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ation Standards for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4, 2016년, pp.110 - 118  

백승석 (한국농어촌공사) ,  문영숙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정기호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2002년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농촌공간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원 보전을 위해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를 만들고 세계적으로 가치가 있는 농어업유산을 지정하여 보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한국에서도 2012년 농어촌에 가치 있는 자원을 보전 관리하고자 농어업유산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농어업유산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었으나 한국 농어업유산만의 독특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유산 발굴과 지정은 답보 상태에 놓여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개념적 측면의 연구와 유산 발굴을 위한 자원조사, 지표개발, 관광화를 통한 보전 관리 위주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 농어업유산에 대한 가치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를 분석하고,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농어업유산의 발굴과 지정에 있어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농어업유산의 특성을 고려한 가치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기준은 향후 농어업유산을 보전 관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has established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e Heritage Site in 2002, designating the Agricultural Heritages with global value, and carries forwar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the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was adopted to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를 분석하고, 농어업유산 지정기준 및 가치평가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농어업유산의 가치평가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어업유산 지정기준의 문제점으로 무엇이 지적되는가? 농어업유산 지정기준의 문제점은 한국 농어업유산 지정기준은 가치평가를 위한 세부지표와 요소를 설정하지 않고, 세계중요농업유산 지정 기준에 준용하여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을 지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과 세부지표 설정이 필요하다.
농어촌공간의 보전정책으로 어떤 제도가 도입되었는가? 농어촌공간의 보전정책으로 농어촌지역의 유산자원을 발굴하고 국가차원에서 보전하고자 하는 농어업유산제도1)가 도입되었다. 농어업유산의 보전·관리는 개발로 인해 훼손된 농어촌 경관을 회복시키며, 차별화 및 정체성 있는 농어촌경관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국가중요농어업유산 선정기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은 2013년부터 농업유산 6개, 어업유산 3개로 총 9개(2015년 기준)가 지정되었으며, 청산도 구들장논과 제주밭담은 2014년에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는 매년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을 지정하고 있지만, 한국 농어업유산이 지니고 있는 가치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체 세계중요농업유산 지정기준에 따라 국가중요농어업유산을 지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 농어업유산의 독특한 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 농어업유산의 발굴과 지정,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농어업유산의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Yoon, W. K, and Choi, S. I. (2012).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19(2): 465-494. 

  2.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2).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ation Criteria for Agricultural Heritage and Management System.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3. Jung, m. C. Moon, H. Y. and Kim, M. H. (2014).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According to GIAHS.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History Association. 13(1): 51-84. 

  4. Son, H. G. Kim, S. B. and Shin, Y. K. (2012). A Overseas Case Study for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gricultural and Rural Heritag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9(4): 841-869. 

  5. Shin, Y. K. Kim, H. J. Kim, S. B. and Yoo, S. H. (2012). An Economic Evalua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9(4): 710-725. 

  6. Beak, S. S. (2014).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 System in the Korea. Journal of Resources and Ecology. 5(4): 335-340. 

  7. Kim, E. J. Jung, W. I. Lee, Y. Y. and Lim, C. S. (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21(4): 1191-1226. 

  8. Choi, J. U, Kim, D. Y, Yoon, S. D, Kwak, M. J. (2016).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cheme of Sacred Dangsan Forest in Singi-ri, Namwon-si as an Agricultural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3): 115-123. 

  9. Hwang, D. K, Kim, D. Y. (2015). A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Village Forest in Gyeonggi-do.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4): 99-111. 

  10. FAO. (2012). Procedures for Application and designation of a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2). Standards of Designation and Management for Agricultural Heritage. MAFRA. 

  12. Masahito Enomoto. (2014).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The Way Forward. The Celebration Semina of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