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주기적 개별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The Effect of Periodical and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for Long-term Hemodialysis Patient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5, 2015년, pp.572 - 582  

김현정 (경상대학교병원 인공신장실) ,  박수진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  박미경 (경상대학교병원 인공신장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using an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composed with knowledge, compliance, and physiologic parameters for long-term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는 1년 이상 장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화되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혈액투석 관련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개별교육 프로그램 교육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혈액투석 관련 지식정도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개별교육 프로그램 교육 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역할행위 이행정도가 높을 것이다.
  • 가설 3. 개별교육 프로그램 교육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생리적 지표가 양호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기 신질환이란 어떤 질환인가? 만성 신질환은 당뇨와 고혈압의 합병증, 사구체 신염, 요로폐쇄, 낭종, 만성 신장 감염 등의 원인으로 초래되며,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말기 신질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2]. 말기 신질환은 영구적인 신장 기능의 병리적인 변화로 보존요법으로는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여 혈액 또는 복막투석이나 신장이식을 받아야만 생명연장이 가능한 질환이다[3]. 우리나라 신질환 환자의 치료는 혈액투석 69.
혈액투석 환자는 투석기간에 따라 어떤 과정을 겪는가? 혈액투석 환자는 투석기간에 따라 밀월기(honeymoon period, 6주에서 6개월까지), 우울기(depress period, 7개월부터 12개월까지), 장기적응시기(long-term adatation period), 1년 이후)의 과정을 경험하는데 그 중에서 장기적응시기의 혈액투석 환자는 서서히 장기적인 대응과 적응으로 들어가는 시기이다[8]. 혈액투석 환자는 신장이식을 받거나 생명을 다할 때까지 혈액투석을 유지해야 하므로 대부분의 환자는 장기적응시기의 기간에 해당한다.
혈액투석 환자들에 대한 개별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혈액투석실에서 시행되고 있는 혈액투석 환자의 교육은 각 병원별 교육책자나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운영되고 있으나 교육대상자의 대부분이 6개월 미만의 초기혈액투석 환자이며, 교육방법이 강의식 또는 주입식이라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 등 다양한 수준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7]. 또한 6개월 이상의 혈액투석 환자와 1년 이상의 장기혈액투석 환자의 교육은 이미 초기교육과 경험을 토대로 중상위 정도의 지식과 환자역할행위 이행을 잘 할 것이라는 판단과 반복교육의 지루함을 이유로 잘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혈액투석 적절성 평가지표에 근거하여 투석 간 체중 증가량에 의한 체중과다, 고칼륨혈증, 고인혈증, 빈혈 등 근거별 교육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혈액투석 환자의 교육은 대상자의 지식과 교육 요구도의 일치성을 분석하여 적합한 영역을 선택하고 그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적용하는 것이 환자역할행위 이행을 높이는데 있어 더욱 적합한 접근이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uk YM, Park JW, Jeon MJ, Kim CY. Effect of periodic video education on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patient role behavior and the physiologic index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3):122-32.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3.122 

  2. Eitner F, Floege J. Novel insights into renal fibrosis. Current Opinion Nephrology and Hypertension. 2003;12(3):227-32. http://dx.doi.org/10.1097/00041552-200305000-00002 

  3. Lee UJ, Min H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s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1):64-73. http://www.dbpia.co.kr/Article/3016009 

  4.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insann memorial dialysis registry 2011. [cited 2011 sep 25],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journal/2012/index.html 

  5. Kim JH. The influence of cognitive coping on sick role behavioral compliance and depression, satisfaction with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2):1328-38. http://dx.doi.org/10.5762/kais.2015.16.2.1328 

  6. Denhaerynck K, Manhaeve D, Dobbels F, Garzoni D, Nolte C, Geest SD. Prevalence and consequences of nonadherence to hemodialysis regimen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7;16(3):222-36. 

  7. Park HM, Lee HS. Effects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on self-efficacy, self-care agency, self-care activitie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0;13(2):151-60. 

  8. Reichman F, Levy, NB. Problems in adaptation to maintenance hemodialy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72;130;859. http://dx.doi.org/10.1007/978-1-4684-2256-6_21 

  9. Han DS, Lee SW. Treatment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00;19:765-8. 

  10. Caraballo NG, Lebron AC, Davila TR, Burgos CR. Kidney patient: aspects to compliance with renal treatment. Puerto Rico Health Sciences Journal. 2001;20(2):383-93. 

  11. Kutner NG. Improving compliance in dialysis patients: does anything work? Seminars in Dialysis. 2001;14(5):324-7. http://dx.doi.org/10.1046/j.1525-139x.2001.00080.x 

  12. Lee SJ, Park HS, Han JH, Kim HJ, Seo MW, Choi EA, et al.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on knowledge, compliance and physiologic parameters in non-compliant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5-16. 

  13. Kim YJ, Yu YS. Effect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on knowledge, compliance, and physiologic parameters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6;18(3):367-76. 

  14. Kim AY, Kim SJ.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early hemodialysis patients' knowledge,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 index.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2008;31(1):95-109. 

  15. Park JS, Lee HS, Lee SY, Im HB, Oh HS.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management guidelin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dherence for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1;14(1):39-46. 

  16. Kim SY, Kim JD, Park AK, Koo JS. The effect of a video dietary instruc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1):134-45. 

  17. Yang JL, Seo HJ, Kim YH. Effects of nutri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03;36(7):749-58. 

  18. Choi SH, So NS, Oh JY, Lee GS, Chung HJ, Lee JY, et al. A study of effect on a programmed continuing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compliance of hemodialysis patient's selfcar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0;5(10):135-51. 

  19. Sim MK, Son SY. The effects of an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on self-care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2;18(1):9-17. 

  20. Park JS, Lee HS, Lee SY, Im HB, Oh HS.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management guidelin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adherence for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1;14(1):39-46. 

  21. So HS, Kim AY, Kim EA, Kim, SM. Effects of a structured drug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and medication compliance for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7):1135-44. 

  22. Hong KY.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dialysis related knowledge self efficacy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1999. 

  23. Song ES.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issertation]. Gwangju: Chosun University; 2002. 

  24. Connelly CE. Self-care and the chronically ill patient.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987;22(3):621-9. 

  25. Suh MJ, Chang MY.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related hardiness, self efficacy, compli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997;11(1):85-105. 

  26. Kim KH, Son HY, Min BS, Park SH, Kim HY, Bang BK, et al. The problem in long-term hemodialysis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second report.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1977;20(1):61-70. 

  27. Yoo MJ. The effects of a video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on self care, stress, and physiological indexe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4. 

  28. Durose CL, Holdsworth M, Przygrodzka F. Knowledge of dietary and the medical consequences of noncompliance on hemodialysis are not predictive of dietary compliance.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4;104(1):35-41. 

  29. Hemodialysis Adequacy 2006 Work Group.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hemodialysis adequacy, update 2006.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06;48(Suppl 1):S2-90. 

  30. Barnett T, Li Yoong T, Pinikahana J, Si-Yen T. Fluid compliance among patients having haemodialysis: can an educational programme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1(3):300-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528.x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