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정서표현규칙과 정서노동 수행전략에 관한 연구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of Childcar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5, 2015년, pp.19 - 37  

이연준 (한국보육진흥원)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보육교사의 직무에서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과 정서노동 수행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정서노동의 내면행동, 표면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행동은 정서표현규칙의 교육, 몰입, 공정성, 명확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규칙 지각은 표면행동, 내면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몰입이 내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을 지원하고 교사의 정서관리 능력향상을 위한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inkage between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strategy and the affects of the display rule factors on the emotional labor strateg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8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에 초점을 두고 정서노동 수행전략과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차별화 된다. 또한 보육교사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던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서노동 연구 관련 조절변수의 가능성을 탐색해 본 것도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정서표현규칙 및 정서노동 데이터가 동일 원천에서 수집되고 대상 을 일부지역에 한정함에 따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과 정서노동 수행전략과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에서 기대하는 정서표현규칙이 정서노동 수행전략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지각, 교육, 공정성, 몰입, 명확성)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정서노동으로 인한 소진을 예방하고 내면행동 증진과 교사의 정서관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지원 방안 모색에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이 정서노동의 수행전략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에 대처하고, 정서표현규칙의 내면화를 증진시킴으로써 교사의 긍정적인 역할 수행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정서표현규칙의 하위요인(지각, 교육, 공정성, 몰입, 명확성)과 정서노동 수행전략(표면행동, 내면행동)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돌봄의 특징은 무엇인가? 어린이집 교사는 하루일과중 끊임없이 영유아들과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돌봄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돌봄은 돌봄 대상과 돌봄의 역할을 수행하는 교사와의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하고, 관계는 윤리성을 바탕으로 하며(Noddings, 2012), 돌보는 사람의 사랑, 열정, 친숙함과 같은 정서를 수반한다(Goldstein, 2002). 보육교사는 영유아들의 정서적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 수용하며 정서적 노력을 하기 때문에 돌봄의 역할에서 교사의 정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염지숙, 2005; Day, 2000; Hargreaves, 2002; Isenbarger & Zembylas, 2006).
보육교사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한 이유는? 보육교사는 영유아기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으로, 그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루 상당한 시간을 함께 보내는 보육교사와 영유아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경험과 관계의 질은 더욱 강조된다.
몰입이 높은 개인들은 표현해야 하는 정서를 실제로 갖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수행할 것으로 예측하는 이유는? 한편 Gosserand와 Diefendorff(2005)는 정서표현규칙에 몰입할 때만 정서표현규칙에 적합한 정서를 표현한다고 하고 몰입이 정서표현규칙 지각과 긍정적인 정서전달 사이를 조절한다고 하였다. 정서표현규칙의 몰입(commitment to display rules)은 조직에서 기대하는 바람직한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려고 하는 개인의 의도(Gosserand & Diefendorff, 2005)로 정의된다. 정서표현규칙은 목표의 한 종류이며 정서표현규칙 몰입은 목표 몰입의 일종이다(Gosserand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강원경 (2007). 감정 노동에서 표현 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원경, 김민수, 오원경 (2012). 감정노동에서 표현규칙의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37(2), 57-72. 

  3.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4. 권혜진 (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이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규칙의 중재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6), 255-276. 

  5. 김경은, 홍순정, 임윤택 (2012).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노동과 감정표현관리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27(1), 151-170. 

  6. 김나리, 조영일 (2014). 국내 심리학 분야의 정서노동 연구 개관.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4(1), 85-108. 

  7. 김상표, 하환호 (2009). 감정표현규칙의 명확성과 긍정적 정서전달 간의 관계: 조직의 관리기제에 대한 지각의 조절효과. 서비스경영학회지, 10(3). 321-342. 

  8. 김수연 (2015).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박은혜, 고재천 (2008). 유아교사의 부모, 원장, 동료교사에 대한 정서적 지형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2(4), 139-166. 

  10. 백승근, 신강현, 허창구 (2011). 서비스직 종업원의 정서노동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스트레스 교류모형과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 조직, 24(2), 429-455. 

  11. 백승근, 신강현, 김완석, 유지훈, 한영석 (2010). 조직의 정서표현규칙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노동 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1), 27-51. 

  12. 백영숙, 강병재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179-200. 

  13. 백윤정, 김보영 (2014). 직무관련 부정정서와 표면행위: 감정소진과 자기 감정인식의 조절된 매개모형. 인사조직연구, 22(4), 71-101. 

  14. 성연옥 (2013). 감정노동의 개념화 및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 리뷰, 4(1), 63-85. 

  15. 안혜정, 이승연 (2014). 유치원 교사의 정서노동과 직무만족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77-103. 

  16. 안혜준 (2010). 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 과정의 의미탐색.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4), 287-314. 

  17. 염지숙 (2005). 유아교육현장에서 돌봄의 실천과 한계. 유아교육연구, 25(5), 147-171. 

  18. 이선미, 이승미 (2013). 영아교사의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6), 153-180. 

  19. 이영미, 민하영 (2011). 영유아보육기관 교사의 표면적 정서노동과 직무소진 간 관계에서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1), 167-185. 

  20. 이병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3), 129-152. 

  21. 이종각 (2013).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 정서노동,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재원 (2014). 고객 상호작용 불공정성, 심층적 행위, 긍정정서 전달 행위사이 관계.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8(3), 211-232. 

  23.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진화, 박은혜 (2008). 개인 및 기관 정서변인이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5-27. 

  25. 이춘복 (2013). 유아교사의 정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295-318. 

  26. 이화석 (2013). 항공운송산업의 감정표현규칙, 감정노동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임지윤, 도승이 (2014).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197-220. 

  28. 조운주 (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유아교육연구, 27(3), 315-335. 

  29. 조중연 (2014). 감정노동 현장에서의 조절초점의 역할에 대한 연구: 조절초점의 매개와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전희진, 이재원(2013). 감정표현규칙 몰입에 관한 연구: 감정표현규칙 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7(4), 37-64. 

  31. 정옥분, 장순화, 임정화 (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서울 : 학지사. 

  32. 조혜진, 박효진 (2012). 유아교사의 정서조절책략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231-248. 

  33. 조형숙 (2009). 유아교사의 교직윤리관련 딜레마에 나타난 갈등요인. 유아교육학논집, 13(2), 243-276. 

  34. 최형성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5), 271-292. 

  35. 탁진국, 노길광, 이은경(2009). 보육교사의 정서노동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4), 567-589. 

  36. 황문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적성 및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황혜신 (2010). 정서노동 및 자아탄력성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주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7), 23-32. 

  38. Ashforth, B. E., & Humphre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1), 88-115. 

  39. Brotheridge, C. M., & Lee, R. 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57-67. 

  40. Brotheridge, C. M., & Grandey, A. A.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41. Cote, S., & Morgan, L. M. (2002).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 regulati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qui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8), 947-962. 

  42. Day, C. (2000). Stories of chang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costs of commitment. In C. Day, A. Fernandez, T. Hauge, & J. Moller(Eds), The life and work of teachers: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changing times. London: Falmer Press, 109-129. 

  43. Day, C. (2011). A Passion for teaching, teaching as passion 열정으로 가르치기(박은혜, 이진화, 위수경, 조혜선 공역). 서울 : 파란마음(원판 2004). 

  44. Diefendorff, J. M., Richard, E. M., & Croyle, M. H. (2006). “Are emotional display rules formal job requirements? Examination of employee and supervisor percep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9(2), 273-298. 

  45. Diefendorff, J. M., Croyle, M. H. (2008). Antecedents of emotional display rule commitment. Human performance, 21(3), 310-332. 

  46. Diefendorff, J. M., Croyle, M. H., & Gosserand, R. H. (2005).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2), 339-357. 

  47. Diefendorff, J. M., & Gosserand, R. H. (2003). "Understanding the emotional labor process: A control theory perspective."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4(8), 945-959. 

  48. Diefendorff, J. M., & Richard, E. M. (2003).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display rule percep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2), 284-294. 

  49. Ekman, P. (1973). Darwin and facial expression: A century of research in review. New York:Academic Press. 

  50. Gilstrap, C. M. (2005). Closing in on closeness: Teacher immediacy as a form of emotion lab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Colorado Spring, Co. 

  51. Goldstein, L., & Lake, V. E. (2000). “Love, love and more love for children”: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ar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8), 861-872. 

  52. Goldstein, L. (2002). Reclaiming caring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PeterLang. 

  53. Gosserand, R. H., & Diefendorff, J. M. (2005).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al labor: The moderating role of commit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6), 1256-1264. 

  54. Grandey, A. A. (2000).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55. Grandey, A. A., Fisk, G. M., & Steiner, D. D. (2005). Must service with a smile. Be stressful?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control for American and French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5), 893-904. 

  56. Grandey, A. A. (2003).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nd deep acting as predictor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1), 86-96. 

  57.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olitics of teaching and teacher development: With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leader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1(4), 315-336. 

  58. Hargreaves, A. (2002). Teaching in a box: Emotional geographies of teaching. In C. Surgue & C. Day (Eds), Developing teachers and teaching practice(pp. 2-25). London: Routledge Falmer Press. 

  59. Hess, U, & Bourgeois, P. (2010). You smile-I smile: Emotion expression in social interaction. Biological Psychology, 84(3), 514-520. 

  60. Hochschild, A. (2009).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감정노동-노동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상품으로 만드는가 (이가람 역). 이매진(원판 1983). 

  61. Hochschild, A. (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5. 

  62. Hochschild, A.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3. Isenbarger, L., & Zembylas, M. (2006). The emotional labor of caring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1), 120-134. 

  64. Kremenitzer, J. P., & Miller. R. (2008). Are you a highly qualified, emotionally intelligent early childhood educator?. YC Young Children, 63(4), 106-112. 

  65. Kruml, S. M., & Geddes, D. (2000).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The heart of Hochschild's work.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14(1), 8-49. 

  66. Leavitt, R. L. (201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어린이집에서의 권력과 정서 Power and Emotion at Daycare (양옥승, 신은미 공역). 서울: 학지사(원판 1994). 

  67.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68. Noddings, N. (2012). The caring relation in teaching. Oxford Review of Education, 38(6), 771-781. 

  69. Rafaeli, A. & Sutton, R. I. (1987). Expression of emotion as part of the work rol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1), 23-37. 

  70. Sutton, R. E., & Wheatley, K. F. (2003). Teacher's emotions and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5(4),327-358. 

  71. Zapf, D. (2002).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2), 237-268. 

  72. Zembylas, M. (2005). Discursive practices, genealogies, and emotional rules; A poststructuralist view on emotion and identity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8), 935-9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