J.F. 1960. Quality appraisal of white spruce and white pine seedling stock in nurseries. Forestry Chronicle 36: 10-13. 

  9. Jeong, J.Y. 2009. Eco-physiological analysis of seedling depending on light environment in a group of Daphniphyllum macropodum in Naejang National Park. Mater Thesis. Wonkwang University. pp. 35. 

  10. Kim, J.J. 2010. Production plan of warm-temperate tree species by container seedling. Journal of the Forest Nurseryman Association of Korea 38: 27-38. 

  11. Kim, Y.H., Kim, J.S., and So, B.S. 2006. Performance analysis of direct seeding and afforestation with container seedling of warm-temperate tree species. Western Regional Office of the Korea Forest Service. pp. 173. 

  12. Kwon, Y.A., Kwon, W.T., and Boo, K.O. 2008. Future projec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set date and duration of natural seasons using SRES A1B data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1): 36-51. 

  13. Lee, S.W., Cho, M.S., and Chug, S.G. 2010.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ucalytus pellita and Acacia mangium containerized seed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irrigation treatment regimes. Proceeding of 2010 Meeting of Korean Forest Society 251-254. 

  14. Lee, T.B. 1999. Dendrology. Hyangmunsa. pp. 331. 

  15. Loach, K. 1970. Shade tolerance in tree seedlings. II. Growth analysis of plants raised under artificial shade. New Phytologist 69: 273-286. 

  16. Mattsson, A. 1996. Prediction field performance using seedling quality assessment. New Forests 13: 223-248. 

  17. Park, L.B., Cho, J.H., Chin, S.G., Park, G.H., and Choi, B.J. 1992. Basic studies on the seed propagation and pot plant cultivation of wild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0(2): 188-189. 

  18. Park, B.B., Byun, J.K., Kim, W.S., and Sung. J.H. 2010. Growth and tissue nutrient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Fraxinus mandshurica, Pinus koraiensis, and Abies holophylla seedlings fertilized with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at a nursery cultur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85-95. 

  19. Reich, P.B., Tjoelker, M.G., Walters, M.B. Vanderklein, D.W., and Buschena, C. 1998. Close association of RGR, leaf and root morphology, seed mass and shade tolerance in seedlings of nine boreal tree species grown in high and low light. Functional Ecology 12: 327-338. 

  20. Schlichting, C.D. 1986. The evolution of phenotypic plasticity in plan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7: 667-693. 

  21. Shin, H.C. 2009. Container nursery technology of warm temperate species. Proceeding of 2009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Container Nursery Research. pp. 45-51. 

  22. Shin, H.C., Park, N.C., Hwang, J.H., Choi, M.S., Cho, J.H., and Kim, C.S. 2006 Warm-temperate tr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218. 

  23. Song, K.S., Cha, Y.G., Choi, J.Y., and Kim, J.J. 2012.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1- and 2-year-old bare root and container seedling of Chamaecyparis obtus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2): 317-323. 

  24. Song, K.S., Jeon, K.S., Choi, K.S., Choi, J.Y., Sung H.I., and Kim, J.J. 2014. Growth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seedlings of warm-temperate landscape tree by shading and fertilization treatment: Research on seedling production of D. macropodum by container nursery for meteorological disasters. Journal of Climate Research 9(1): 65-76. 

  25. Strothmann, R.O. 1967. The influence of light and moisture on the growth of red pine seedlings in Minnesota. Forest Science 13(2): 182-191. 

  26. Sung, H.I. 2011. Effcets of shading and fertilizing treatment on qualities of 1-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Quercus myrsinaefolia. Ph. D.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13. 

  27. Sung, H.I., Song, K.S., Cha, Y.G., and Kim, J.J. 2011.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seedling quality of 1-year-old container seedlings of Quercus myrsinaefolia by shading and fertilizing treat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4): 598-608. 

  28. Thompson, B.E. 1985. Seedling morphological evaluation - what you can tell by looking. In : Proceedings, Evaluation seedling quality: principles, procedures, and predictive abilities of major tests. Durvea, M.L. (ed.). Forest Research Lab., Oregon State University, Corvallis. pp. 59-71. 

  29. Walters, M.B., Kruger, P.B., and Reich, P.B. 1993. Growth, biomass distribution and $CO_2$ exchange of northern hardwood seedlings in high and low light: relationships with successional status and shade tolerance. Oecologia 94: 7-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