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ate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Care of Dying Pati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2, 2019년, pp.166 - 173  

김은희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임영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ate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care of dying pati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The total subjects were 172 nurses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종간호를 경험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태도와 영성, 공감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특히 수직적 및 수평적 차원에서의 영성과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간호사의 임종간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기 위해 간호사의 다차원적 영성과 공감역량을 키울 수 있는 중재 방안과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h와 Kang[7]이 주장한 영성이란? 영성은 절대자와의 관계를 수직적 차원, 자신과의 관계, 그리고 타인, 이웃, 자연과의 관계를 수평적 차원으로 분류하며 다차원적 개념으로 보고 있다[6]. Oh와 Kang[7]은 영성을 자신, 타인 및 상위존재와 의미 있는 관계를 맺고 유지하며, 신체, 영혼, 마음을 통합하는 에너지, 존재에 대한 의미와 목적을 주관하는 것이며, 당면한 현실을 초월하여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성질이라 하였다. 영성이 높은 간호사는 환자의 영적 고민과 영적 필요를 이해하여 더 높은 수준의 영적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8], 임종간호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임종간호의 목표는? 임종과정에서 간호사들이 제공하게 되는 임종 간호는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에게 남은 생애 동안 존엄하고 질 높은 삶을 위해 평온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도록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총체적 돌봄으로 임종간호의 목표는 임종 과정에 있는 대상자와 그 가족이 최상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며, 임종단계에서 환자가 한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지니고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2]. 환자의 존엄한 임종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긍정적인 임종간호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직적 영성, 수평적 영성, 공감역량 및 임종간호태도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다는 연구결과로 암시할 수 있는 것은? 대상자는 다르지만 대학생의 영성과 공감의 상관관계[24], 중등교사의 영성과 공감역량간의 상관관계[14]의 연구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사가 가지고 있는 수직적 및 수평적 영성 즉 자신과 타인, 절대자와의 관계에 대한 내재된 힘이 강할수록 공감의 능력이 높고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이며 또한 공감할 수 있는 역량이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어 공감역량은 임종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필요한 자질 중 하나임을 암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2015 Birth, death statistics [Internet]. 2018 May [cited 2018 May 3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 No SS. A study on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pp.1-55. 

  3. Chi K, Kim E.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 toward hosp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5;14(3):285-91. 

  4. Yoon MO. The spiritual well-being and the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for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9;12(2):72-9. 

  5. Noh SS, Lee CK, Sung YH. Predictors of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for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6;9(2):61-70. 

  6. Ko IS, Choi SY, Kim J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2):242-56. 

  7. Oh PJ, Kang KA. Spirituality: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5):1145-55. 

  8. McSherry W, Ross L. Dilemmas of spiritual assessment: Considerations for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2;38(5):479-88. 

  9. Lee YJ. Development of the Compassionate Competence Scale for Nurse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4. pp.1-148. 

  10. Lee KJ, Park YS. Nurses' spirituality and attitude toward terminal care in geriatric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2): 347-57. 

  11. Sim MK, Park JM. The influence of spirituality, meaning in life and hospice perception on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7):290-99. 

  12. Jo MJ, Jun WH. Effects of end-of life care education using self-reflection diary on spirituality, death orientation,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12):294-303. 

  13. Jo KW, Park AR, Lee JJ, Choi SJ. The effect of suffering experiences, empathy ability, caring behaviors on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5;18(4):276-84. 

  14. Lee JY Medi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matu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ity and empath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2011;59(2):481-508. 

  15. Saslow L, John OP, Piff PK, Willer R, Wong E, Impett EA, Feinberg M. The social significance of spirituality: New perspectives on the compassion-altruism relationship. Psychology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2013;5(3):201-8. 

  16. Park HJ. Development of spirituality scale and spirituality of Catholic social workers. Woori Theology. 2003;2:196-223. 

  17. Howden J.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ity Assessment Scale, [master's thesis], Houston: Texas Women's University; 1992. 

  18. Frommelt KHM. The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s and their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1991;8(5):37-43. 

  19.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5;8(2):163-72. 

  20.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82. 

  21. Lee, S-H. Concept of a good death and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in general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pp.1-78. 

  22. Hong E, Jun M, Park ES, Rhu E.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ical Nursing, 2013;13(4):265-72. 

  23. An MS, Lee KJ. Awareness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among geriatric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4;17(3):122-33. 

  24. Huber JT, MacDonald DA.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altruism, empathy, and spirituality.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012;52(2):206-21. 

  25. Kim HY, Nam KH, Kwon SH.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rminal care stress and performance for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7;20(4):253-63. 

  26. Yoon M.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ity scal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altruism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8. pp.1-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