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창군 협업형 마을만들기 실천전략 연구
A Study of Practical Strategies for Cooperative Rural Community Regeneration in Geochang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5, 2015년, pp.87 - 99  

오형은 ((주)지역활성화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하드웨어 중심의 하향식 농촌개발사업을 개선하고자 2000년대부터 소프트웨어 중심의 사업을 지향하였고, 지자체 주도의 마을만들기가 행해졌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마을만들기 사업들 역시 외형적으로는 상향식 개발구조를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행정기관의 관여 아래 추진되는 하향식 추진절차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재의 마을만들기 진행과정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상향식 개발방식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여러 사람이 같은 자격으로 모여 마을만들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업형 마을만들기'를 제시한다. 연구대상지는 거창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행정 관련 공무원과 1:1 인터뷰를 통해 현재 거창군 마을만들기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알아보고, 이장단 설문조사와 일반주민 심층면담을 통해 마을만들기에 대한 주민 인식을 선행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련 공무원, 전문가, 지역주민의 참석 하의 10회에 걸친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하여 거창군의 협업형 마을만들기 실천전략을 로컬푸드, 문화 복지, 귀농 귀촌, 마을개발, 도농교류의 5가지 핵심분야를 선정하였다. 또한, 이는 행정의 지속적인 협업체계 구축과 주민의 참여역량 강화 노력, 전문가의 체계적인 통합운영관리 지원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로서 거창군만의 협업형 마을만들기 실천전략을 모색하였으며, 향후 각 농촌지역에서 상향식 마을만들기를 진행하고 도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or hardware-centered rural development projects implemented top-down rural community regeneration via the local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central government agency policies. To improve this, software-centered projects have been promoted since 2000. With central agency-led rural development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회차에서는 사회적 관계망 실습을 통해 거창 마을만들기를 추진하는데 있어, 마을의 핵심인물(Opinion Leader)을 찾고자하였다. 이들 핵심인물은 향후 행정의 보조역할을 수행하는 민간주도의 ‘중간지원조직’으로서 정보의 송수신, 세미나, 토론회, 교류지원 등을 통해 주민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논의하였다.
  • 5회차는 사전 거창주민의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거창주민이 바라는 거창군 마을만들기에 대해 토론하였다. 거창주민의 1:1면담 결과, 거창주민은 마을만들기를 위해 화합과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이를 통해 좀 더 편안한 삶터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참여주체들 간 마을만들기의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토론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소통의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고, 과도한 사업비의 투자보다는 주민 스스로 할 수 있는 역할을 찾는 것이 더 큰 효과로 나타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관련 공무원과 전문가 참석 하에 진행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포함한 10회의 라운드 테이블 과정을 통해 거창군의 협업형 마을만들기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Figure 4 참조).
  • 따라서 본 연구자는 행정과 전문가 마을주민이 동시에 마을만들기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며, 이를 ‘협업형 마을만들기’라 칭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행정기관과 지역주민, 관련 전문가를 기반으로 한 농촌마을만들기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행정기관은 마을만들기의 통합 협업체계룰 구축하고, 지역주민은 인적인프라 육성교육을 통한 참여역량을 강화하며, 관련 전문가는 중간지원조직으로서 지속적인 컨설팅과 모니터링을 통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 다음으로 발표․토론․합의 단계에 해당하는 6회차는 1회부터 5회까지의 라운드 테이블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 전문가와공무원, 주민 약 50여명이 참석하여 중간 점검 및 토론을 진행하였다. 마을만들기 사업의 시스템은 통합적으로 운영되어야 시너지효과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을만들기 통합시스템 운영을 위한 거창군 창조행정 실현을 목표로 실천전략 방향을 수립할 것을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이 마을만들기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을여건과 주민역량을 반영한 단계적 사업추진 방식(예비 -진입-발전-자립)을 도입하여 사업의 성과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지속적인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한다(Table 9 참조).
  • 본 연구는 지난 농촌개발정책 및 마을만들기가 가지는 하향식 시행구조, 갈등구조 발생, 차별화 되지 않은 사업결과 등의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해결하고, 실질적인 상향식 마을만들기를 시행하기 위한 행정의 실천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거창군에서 추진된 기존 마을만들기 사업들을 도농교류의 거점으로써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해 개별 농가형, 마을형, 네트워크형으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이들을 통합관리할 수 있는 홍보․관리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추진함을 제시한다(Table 10 참조).
  • 본 연구에서는 귀농․귀촌 인구가 마을만들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추진주체가 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향후 귀농․귀촌의 활성화를 위해 유치홍보 강화, 정착지원 다양화, 주민화합 도모, 지원․관리제도 정비의 전반에 걸친다양한 지원사업을 구상하였다(Table 8 참조).
  • 이는 교육의 성과를 주체간에 서로 공유하고,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대학을 통한 통합교육을 제시하고자한다. 마을대학은 크게 주민마을학교, 귀농귀촌학교, 지역활동가교육원으로 구분된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거창군 마을만들기 현황을 분석하고, 추진과정과 실천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13년 8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약 8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거창 마을만들기의 필요성과 현황, 추진과정과 실천전략 모색 등에 관하여 ‘라운드 테이블’ 형식으로 의견을 모으는 방법을 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마을만들기가 가지는 근본적인 문제를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추진했던 마을만들기의 문제와 한계를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상향식 개발방식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 공무원, 지역주민,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1:1 면담 및 인터뷰, 주민의식 설문조사를 포함한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이 마을만들기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을여건과 주민역량을 반영한 단계적 사업추진 방식(예비 -진입-발전-자립)을 도입하여 사업의 성과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지속적인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한다(Table 9 참조).
  • 본 연구에서는 협업형 마을만들기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라운드 테이블을 진행하였다. 본격적인 라운드 테이블을 진행하기 앞서 행정리 이장단, 마을주민, 관련 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 행정기관은 마을만들기의 통합 협업체계룰 구축하고, 지역주민은 인적인프라 육성교육을 통한 참여역량을 강화하며, 관련 전문가는 중간지원조직으로서 지속적인 컨설팅과 모니터링을 통한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본 연구의 연구대상지에 적용하여 실질적인 실천전략을 구축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상향식 개발방식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 공무원, 지역주민,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1:1 면담 및 인터뷰, 주민의식 설문조사를 포함한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지 내 다양한 집단의 의견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상향식 마을만들기의 실질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관련 공무원과 지역주민, 전문가의 협업체계를 강화하여 최종적으로 각 농촌지역에서 상향식의 협업형 마을만들기를 진행하고, 도입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주민의 삶에 본질적으로 다가가고자하는 행정의 역할과 지역 주민의 주체적 역량육성이 핵심 화두로 대두되고 있다는 점에 집중하였다. 기존의 행정중심의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마을만들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 또한, 단계별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며, 사업선정 및 운영성과 확산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하였다. 이에 사업선정기준과 지원․관리 기준에 대한 행정의 체계적인 실행기준을 갖추는 것이 우선되어야 함에 의견을 모았다.
  • 이로써 총 다섯 번에 걸친 조사․연구 단계를 마무리하였다. 조사․연구 단계는 주로 사전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담당자와 전문가 그리고 마을주민이 함께 논쟁점을 선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전 조사내용을 미리 전달하고, 이를 토론함으로 인해 자리에 직접 참석하지 않은 마을주민들과 이장단의 의견을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을만들기는 결국 지역과 주민을 위한 사업이라는 의미는? 마을만들기는 결국 지역과 주민을 위한 사업이다. 성과가 창출되지 못하거나 창출된 성과가 주민에게 돌아가지 못하면 그것은 잘못된 마을만들기이다. 그러나 최근 유행처럼 많은 지자체가 마을만들기라는 이름의 사업을 무분별하게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추진함으로써 오히려 행정주도형 마을만들기의 각축장이 되어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상향식 개발방식으로 구체화 되고 있는 것은? 최근 이러한 하향식 개발방식에 대한 변화와 개선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의 요구에 부응한 상향식 개발방식으로 구체화 되고 있는 것이 ‘마을만들기’이다. 마을만들기는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을 스스로 활력 있고 매력 있는 곳으로 만들어 나가는 총체적인 과정이다(Kim, 2009; Shin, 2011).
마을만들기란? 최근 이러한 하향식 개발방식에 대한 변화와 개선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의 요구에 부응한 상향식 개발방식으로 구체화 되고 있는 것이 ‘마을만들기’이다. 마을만들기는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을 스스로 활력 있고 매력 있는 곳으로 만들어 나가는 총체적인 과정이다(Kim, 2009; Shin, 2011). 이는 물리적인 개선뿐만 아니라, 공동체복원을 통한 마을공동체를 형성하고, 주민의식 개선, 유대감 형성을 통해 주민들의 역할을 좀 더 강화하여 실제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이 되도록 의견을 모으는 발전된 방법론이다(Won,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eochang(2013) Geochang province, Long-term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2013-2022. 

  2. Gukjenews(2015.07.22) Geochang province, Exploration of the advanced areas of agricultural and farming universities and colleges. 

  3. Kim, H. S.(2000) A critical study on Saemaul Undong (new community movement) as a modernization project : Focused on the 1970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2(2): 21-38. 

  4. Kim, S. J.(2009) A Study on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Community Building. Ph. D.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Korea. 

  5. Lee, H. J.(2009) Changes in rural policy paradigm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A study based on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1): 7-47. 

  6. Moon, J. H.(2012) A Study of Making Rural Village by Participation of Residents. Master Thesis, Gwangju University, Korea. 

  7. Nam, G. G.(2000) 라운드테이블 방식의 평가와 성공적 정착을 위한 과제. 韓國國際政治學會94(-): 13-15. 

  8. OECD(2006) The New Rural Paradigm: Policies and Governance. Paris: OECD. 

  9. Oh, H. S.(2008) A change of strategies of developing EU's rural communities. Rural and Marine Village and Environment 98: 81-94. 

  10. Park, J. D.(2002)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ottom-up Agricultural development strategie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1. Rural Research Institute(2008) Methods of Facilitating Urban and Rural Community Interchange to Establish Co-operation Relationships with Civil Bodies. 

  12. Seo, J. H.(2006) The study on impedimental factors in green and experiential tourism of farm village project.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6(2): 89-119. 

  13. Seo, J. H.(2013) A study on direction for rural community building through the case of Gurye-County.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19(1): 33-41. 

  14. Shin, J. H.(2011) A Study o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Master Thesis, Gangnam University. 

  15. Song, M. R.(2006) A policy change and recent trend of the construction of village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of a rural communities good to live in." -. Architecture History 15(4): 137-160. 

  16. Won, J. H.(2013) Factors Affecting the Evaluation of the Resident- Participatory Community Design : Focused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the Project of Human Town in Seoul'.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