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xperiential Learning Involving Co-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Scientific Attitud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8 no.2, 2015년, pp.206 - 217  

하병건 (부산교육대학교) ,  김용권 (부산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n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effectively experiential learning involving eco-activities make changes in environmental literacy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by categorizing those activities into 5 fields of "marine", "rivers", "ecosystem", "climate" and "recycl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체험학습을 통해 알게 된 정보와 생각을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정리해보는 단계로 환경소양을 내면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 관련 탐구 중심의 체험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 속에서 직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환경교육 방법의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의 효과성을 높이는 것을 기본 목표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서 환경소양을 향상시키고 과학적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역 주변의 환경교육 장소를 선정하여 체험학습을 계획하였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연계지도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장기적이지는 않았지만 학생 생활 주변의 하천을 직접 방문하여 정화 활동을 실시하고, 천연 비누, EM 발효액 등을 직접 만들어 가정에서 사용한 활동처럼 학생들이 직접 참여한 가정 및 지역 사회와 연계된 실천 중심의 활동이 행동적 영역의 긍정적 변화에 큰 역할은 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EM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Hwang(2014)의 학생들이 EM을 스스로 제작, 관찰하고 궁극적으로 활동의 마지막을 당면한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스스로 참여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영역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그의 연구에 따르면, 탐사 후 탐사 후의 환경편지를 환경관련 홈페이지에 올리는 사후 활동과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의과정에서 학 생들 간의 의사소통, 탐사 후의 쓰레기 줍기, 정리 활동이 학생들의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었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환경 관련 체험학습 후 제작한 환경보호 UCC와 4컷 만화를 통해 환경을 지키고자하는 마음을 직접 실천해봄으로써 환경보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봤던 경험이 학생들의 긍정적 행동 변화로 이끌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야구장을 직접 방문하여 시민들의 쓰레기 분리배출 실태를 분석하고 해결을 위한 대안 마련을 위해 모둠별 해결방법을 토의하여 환경 보전 의식 전환을 위한 캠페인 활동에 필요한 여러 도구들을 제작한 후 야구장을 다시 방문해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을 위해 실시했던 홍보활동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남상준(2010)에 의하면 환경교육은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탐구 및 문제해결을 추구하는 교육으로 교육을 통하여 현재의 세대는 물론 미래의 주역인 학생들에게 환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그들의 건전한 인격 형성과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현재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미래에 더욱 심각해질 환경 문제를 예방하여 쾌적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데 궁극적 목적을 둔다. 즉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의 목표를 균형 있게 달성할 수 있도록 배려하되 환경문제의 해결이라는 국가 사회적 요구를 감안하여 실천적 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소양인을 길러내고자 한다(Lyu, 2014).
  •  연구자는 환경 관련 체험학습을 위해 관련 영역과 접근성을 고려한 체험학습 계획안을 수립하고, 체험학습 장소와 활동에 대한 예비학습 및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체험학습과 관련된 환경이론교육을 환경전문가를 초빙하여 진행함으로써 환경소양 인지적 영역에 대한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탐구란? Lee(2006)은 이러한 관점에 서 환경교육 그 자체가 인간을 성장시키고, 마음을 수양하게 하고 세상의 중요한 측면을 ‘볼 수’있게하는 안목을 가지게 하는 중요한 교육의 내재적 가치임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 교육적 방법으로 ‘탐구중심 환경교육’을 제시하였다. 그가 제시한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탐구’는 과학적 탐구뿐만 아니라 통찰적 탐구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데, 이 때 과학적 탐구란 실증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탐구를 말하며 통찰적 탐구는 과학적 방법 이외의 탐구, 즉 개념적인 문제, 큰 생각(big idea)이나 이론 체계 등에 관한 탐구를 의미한다(Lee, 2011).
초등교육이란?  특히 초등교육은 통상적으로 교과의 초보적인 지식이나 초급의 지식을 가르치고 배움으로써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 기초이며 근본이 되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Lee, 2011).
환경 문제를 개선하고 회복시키는 환경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이렇듯 세계적·국가적 환경 문제가 점차 지역적· 개인적인 문제로 다가옴에 따라 자라나는 세대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환경교육이 점점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 문제를 개선하고 회복시키는 환경교육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tay, B. (2014). User-Centered Design through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19(2), 138-155. 

  2. Choi Ha-Yan (2007). The Influence of School Experience Environmental Education on Changing the Elementary Students' Pro-Environmental Behavior. University of Seoul Paper of Masters Degree. 

  3. Choi Yang-Lim (2006). The Effects of ecocentric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4. Hwang Young-Ho (2014). Effects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Program Utilizing Effective Microorganis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5. James, A. R. & Cruz, L. M. (2005). Address the "Whole Person": Ensuring Student Success, Teach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6(6), 20-22. 

  6. Jin Ok-Hwa (2004). A Study on the conceptual evolu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its assessmen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7. Kim Gyu-Hyun (2007). Effects on environmental literacy in the environmental class by discussion- based on the 6th grad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8. Kim Hyo-Nam, Chung Wan-Ho & Jeong Jin-Woo (1998).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8(3), 357-369. 

  9. Lee Du-Gon (2006). A Study on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9(1), 80-89. 

  10. Lee Min-Kyoung (2011). Development of the 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DO meter : Focused on the 6th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11. Lyu Kyung-Hee (2014). The effects of out-of-class environmental experience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12. Min Dong-Seop (2008). The meaning of inquiry-based environment education in elementary environment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13. Nam Sang-Jun (2010). Environmental Education. Daehaksa, Seoul , Korea 

  14. Pant, L. P. (2012). Learning and Innovation Competence in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18(3), 205-230. 

  15. Park Jun-Hee (2003).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Dankook University Paper of Masters Degree. 

  16. Rao, D. & Stupans, I (2012). Exploring the Potential of Role Play in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of a Typology and Teacher Guidelines,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9(4), 427-436. 

  17. Song Young-Ju (2008).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Exploration Program on Environmental Literacy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18. Yoon Young-Ja (2008).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Op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up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per of Masters Degree. 

  19. Simmons, D. (1995). The NAAEE Standards Project :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in Dekalb, Illinoi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