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어업유산의 경관 평가 지표 연구
A Study on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for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5, 2015년, pp.74 - 86  

최우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김동찬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의 등재 준비 단계부터 사후 관리까지 적용이 가능한 경관 평가 지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4년 8월부터 11월까지 1차 개방형, 2차 개방형, 3차 폐쇄형으로 진행하였고, 1차 28명, 2차 25명, 3차 29명의 전문가 의견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농어업유산의 경관 평가 지표는 평가영역 5개, 평가항목 10개, 평가지표 40개로 구성되었다. 평가영역은 향토성, 진정성, 심미성, 관광잠재력, 지역성이었고, 향토성은 농어촌성과 향수성, 진정성은 객관적 진정성과 실존적 진정성, 심미성은 매력성과 조화성, 관광잠재력은 자원가치성과 활용가치성, 지역성은 물리적 고유성과 문화적 정체성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농어업유산의 경관의 질을 평가할 때에는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 농어업 경관 평가 준거를 그대로 준용할 수 없음이 규명되었다. 둘째 기존의 농어업 경관에서 주목하고 있는 물리적 요인뿐 아니라, 정서적 요인을 중시하고 있었고, 주민이 농어업활동이나 축제 체험 등 행사에 참여하는 일상적이거나 일시적인 액티비티를 경관 평가 항목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관 평가 지표에서보다 확장된 경관 개념을 포함하였다. 셋째, 농어업유산은 그 순간 경작지에서 보이는 공시적 관점뿐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시간까지 포함한 통시적 관점을 포함한다는 관점에서 주민들의 삶에 주목하게 되고, 따라서 경작지와 자연환경은 물론이고, 마을경관 특히 주거지와의 관계성에 의미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농어업유산의 핵심 요소인 유산적 가치 측면과 관광적 활용 측면이 모두 반영되었고, 생산경관과 관련된 특산물 판매장의 사고파는 활동을 포함한 일시적이고 동태적인 경관들이 지표로서 도출되었다는 점에서 차별화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각 항목 간의 가중치가 도출되지 않아, 상대적 중요도를 알 수 없고, 경관의 총점을 비교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duce the landscape evaluation indices that can be applied from the preparation for the registration of major national farm/fishery heritages to post-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e Delphi survey was performed on experts.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4, the pr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의 경관 평가 지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문제 등에 대하여 그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합의점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구성원의 의견을 수집, 수렴하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농어업유산의 경관 평가 지표를 도출하여 농어업 유산의 준비 단계부터 사후 관리까지 적용이 가능한 ‘경관’ 관점에서의 평가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업유산 등재 준비 단계부터 사후 관리까지 적용이 가능한 농어업유산의 경관 평가 지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농어업유산의 경관에 관련된 전반적인 이해와 지식을 적정 수준 이상 갖추고 있는 전문가를 선정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 따라서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의 등재 준비 단계부터 사후 관리까지 적용이 가능한 ‘경관’관점에서의 평가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Choi and Min(2014)이 농어업 관련 국내외 정책 및 문헌을 고찰하여 추출한 농어업유산의 경관가치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전문가의 판단에 근거하여 농어업유산의 경관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국가중요농업유산 제 1호는? 2002년 FAO 주관의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GIAHS: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가 창설되어 이슈화되면서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우리나라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2012년 국가중요농어업유산제도(NIAHS: National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를 도입하고, 2013년 완도 청산도 구들장 논과 제주도 흑룡만리 돌담 밭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 제2호로 각각 지정하였다. 청산도 구들장 논과 제주도 흑룡만리 돌담 밭은 2014년 4월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하였으며, 이후 2015년에는 구례 산수유 시목지와 담양 대나무 밭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3호, 제4호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를 준비 중이다(Kim and Choi, 2014).
FAO의 GIAHS 개념의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 FAO의 GIAHS 개념의 핵심 요소는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토지이용시스템과 경관이고(Son et al., 2012; Parviz Koohafan, 2011; Park et al.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최근 유산적 가치가 부각되었는데, 해외에서는 이에 대해 어떠한 연구를 수행하였는가?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가치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최근 유산적 가치가 부각되며, 해외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Parviz Koohafkan(2011), Parviz and Miguel(2011a; 2011b)은 세계중요농업유산의 기존 사례 현황 분석을 통하여 세계중요농업유산시스템에서 권장하는 혁신적 접근방식(Innovative Approach)으로서 활동적 보전(Dynamic Conservation)과 순응적 관리(Adaptive Management)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히 활동적 보존은 세계적 변화와 영향을 고려하는 한편, 지역 주민들의 생계를 충분히 존중하여 유산관광에서 전통 농업경관으로 개발하고, 지역사회의 생계에 긍정적인 공헌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Yehong Suna et al.(2011)은 농업유산 관광의 주 매력이 시스템 자체라는 선행연구 결과와 상반되게, 농업유산 관광의 주 매력은 외형적 환경이라며 경관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관광객이 그들의 방문지가 농업유산 장소라는 사실을 모르고 왔으며, 관광․휴식․먹거리 경험 등 일반적 관광이 주목적이라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oi, W. Y. and B. W. Min(2014) An analysis on the measurement items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Rural Planning 20(4): 89-99. 

  2. Chun, M. S.(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tourism resources on the historical sit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6(1): 93-101. 

  3. Gracht, H. A. v. d(2008) The future of Logistics, Soenario for 2025; Gabler. 

  4. Han, M. Y.(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Attributes of Cultural Heritage for Tourism between Korea and China.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Jang, S. G.(2013) The agriculture heritage, heritage tourism, and ecomuseum: A study on application of ecomuseum for linking agriculture heritage to regional revitaliz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20(4): 989-1021. 

  6. Jung, M. C., H. Y. Moon and M. H. Kim(2014)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according to GIAHS. Journal of Agricultural History 13(1): 52-84. 

  7. Kang, Y. E.(2008) A Study on the Indicators for Visual Landscape Planning of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MS Thesis, Seoul University, Seoul. 

  8. Kang, Y. E. and S. B. Lim(2010) A study on the criteria for visual landscape planning of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Rural Planning 16(3): 134-157. 

  9. Kim, D. C. and W. Y. Choi(2014) IPA study for grasping landscape potentiality of Cheongsando designated as an agricultural and fisheries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4): 76-88. 

  10. Kim, E. J. and Y. H. Lee(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rural amenity. Rural Planning 19(3): 107-116. 

  11. Kim, E. J., W. I. Jeong, Y. K. Lee and C. S. Lim(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21(4): 1191-1226. 

  12. Kim, J. S. and H. Lee(2009) An evaluation of the quality and level of satisfaction on royal palace tourism: Focusing on authentic experience and HISTOQUAL. Journal of Tourism Science 33(6): 33-54. 

  13. Kim, K. I.(2005) A study on r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policy directions. Research Report t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4. Kim, R. G.(2005) New evolution of cultural landscapes in cultural heritages conserv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4(4): 288-304. 

  15. Kim, S. B.(2009) A study on the rural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Research Report to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6. Kim, S. B., B. H. Kang and H. M. Kim(2006) Analysis of rural landscape's characteristics by using OECD agriculture landscape indicator. Research Report to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7.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achology 28(4): 563-575. 

  18. Lee, J. H.(2014) A Study on the System of the Design Competi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9. Lee, J. H. and S. H. Choi(2013) An analysis on the problems of design competition process of landscape architecture by the Delphi analysis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3): 83-93. 

  20. Lee, S. W.(1987)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Delphi Technique. Ph D. Dissertation, Chonbuk University, Jeonju. 

  21. Park, J. J., S. B. Kim, and E. C. Lee(2013) Adoption and future tasks of 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for agricultural and rural resources conservation. Rural Planning 19(4): 161-175. 

  22. Park, Y. H.(2012)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ation criteria for agricultural heritage and management system. Research Report to EKR. 

  23. Son, H. G., S. B. Kim and Y. G. Shin(2012) A overseas case study for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gricultural and rural heritag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9(4): 841-869. 

  24. Suh, J. H. and J. H. Seung(2010)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sesment for agricultural landscape. Rural Planning 16(4): 33-43. 

  25. Yoon, W. K. and S. I. Choi(2012)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19(2): 465-495. 

  26. CEMAT(2003) European Rural Heritage Guide. 

  27. Parviz Koohafkan(2011) Conservation and adaptive management of GIAHS. Journal of Resources and Ecology 2(1): 22-28. 

  28. Parviz Koohafkan and Miguel Altieri(2011a) GIAHS-A Legacy for the Future. Research Report to FAO. 

  29. Parviz Koohafkan and Miguel Altieri(2011b)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dynamic conservation of GIAHS. Research Report to FAO. 

  30. Wang, N.(1999) Rethinking authenticity in tourism experience. Annals of Tourism Research 26(2): 349-370. 

  31. Yehong Suna, Myriam Jansen-Verbekeb, Qingwen Mina and Shengkui Chenga(2011) Tourismpotential of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Tourism Geographies 13(1): 112-128. 

  32. www.fao.org 

  33. www.fao.or.kr 

  34. http://www.ihalla.com/read.php3?aid1396583299459574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