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의 종류에 따른 생리적 치유효과 분석 - 고혈압과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Healing Effects by Forest Types - Focused on Hypertensive and Diabetic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5, 2015년, pp.1 - 12  

정나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안득수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숲의 종류에 따른 이용자의 생리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숲은 편백나무숲, 졸참나무숲, 소나무 숲으로 구분하고, 실험대상 집단은 고혈압 환자(64명), 당뇨병 환자(59명) 및 일반인(59명)으로 구분하여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뇌파, 심박 변이, 혈압, 맥박, 코티졸, 혈압 등을 지표로 선정하였다. 전체 피험자의 생리적 반응으로 숲의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분석한 결과, 졸참나무숲은 중추신경계,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측면에서 다른 숲에 비하여 높은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편백나무숲은 자율신경계를 제외한 지표에서, 소나무숲은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 일부 지표에서 스트레스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소나무숲은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다. 고혈압 환자는 효과의 정도 측면에서 소나무숲보다 편백나무숲과 졸참나무숲에서 체류할 때 높은 혈압 강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혈당저하의 효과측면에서는 모든 숲이 효과적이나 특히, 졸참나무숲에서 체류하는 것이 높은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physiological healing effects on users according to forest types. Forest types are classified into Chamaecyparis obtusa,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64 hypertensives, 59 diabetics and 59 ordinary people, were tested to observe their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숲의 종류와 이용자 특성을 분류한 후, 현장실험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숲의 생리적 치유효과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선행연구를 통해 산림에 의한 스트레스 및 질병 완화와 같은 생리적 측면의 질병 치유효과가 규명되어 왔으며, 본 연구 또한 숲에서 체류에 의한 생리적 측면의 효과를 설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숲의 종류를 고려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달리 숲의 종류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다만, 숲의 종류와 질병의 유형이 한정되어 연구되었으므로 향후에는 숲의 종류와 질병 유형별 피험자 선정이 확대된 연구가 진행되면 지속적으로 산림치유의 효과가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숲의 종류와 이용자 특성에 따른 산림 치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2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가설은 1) 숲의 종류별로 치유효과가 다를 것이다. 2) 숲의 치유효과는 질병에 따라 다를 것이다.
  • 설정된 가설은 1) 숲의 종류별로 치유효과가 다를 것이다. 2) 숲의 치유효과는 질병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지를 숲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질병별로 피험자를 선정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숲의 종류와 이용자 특성에 따른 산림 치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2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가설은 1) 숲의 종류별로 치유효과가 다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치유란 무엇인가? 산림치유(forest healing)는 산림휴양, 산림요양, 숲치유 등의 용어와 유사한 개념으로, 휴식과 치료의 기능이 결합된 용어이다.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서 산림치유란 향기, 경관 등 자연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활동으로 정의를 내리고 있으며, 제5차 산림기본계획(2008~2017)에서는 산림치유(숲치유)를 자연환경 중에서도 숲이 가지는 다양한 물리적 환경요소(경관, 테르펜, 음이온 등)를 이용하여 인간의 심신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자연요법의 한 부분으로 정의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08). 또한 산림청에서는 산림치유를 산림이 지닌 건강증진 효과가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심리적 효과를 과학적·의학적으로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산림을 심신의 치유에 활용하는 것으로 정의내리고 있다(http://www.
본 연구의 결과로 숲의 종류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효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생리적 반응은 뇌파, 심박 변이, 혈압, 맥박, 코티졸, 혈압 등을 지표로 선정하였다. 전체 피험자의 생리적 반응으로 숲의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분석한 결과, 졸참나무숲은 중추신경계,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측면에서 다른 숲에 비하여 높은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편백나무숲은 자율신경계를 제외한 지표에서, 소나무숲은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 일부 지표에서 스트레스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소나무숲은 스트레스 완화효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다. 고혈압 환자는 효과의 정도 측면에서 소나무숲보다 편백나무숲과 졸참나무숲에서 체류할 때 높은 혈압 강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삼림테라피의 의미는 무엇인가? 일본에서는 심신의 질환을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삼림휴양의 개념으로 삼림테라피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삼림테라피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삼림욕활동으로써 특별한 효과를 기대하는 치료라기보다는 생리적으로 편안한 상태로 유도하여 면역능력을 활성화하고, 쉽게 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 기능을 높여주는 비특이적 효과를 의미한다(Forest Therapy Forum, 2006; 23). 또한 2005년부터 삼림테라피 인증제를 실시하여 삼림치유 효과를 철저히 검증한 시설을 갖추고, 삼림테라피 기지, 삼림테라피 로드를 지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o, H. S., S. M. Cho and J. G. Cha(2008)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healing program on alcohol dependan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3(3): 727-743. 조현섭, 조성민, 차진경(2008) 숲치유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및 가족에게 미치는 치유 효과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727-743. 

  2. Cho, Y. M., W. S. Shin, P. S. Yeoun and H. E. Lee(2011)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sociality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2): 69-75. 조영민, 신원섭, 연평식, 이효은(2011) 숲 체험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2): 69-75. 

  3. Forest Therapy Forum(2006) Forest Therapy. Jeonnamoosup. pp. 22-23. 산림치유포럼(2006) 산림치유. 도서출판 전나무숲. pp. 22-23. 

  4. Hansmann, R., S. M. Hug and K. Seel(2007) Restoration and stress relief through physical activities in forests and park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 213-225. 

  5. Hartig, T., A. Book, J. Garvill, T. Olsson and T. Garling(1996) Environmental influences on psychological restoration.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37: 378-393. 

  6. Hartig, T., M. Mang and G. W. Evans(1991) Restorative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 experi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23: 3-26. 

  7. Hwang, S. H.(2002) Study on the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 of coniferous and broadleaf forests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forest resources. Master's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황상훈 (2002)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의 생리?심리적 영향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Jeong, N. R. and D. S. Ahn(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responses by time spent in the forest.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6(2): 45-51. 정나라, 안득수(2012) 숲 체류시간에 따른 생리적 반응의 비교 분석.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6(2): 45-51. 

  9. Jeong, N. R. and D. S. Ahn(2015) Analysis of image and healing perception effect according to the forest types.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9(1): 75-83. 

  10. Kim, Y., S. An, E. Yang, H. Yoon and T. Han(2012) Introduction of Forest Healing. Seoul: Sowha. 김영범, 안수연, 양은석, 윤혜경, 한태진 (2012) 산침치유개론. 서울: 소화. 

  11. Korea Forest Service(2008) The Fifth National Forest Plan(2008-2017). 산림청(2008) 제5차 산림기본계획. 

  12. Lee, B. K.(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uropathy after Forest Phytoncide Therapy. Ph.D Dissertation, Dongbang Graduate University. 이보구(2012). 산림 피톤치드 효능을 활용한 자연치유 효과에 관한 연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Lee, J. H., W. S. Shin, P. S. Yeoun and R. H. Yoo(2009) The influence of forest scenes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Jour. Korean For. Sco. 98(1): 88-93. 이정희, 신원섭, 연평식, 유리화(2009) 산림의시각요소가 인체의 심리?생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8(1): 88-93. 

  14. Li, Q. and T. Kawada(2011) Effect of forest therapy on the human psycho-neuro-endocrino-immune network. Nihon Eiseigaku Zasshi 66(4):645-650. 

  15. Li, Qing(2010) Effect of forest bathing trips on human immune function.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5(1): 9-17. 

  16. McKenzie-Mohr, D., L. S. Nemiroff, L. Beers and S. Desmarais(1995) Determinants of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Journal of Social Issues 51(4): 139-156. 

  17. Morita, E., S. Fukuda, J. Nagano, N. Hamajima, H. Yamamotod, Y. Iwai, T. Nakashima, H. Ohira and T. Shirakawa(2007)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environments on healthy adults: Shinrin-yoku (forestair bathing, walking) as a possible method of stress reduction. Public Health 121: 54-63. 

  18. Ohira, H., S. Takagi, K. Masui, M. Oishi and A. Obata(1999) Effect of Shinrinyoku (forest-air bathing and walking):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in Japanese). Bull Tokai Women's Coll 9: 217-32. 

  19. Ohtsuka, Y., N. Yabunaka and S. Takayama(1998) Shinrin-yoku (forestair bathing and walking) effectively decreases blood glucose levels in diabetic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41:125-127. 

  20. Park, B. J. and Y. Miyazaki(2008) Physiological effects of viewing forest landscapes. Jour. Korean For. Sco. 97(6): 634-640. 박범진, 宮岐 郞文(2008) 숲 속에서의 경관 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일본아츠키시의 현장 실험결과. 한국임학회지 97(6): 634-640. 

  21. Park, B. J.(2010) Experimental Approach of Therapeutic Effect of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박범진(2010). 산림휴양활동을 이용한 숲치유의 실험적 접근: 경관감상과 산책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Park, B. J., K. Furuya, T. Kasetani, N. Takayama, T. Kagawa and Y. Miyazaki(2011)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s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forest setting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2: 24-32. 

  23. Parsons, R.(1995) Conflict between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aesthetics: Conundrum, canard or curios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2: 227-244. 

  24. Shin, W. S., P. S. Yeoun and J. H. Lee(2007) The impact that a forest experience influences on a human mental state stabil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3): 37-43. 신원섭, 연평식, 이 정희(2007) 숲 체험이 인간 심리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3): 37-43. 

  25. Shin, Won Sup(2007) The influence of forest view through a window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Scandinav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2(3): 248-253. 

  26. Song, J. H., W. S. Shin, P. S. Yeoun and M. D. Choi(2009)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unmarried mothers' depression and self-esteem. Jour. Korean For. Sco. 98(1): 82-87. 송정희, 신원섭, 연평식, 최명도(2009) 산림 치유프로그램이 미혼모의 우울감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8(1): 82-87. 

  27. Sung, J., J. M. Woo, W. Kim, S. K. Lim and E. J. Chung(2012)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based "forest therapy" program on blood pressure, salivary cortisol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hypertensive patients. Clinical and Experimental Hypertension 34(1): 1-7. 

  28. Ulrich, R. S.(1979) Visual landsca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ndscape Research 4: 17-23. 

  29. Ulrich, R. S.(1983) Aesthetic and affective response to natural environment. In: Altman, I., Wohlwill, J. F. (Eds.), Behavior and Natural Environments. Plenum Press, New York. 

  30. Ulrich, R. S.(1993) Biophilia, biophobia, and natural landscapes. In: Kellert, S. R., Wilsons, E. O. (Eds.), The Biophilia Hypothesis. Island/Shearwater Press, Washington, DC. 

  31. Yamaguchi, M., M. Deguchi and Y. Miyazaki(2006)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in forest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34: 152-159. 

  32. Yeoun, P. S.(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est experience and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3): 1-6. 연평식(2007) 숲 치유프로그램을 통한 알코올 의존자의 우울수준 변화.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3): 1-6. 

  33. http://www.foreston.go.kr/ 산림청 숲에On 홈페이지.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