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민참여를 통한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정읍시 내장상동을 중심으로 -
The Activation Plan of an Agricultural Region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 Focusing on Jeongeupsi Naejangsangdong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5, 2015년, pp.121 - 131  

오형은 ((주)지역활성화센터) ,  김용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농외소득 향상을 목적으로 하던 마을중심의 농촌지역개발사업이 최근 농어촌중심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농어촌중심지 사업은 지역주민의 소득 이외에 지역주민의 생활여건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농촌과 농촌 중심지의 모습도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농촌과 도시가 하나의 지역으로 융합되어 한 지역에서 농촌과 도시의 복합적 성격을 띠는 러번지역이 발생함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농촌의 중심지는 자연스럽게 도시적 인프라를 갖춘 러번지역으로 집중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정읍시 내장상동 또한 농촌의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도시지역의 구조 형태를 가지는 도농통합적 생활권 중심지이다. 기존 정부의 하향식 농촌개발사업으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러번지역에 조직되어 있는 공동체를 활용한 주민참여형 사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적 성격을 가진 러번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수요분석을 통해 생활서비스 증진을 위한 러번지역의 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민 워크숍 및 시범활동과 같은 주민역량강화 단계를 기본계획수립 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주민들의 자생력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상지 현황 및 여건분석, 기본구상 및 발전방향설정, 세부사업계획, 사업추진계획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현장조사와 주민수요를 기반으로 도보환경 개선, 공동체 기반시설 조성, 살기 좋은 생활환경 조성의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러번지역이라는 발전된 형태의 농촌지역에서 주민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이미 구성되어 있는 지역공동체 등의 활동 단체를 사업의 실행주체로 참여시킬 수 있는 주민참여형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늘어나는 러번형태의 지역 특성에 맞는 주민 자생적 농촌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통해 지역의 능동적이고 성공적인 성장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llage-concentrated agricultural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that aim for increased profits are now being aimed at core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s. These agricultural and fishing stimulus projects aim to not only increase the net profit of local citizens but also improve their living cond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부환경과 내부역량의 복합적 분석(SWOT 분석)을 통하여 내장상동 기본 계획을 위한 전략적 대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Figure 7 참조). SWOT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인적자원인 지역공동체를 적극 연계하여 사업의 지속적 운영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며(S-O전략), 내장산의 주요 경유지인 충정로의 개선을 통해 상권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S-T전략). 지역의 경관개선을 통해 내장상동의 이미지 상승효과를 창출하며(W-O전략), 지역주민 참여를 통한 경관개선 활동으로 거주지 환경을 개선하여 마을의 안전성 및 상권 회복을 유도(W-T전략)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수립하였다.
  • 이는 이웃 간의 관계망 구축을 통해 함께 사는 즐거움을 알게 함으로써 주민들이 직접 사업의 실행 주체로 나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소외된 주체의 참여기회를 확대하여 새로운 지역 공동체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 본 센터는 첫째, 정읍시 마을기업·사회적기업·창안대회 등의 공동체 활동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거점 공간이자 둘째, 지역 학부모 및 은퇴자들의 놀이공간, 셋째, 지역의 축제·전시·판매 등을 위한 교류공간으로써 운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의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러번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기반 조성과 공동체 강화 활동을 목적으로 한 정읍시의 내장상동 중심지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장상동 주민들의 문화·복지·여가 등 생활서비스 기반시설 수요를 반영하여 중심기능을 강화한 계획 및 구상안을 제시하고, 이와 동시에 지역주민이 공동체 활동을 증진하고 주민자치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변화하는 농촌과 농촌중심지에 맞추어 주민 자생적 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농촌과 도시가 융합된 형태의 러번지역이 발생함에 따라 도시의 특성도 함께 반영된 농촌중심지 활성화 계획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적 성격을 가진 러번지역의 특성 및 주민 수요 분석을 통하여 생활서비스를 증진할 수 있는 방향을 설정하며, 주민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을 도모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농촌중심지의 역할을 부각시킬 수 있는 러번지역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러번지역의 성격을 가진 전북 정읍시 내장상동을 대상으로 중심지 활성화 계획을 제시하였다. 정읍시 내장상동은 내장산국립공원이 위치해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문화·복지·운동 분야의 기초서비스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이다.
  • 러번지역의 문화 복지 및 공동체의 활동은 기존 농촌지역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주민 워크숍을 통해 분석한 내용을 보면 실제로 주민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사업들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러번지역이라는 발전된 형태의 농촌지역에서 주민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고, 이미 구성되어 있는 지역공동체 등의 활동 단체를 사업의 실행주체로 참여시킬 수 있는 주민참여형 농촌중심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기본방향은 도시적 성격을 보유하고 있는 내장상동의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반영하고, 배후지역 공동체의 수요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활동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계획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이웃 간의 관계망 구축을 통해 함께 사는 즐거움을 알게 함으로써 주민들이 직접 사업의 실행 주체로 나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의 의의는 변화된 농촌 상에 맞추어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주민들이 스스로 사업의 계획과 운영에 참여하여 성공적인 지역 활성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 활성화 계획은 계획의 대상이 되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그 성격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본 연구 과정들을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의 기본방향은 도시적 성격을 보유하고 있는 내장상동의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반영하고, 배후지역 공동체의 수요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활동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계획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이웃 간의 관계망 구축을 통해 함께 사는 즐거움을 알게 함으로써 주민들이 직접 사업의 실행 주체로 나서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소외된 주체의 참여기회를 확대하여 새로운 지역 공동체 형성을 촉진함으로써 지역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장상동 주민들의 문화·복지·여가 등 생활서비스 기반시설 수요를 반영하여 중심기능을 강화한 계획 및 구상안을 제시하고, 이와 동시에 지역주민이 공동체 활동을 증진하고 주민자치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역역량강화사업을 통해 더 많은 주민들이 정보를 얻고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계층, 다양한 관심분야의 주민들의 소통 기회를 만들어냄으로써 지역수요를 본 사업 내에 반영하고 주민들의 사업수혜와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분야별 전문가 참여를 통해 각 단위사업의 방향성 진단과 더불어 최상의 사업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참여 주민대상의 역량강화사업을 계획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러번지역에 새롭게 형성된 중심시가지의 특성에 맞는 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시설 중심에 위치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인구가 마을을 경유하고 있는데, 가로등 및 안전시설 부족, 낙후된 주거환경으로 인하여 주거자 및 공공시설 이용자들이 안전을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주민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거나 직접 정원을 조성하는 등 직간접적으로 마을환경 가꾸기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사업의 지속성을 높이고자 하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또한, 주민이 직접 마을 환경을 가꾸고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역량강화 활동을 병행함으로써 사업 추진과정과 완료 이후에도 스스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 이에 지역 어르신 대상의 휴식·건강증진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청·장년층 대상의 운영 예정인 커뮤니티지원센터와 별개로 평생을 배우는 실버세대만을 위한 교육공간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 세부적으로는 왕솔밭 진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안내표지판을 설치하여 접근편의를 높이고자 하였고, 중앙부에는 자연친화적 광장 조성 계획을 포함하였다. 이와 함께 터널의 삭막한 환경을 개선하고, 산책로 정비와 음수대를 비롯한 편의 개선을 통하여 주민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여가공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중심지사업은 그간의 지역개발사업들이 기능공간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채, 마을 권역, 면 등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투자성과가 나지 않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하위정주체계와 생활거점의 연계성을 고려한 지역개발투자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영국의 마켓타운 재생(Market Towns Regeneration), 일본의 상점가 재생, 미국의 지역사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화 복지의 공공서비스, 문화·체육서비스, 구매와 식음 등의 상업서비스 등이 생활서비스 수요가 골고루 충족되는 중심지를 재생하는 것이다.
  • 지상 2층은 지역공동체의 전문화를 위한 역량강화의 공간으로 교육공간, 신문발행공간, 커뮤니티써클, 사무실 및 회의실이 배치되었다(Figure 8 참조). 즉, 2층에서 시행되는 교육 결과 새로운 공동체가 만들어지고, 이 공동체가 1층의 창안나래를 이용하며 생산되는 결과물을 재능카페에서 판매하며, 지하 1층에서 공동체 교류활동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지역역량강화사업을 통해 더 많은 주민들이 정보를 얻고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계층, 다양한 관심분야의 주민들의 소통 기회를 만들어냄으로써 지역수요를 본 사업 내에 반영하고 주민들의 사업수혜와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러번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러번(rurban)은 농촌적(rural)과 도시적(urban) 의 합성어로 도농복합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지기도 하며, 도시적 환경과 농촌적 자연환경이 혼재하고 도시민과 농업인이 함께 살고 있는 상황을 표현하는 단어이다(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09). 러번은 성격이 다른 두 지역의 혼재와 난개발의 부정적인 의미도 있지만 귀촌수요가 높은 최근에는 농촌적 장점과 도시적 장점이 시너지효과를 내는 대안지역으로 해석되기도 한다(Jang, 1994).
러번디자인의 목적은 무엇인가? 러번디자인은 사람과 사물 기능에서 혼재의 용인과 수용, 혼재하는 것들의 연계 보완하는 공생을 기본이념으로 도시적 상황과 농업적 자연적 상황이 공생하는 새로운 생활상, 도시적 생활과 농촌적 생활이 융합된 새로운 생활상을 창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2009). 또한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지역주민들 간의 교류와 수요에 의한 활동의 촉진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방안이 공간적, 사회적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교류와 활동이 디자인 활동과 연계 되는 주민참여형 러번지역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Lee, 2009).
농촌지역개발사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초기 마을 중심의 농촌지역개발사업이 농외소득 발굴과 향상에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면, 최근 중심지 중심의 농촌지역개발사업은 지역주민의 생활여건 개선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Moon, 2012). 그러나 과거부터 자리 잡은 정부의 하향적 사업 구조는 농촌중심지가 가진 기능 및 규모와 무관한 사업 또는 H/W중심의 사업으로 인해 지역 공동체 활성 저해 및 과잉계획(over plan) 등의 문제점을 가져왔다 (Seo, 2006; Shin, 2011; Lee, 2014). 따라서 현재 무분별한 농촌중심지 개발을 막기 위해 지역의 특성과 지역주민들의 수요를 반영한 주민참여형 상향식 농촌중심지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2009) Rurban Design: Symbiosis of Rural Village and Urban City. 

  2.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2014) Rural Village Center Promotion & Result Analysis of Maintenance Project and Further Promotion Strategy. 

  3. Jang, T. O.(1994) Meaning and direction of urban rural consolidated city. Urban Problem 29(307): 9-20. 

  4. Jeongeup-si(2014) Statistical Yearbook of Jeongeup. 

  5. Jo, Y. K.(2007) Reconsidering centrality of rural service centers, Chungcheongnamdo, Korea. The Korea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1(4): 517-532. 

  6. Kim, J. Y.(2013) Direction of Vitalization Policy for Rural Village Center and Promotion Work. 

  7. Lee, H. J.(2009) Changes in rural policy paradigm and rural development project in Korea -A study based on "Integrat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1): 7-47. 

  8. Lee, S. J.(2014) The change of agricultural region activation policy and countermeasures of Chungnam. The Chungnam Review 66: 29-35. 

  9. Lee, S. J. (2015) Project and Strategy for Vitalization Policy of Chungcheungnam-do Rural Village Center. 

  10. Lee, S. M.(1995) Further development work of urban rural consolidated city. Local Self-Government 10: 61-64. 

  11. Moon, J. H.(2012) A Study of Making Rural Village by Participation of Residents. Master Degree Thesis. Gwangju University. Korea. 

  12. Seo, J. H.(2006) The study on impedimental factors in green and experiential tourism of farm village project.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6(2): 89-119. 

  13. Shin, J. H.(2011) A Study o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Master Degree Thesis. Gangnam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