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s of Stress Reduc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5, 2015년, pp.1 - 18  

고은경 (동아대학교 휴먼라이프리서치센터) ,  견주연 (가야대학교 유아교육과) ,  하지민 (창원문성대학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토대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DBpia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유아 스트레스'로 검색을 시행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석 박사학위논문 1,121편, 등재(후보)학술지 논문 1,201편, 총 2,322편이었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검색 전략으로 최종 선정된 논문은 26편이었고, 그 중 19편의 논문이 메타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의 대상문헌들은 대부분 2010년 전후로 발표되었으며, 주로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문헌들은 전체적으로 -1표준편차 이상의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의뢰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아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에 대한 제한점 및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llowing the protocols for meta-analysis proces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and effectiveness of stress reduc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s, outcomes, study design strategy was established, and 2,322 pieces of literature from 3 elect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다수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 스트레스 프로그램이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연구 간 효과 크기의 차이 및 이질성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활동 특성, 실험집단 인원수, 처치 기간, 처치횟수를 준거로 조절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다수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총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 스트레스 프로그램이 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연구 간 효과 크기의 차이 및 이질성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활동 특성, 실험집단 인원수, 처치 기간, 처치횟수를 준거로 조절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유아 스트레스 프로그램 연구 간의 효과 크기 및 주요변인과의 관련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아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이후의 연구방향을 밝히길 기대한다.
  • 이상으로 본 연구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유아 대상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이 높은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종합적으로 밝혀내었다. 또한 이후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를 위한 방법들을 제안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어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출판된 문헌들은 긍정적인 효과만을 보고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표집의 대표성으로 인한 출판오류가 존재할 수 있다(황성동, 2014). 본 논문에서는 CMA 프로그램의 Funnel Plot을 통하여 수집된 논문들에 출간오류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Funnel Plot이 수직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즉 출판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Trim and Fill’ 방법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수정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유아 스트레스 감소 교육활동 및 프로그램 효과 문헌을 체계적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설계방식은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이윤재, 손희정, 정보형, 서혜선, 신채민(2011)과 황성동(2014)의 연구방법을 참고하여 PICOS에 대한 정의, 문헌 검색 전략, 문헌 선정 과정, 문헌의 질 평가, 자료 분석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보고한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향후 보다 효과적인 스트레스 감소 중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모든 스트레스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는 성장, 발달에 부정적일 가능성이 크며(Alsop & McCaffrey, 1993), 특히 유아는 언어적, 인지적 능력이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어 자신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가능성이 크며, 효율적으로 대처하기도 어려우므로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Honig, 1986).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다룬 선행연구들에 어떠한 것이 있으며, 유아 스트레스 감소와 관련된 연구들의 특징 및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해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바람에 의해 시작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한 예를 들면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리고 이와 같은 스트레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자 원천은 일상생활 내 아주 사소한 일부터 큰 충격을 안겨 주는 인생의 주요한 사건까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배우자나 부모, 자녀의 사망, 결혼 또는 이혼, 실직 등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생활사건이나 교통체증, 소지품 분실과 같은 일상의 사소한 일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어떤 일이 자신의 의지나 기대, 바람대로 전개되지 않을 때 느끼는 감정을 의미하는 좌절을 경험하였을 때, 심리적 소진 또는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였을 때 등이 있다(윤가현 외, 2012). 그리고 이러한 스트레스 발생 요인은 성인뿐만 아니라 유아들에게도 충분히 스트레스원(stressor)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가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점차 사회문화적 구조 및 기능이 급변하고 복잡다단해짐에 따라 성인들은 물론 유아들도 일상생활을 하면서 크고 작은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모든 스트레스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과도한 스트레스는 성장, 발달에 부정적일 가능성이 크며(Alsop & McCaffrey, 1993), 특히 유아는 언어적, 인지적 능력이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어 자신이 겪고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가능성이 크며, 효율적으로 대처하기도 어려우므로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Honig, 1986). 이에 본 연구는 유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다룬 선행연구들에 어떠한 것이 있으며, 유아 스트레스 감소와 관련된 연구들의 특징 및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해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바람에 의해 시작되었다.
스트레스란? 흔히 스트레스(stress)란 인간이 신체적․심리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느끼게 되는 불안과 위협 등의 감정으로(Lazarus, 1993), 유아는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대처능력이 부족하며(정영주, 2013; Honig, 1986) 자기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때 그것을 오랜 시간 인내하는 힘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들의 스트레스는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Chandler, 1987; 신인숙, 김지영, 2008, 재인용; Lite, 2014). 그리고 이와 같은 스트레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자 원천은 일상생활 내 아주 사소한 일부터 큰 충격을 안겨 주는 인생의 주요한 사건까지 매우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강성비 (2013). MeFOT기반 색채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경인, 조수연 (2013).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 및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1), 41-62. 

  3. 권정윤, 정미라, 홍소영 (2010). 유아 사회성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41-358. 

  4. 김계수 (2015). 빅데이터 분석과 메타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5. 김봉아 (2014). 음악감상을 통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성재 (2011). 잡기놀이 중심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61-387. 

  7.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이윤재, 손희정, 정보형 등 (2011).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8. 김옥경, 권대원 (2006). 어린이 요가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변인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5(2), 73-90. 

  9. 김희중 (2013). 유리드믹스 음악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해소 및 자기통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나상미 (2011).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선영 (2010). 달크로즈 기법을 적용한 음악치료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선영 (2012). 다도교육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주성, 김원준 (2010).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11), 4197-4206. 

  14. 박현경, 이주영 (2014).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연구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16(1),29-47. 

  15. 변해숙 (2010). 자연체험활동프로그램이 종일반 유아의 스트레스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손은경 (2008). 자기표현활동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송효주 (2013). 음악감상을 통한 신체활동이 종일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신인숙, 김지영 (2008). 전래놀이동요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71-194. 

  19. 양진희, 박윤 (2007). 친사회적 동화를 활용한 주제극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적응 행동과 일상생활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349-374. 

  20. 염현경 (1998).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분석 연구-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35-48. 

  21. 유미리 (2010). 자기표현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윤가현, 권석만, 김문수, 남기덕, 도경수, 박권생 외 (2012).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3. 윤경애 (2013). 숲놀이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윤소연, 김민진 (2014).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도유형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195-221. 

  25. 이루리 (2014). 실외놀이 중심 방과후 과정 운영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과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서현 (2007). 전통놀이 활동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유선, 한유진 (2015).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249-267. 

  28. 이인원 (2014). 숲체험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6), 83-103. 

  29. 이정아 (2013). 마음챙김에 기초한 유아 인지명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향미 (2011). 동화를 활용한 웃음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51-73. 

  31. 임갑빈 (1993). 유아스트레스 해소방법에 대한 기초연구. 교육연구, 2(1), 315-336. 

  32. 정영주 (2013).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5(2), 209-235. 

  33. 정혜민 (2010).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유치원 적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최민수, 정영희, 오윤진 (201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요가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1, 223-241. 

  35. 최성애 (2010). 자연명상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상복 (2010). 산책을 통한 자연놀이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허은주 (2012). 심리운동이 시간연장 보육유아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현정희, 이지현, 황성동 (2014).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언어구성요인별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121-141. 

  39. 황성동 (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40. Alsop, P., & McCaffrey, T. (1993). How to cope with childhood stress: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 UK: Longman. 

  41.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Wiley. 

  42. Burts, D. C., Hart, C. H., Charkesworth, R., & Kirk, L. (1990). A comparison of frequencies of stress behaviors observed in kindergarten children classroom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versus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instruction practices. Early Childhood Quarterly, 5(3), 407-423. 

  43.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 based method of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44. Felsenstein, R. (2013). From uprooting to replanting: On post-trauma group music therapy for pre-school children.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2(1), 69-85. 

  45. Honig, A. S. (1986). Stress and coping in children. Young Children, 41(4), 50-63. 

  46. Honig, A. S. (2010). Little kids, big worries: Stress-bursting tips for early childhood classrooms. Baltimore: Brookes Publishing Company. 

  47. Lazarus, R. S. (1993).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1), 1-21. 

  48. Lite, L. (2014). Stress free kids: A parent's guide to helping build self-esteem, manage stress, and reduce anxiety in children. Avon, MA: Adams Media. 

  49. Parfenoff, S. H., & Jose, P. E. (1989). Measuring daily stress in childre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4 206. 

  50. Ray, D. C. (2007). Two counseling interventions to reduce teacher-child relationship stres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0(4), 428-440. 

  51. Vosler, N. R., & Proctor, E. K. (1990). Stress and competence as predictors of child behavior problems. Social Work Research and Abstracts, 26(2), 3-9. 

  52. Wallerstein, J., & Kelly, J. (1982). Surviving the breakup. New York: Basic Boo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